logo

English
                 
동방의 등불
 

이 글이 옛 조선 문인들에게 증정했던 시인 타고르가 처음 일본을 방문한 것은 1916년이다.
때마침 도쿄에 머물고 있던 최남선은 제국대학 강연회에서 타고르를 만났고, 한 달 뒤에는 유학생 진학문이 요코하마에서 타고르와 두 차례 면담했다.
얼마 후 타고르는 자신의 사진과 친필 사인, 그리고 거듭 약속했던 조선인을 위한 시를 잊지 않고 보내왔다. 이듬해 소개된 ‘쫓긴 이의 노래’가 바로 그 시다.
그런데 여기에 올린 동방의 등불은 정식 영문시가 아니고 그가 친필서 써 준 메모였으며 제목 조차없었다.

다음에 글이 있다.

 
The lamp of the East

In the golden age of Asia
Korea was one of the lamp-bearers.
And that lamp is waiting,
to be lighted once again
for illumination
In the East.
Rabindranath Tagore
28th, March, 1929
 

아래에는 ‘쫓긴 이의 노래’ 원제는 ‘The Song of the Defeated’ 가 있다.
하지만 그 시기의 독자들에게 패자가 누구를 가리키는지 너무나 분명하니 타고르가 고심해 골랐음이 틀림없다. 게다가 6행의 영문 원시가 8행으로 잘못 소개됐고 한국어로는 무려 23행으로 번역됐다.
교묘한 오역이라 해야 할까. 그나마 오늘날에는 이 시가 완전히 잊히고 말았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

Where The Mind Is Without Fear, Rabindranath Tagore

Where the mind is without fear and the head is held high
Where knowledge is free
Where the world has not been broken up into fragments
By narrow domestic walls

Where words come out from the depth of truth
Where tireless striving stretches its arms towards perfection
Where the clear stream of reason has not lost its way
Into the dreary desert sand of dead habit

Where the mind is led forward by thee
Into ever-widening thought and action
Into that heaven of freedom, my Father, let my country
 
IMAGES

1 Tagore와 기념사진 1916년
일본에 유학중인 진학문(뒷줄 왼쪽 첫번째)이 1916년 일본 요코하마 별장에서 타고르(앞줄 가운데)와 찍은 기념사진.

2 Tagore 흉상
2011년 5월 서울 종로구 혜화동 지하철 4호선 혜화역 1번 출구 인근에 세워진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흉상(위 사진). 타고르가 일제강점기 때 조선을 찬양하며 쓴 시는 1929년 4월 2일 동아일보 지면에 실렸다. 동아일보DB

3 Tagore’s handwriting
최남선이 지난 1916년에 받은 사진과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친필 사인. 잡지 ‘청춘’ 권두화보에 실렸다.

4 시성 타고르 옹의 메시지
1929년 3월 타고르가 건네준 메시지. 시가 아니며 ‘동방의 등불’이라는 제목도 없다.

5 동아일보 기사: "2011년 5월 서울 종로구 혜화동 지하철 4호선 혜화역 1번 출구 인근에 세워진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흉상(위 사진). 타고르가 일제강점기 때 조선을 찬양하며 쓴 시는 1929년 4월 2일 동아일보 지면에 실렸다. 동아일보DB".
주요한이 번역해서 동아일보에 공개한 타고르의 메시지.

6 쫓긴이의 노래
타고르가 1917년 조선을 위해 보내온 시 ‘쫓긴 이의 노래’.

7 동방의 등불, 패자의 노래
동방의 등불 타고르 - YouTube

8 동방의 등불 석비
동방의 등불 -인도 타고르 시인

9. 타고르의 메시지이며 그의 친필
1929년 3월 타고르가 건네준 메시지. 시가 아니며 ‘동방의 등불’이라는 제목도 없다.
 

Rabindranath Tagore
File:Rabindranath Tagore.jpg - Wikimedia CommonsRabindranath Tagore was a Bengali polymath who worked as a poet, writer, playwright, composer, philosopher, social reformer and painter.] He reshaped Bengali literature and music as well as Indian art with Contextual Modernism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Author of the "profoundly sensitive, fresh and beautiful" poetry of Gitanjali, he became in 1913 the first non-European and the first lyricist to wi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Tagore's poetic songs were viewed as spiritual and mercurial; however, his "elegant prose and magical poetry" remain largely unknown outside Bengal. He was a fellow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Referred to as "the Bard of Bengal", Tagore was known by sobriquets: Gurudeb, Kobiguru, Biswokobi.
Tagore modernised Bengali art by spurning rigid classical forms and resisting linguistic strictures. His novels, stories, songs, dance-dramas, and essays spoke to topics political and personal. Gitanjali (Song Offerings), Gora (Fair-Faced) and Ghare-Baire (The Home and the World) are his best-known works, and his verse, short stories, and novels were acclaimed—or panned—for their lyricism, colloquialism, naturalism, and unnatural contemplation. His compositions were chosen by two nations as national anthems: India's "Jana Gana Mana" and Bangladesh's "Amar Shonar Bangla". The Sri Lankan national anthem was inspired by his work.

