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Poem 김소월 시 세편

2019.08.25 18:48

정관호*63 Views:122

 
Image result for 강변 살자 images


 
엄마야 누나야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갈잎의 노래
Image result for 갈잎의 노래 images

엄마야 누나야 YouTube
 
금잔디

잔디,
잔디,
금잔디,

심심산천에 붙은 불은
가신 님 무덤가에 금잔디

봄이 왔네, 봄빛이 왔네
버드나무 끝에도 실가지에.

봄빛이 왔네, 봄날이 