 
”동방의 등불” 제목의 논란
 

영어로 쓰인 타고르의 시는 당시 주요한 편집국장의 번역으로 동아일보 지면에 실렸다.
주요한 국장은 한국 최초의 자유시(불놀이)를 쓴 시인으로 1925년 입사해 1928~1929년 편집국장을 지냈다.
타고르 박물관 한국실에서는 타고르 관련 한국 출판물과 한국의 역사, 발전상 등을 담은 자료들이 전시된다. ‘빗나든 아세아 등촉’이 실린 동아일보 지면 사본과 한국 교과서를 비롯해 타고르 시집 ‘기 최남선이 지난 1916년에 받은 사진과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친필 사인. 잡지 ‘청춘’ 권두화보에 실렸다. “탄잘리”의 한국어 번역본, 타고르를 다룬 한국 도서도 비치된다. 또 가락국 시조 김수로왕과 결혼한 인도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 관련 설화, 고대 인도를 답사하고 여행기 ‘왕오천축국전’을 남긴 신라 승려 혜초 등 양국의 문화 교류 역사도 전시한다.
최남선이 지난 1916년에 받은 사진과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친필 사인. 잡지 ‘청춘’ 권두화보에 실렸다.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이후 현대까지 한국의 발전상을 드러내는 자료도 선보인다. 시에서 묘사한 것처럼 한국이 ‘동방의 밝은 빛’으로 성장한 과정을 보여주겠다는 취지다. 그런데 '동방의 등불'은 詩가 아닌 메모였다
신문에 공개된 메모지에서는 6행의 영문 친필과 사인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주씨는 이 메시지를 음절 수 잘 맞춘 4행으로 번역했다. 누구도 이를 두고 시라고 일컬은 적이 없고 어디에도 제목이 붙어 있지 않았다. 그런데 훗날 10여행이나 되는 엉뚱한 시가 덧붙어 짜깁기되면서 한국과 한국인을 예찬하는 명시로 둔갑했다. 특히 우리를 격동하게 한 ‘내 마음의 조국 코리아여’ 운운하는 대목은 도저히 타고르의 목소리일 리 없으니 희대의 사기극이다. 버젓이 교과서에 수록되기도 한 ‘동방의 등불’은 한마디로 원본 없이 존재해 온 가짜 번역이다.
두 달 뒤 미국에서 돌아오는 길에 일본에 들른 타고르는 다시 한 번 조선인에게 짤막한 메시지를 전해 왔다. 건강 때문에 약속을 지키지 못해 유감이라는 딱 두 문장이었다. 이때 비로소 타고르는 조선을 방문하고 싶다는 뜻을 전향적으로 내비쳤다.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타고르를 세계적인 시성으로 만든 것은 번역이었다. 타고르의 모어는 벵골어다. 명문 귀족 출신으로 영국에서 유학한 타고르는 자신의 시집을 손수 영어로 번역해 출판한 덕분에 노벨문학상에 더 빨리 다가설 수 있었다. 번역이 아니었다면 타고르의 시는 식민 종주국 영국에도, 1차대전에 뛰어든 일본에도, 동아시아 변방의 식민지 조선에도 가닿을 수 없었다.
타고르가 한국인의 가슴속 깊이 파고든 것도 오직 번역의 힘이었다. 한 번은 오역이요, 또 한 번은 날조였다. 원작이 무엇이든 원본이 있든 말든 타고르가 식민지 망국민에게 희망이라는 것을 심어 주고 미래를 꿈꾸게 한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번역이라는 상상력의 마법은 원작보다 빼어난 위조를, 원본 없는 모방을 역사적 진실로 만들어줬다.
번역은 남의 감정과 사상을 자기 목소리로 만드는 방법이다. 번역은 한 나라·한 언어의 경계를 넘어 서로의 마음과 생각을 공유하고 연대하고 확장하는 실천의 무기가 된다. 세계사의 주변부에서 제국주의 침략과 식민지배, 저항과 혁명으로 이어진 역사적 시공간 속에서 한국의 타고르가 탄생했다. 그러므로 우리가 가진 것은 인도에도 영국에도 일본에도 전 세계 어디에도 없는 우리의 ‘쫓긴 이의 노래’요, 우리의 ‘동방의 등불’이다.
타고르는 자신의 조국 인도와 같은 처지에 놓인 식민지 조선에 오고 싶지 않았거나 혹은 오려고 해도 올 수 없었을 것이다. 일본을 다섯 차례 방문하는 사이 타고르는 중국에 한 차례 다녀가기도 했다고 믿는다. 상하이에서 베이징까지 올라가며 백발의 시인은 냉대와 혹평에 시달려야 했겠다. 만약 타고르가 조선에 찾아왔더라도 논란이 일어났을까? 혹시 영국 기사 작위를 받은 적이 있다든가 일본에 우호적인 태도가 말썽이 되지는 않았을까? 만약 그랬다면 오늘날까지 우리 가슴속에 ‘동방의 등불’이 타오르지 않았을지 모른다.
1929년 3월 타고르가 건네준 메시지. 시가 아니며 ‘동방의 등불’이라는 제목도 없다.
그런데 훨씬 더 문제인 것은 ‘동방의 등불’이다. 왜냐하면 ‘동방의 등불’의 원시는 애당초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타고르가 네 번째 일본 방문을 마치고 캐나다로 떠나면서 건네준 작은 메모지가 전부다. 시인 주요한이 편집장으로 있던 동아일보는 타고르가 조선에 부탁했다는 기념비적인 문장을 엄연히 메시지라 일컬으며 ‘빛나던 아세아 등촉 켜지는 날엔 동방의 빛’이라는 헤드라인을 뽑았다. ‘일찍이 아세아의 황금 시기에 /빛나던 등촉의 하나인 조선 /그 등불 한 번 다시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Kwan Ho Chung - March 21, 2023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7768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1850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493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427
8832 돌아오는 기러기 [1] update 2024.03.27 정관호*63 2024.03.28 11
8831 이강인-손흥민 ‘골 합작’ 한국, 태국 3-0 완승…월드컵 최종 예선 진출 성큼 [2] 2024.03.26 황규정*65 2024.03.27 8
8830 1945년 8월 15일 오후 강릉 홍제정 안마을에서 [2] 2024.03.19 정관호*63 2024.03.24 55
8829 이승만은 왜 김구를 제거 했을까? [1] 2024.03.17 온기철*71 2024.03.18 34
8828 My Grandson [1] 2024.03.15 노영일*68 2024.03.18 77
8827 蜀相(촉상): 촉한 승상 제갈량 [1] 2024.03.15 정관호*63 2024.03.15 34
8826 1945년 8월15일에는 서울에 아무일도 없었다. [1] 2024.03.13 온기철*71 2024.03.14 34
8825 왕소군 고향에서 [1] 2024.03.08 정관호*63 2024.03.20 37
8824 정약용; 늙어가면 친구가 점점 없어진다. [5] 2024.03.06 온기철*71 2024.03.08 65
8823 Trump is OK to be a candidate. 2024.03.04 온기철*71 2024.03.17 46
8822 AMAZING GRACE [1] 2024.03.01 정관호*63 2024.03.08 49
8821 한국에의 복수국적 - 이중국적이 더 불리한 경우를 알려 드립니다 [1] 2024.02.24 운영자 2024.02.24 67
8820 신진서, 농심배 16연승... 중국 기사 올킬로 한국 4연속 우승 [1] 2024.02.23 황규정*65 2024.02.23 39
8819 古朝鮮:고조선 [1] 2024.02.23 정관호*63 2024.02.26 41
8818 한국진공작전; Eagle Project and Napko Project [2] 2024.02.22 온기철*71 2024.02.28 87
8817 일제의 김구 암살 공작과 밀정 [2] 2024.02.19 온기철*71 2024.02.22 73
8816 장개석은 한국에 친중정부가 수립 되게 하려고 임정을 도왔다. [1] 2024.02.17 온기철*71 2024.02.24 80
8815 봄날의 원망 [1] 2024.02.16 정관호*63 2024.02.16 36
8814 내 마음은 가을 달 [1] 2024.02.08 정관호*63 2024.02.14 470
8813 1945년8월15일은 과연 해방이었을까? [2] 2024.02.06 온기철*71 2024.02.07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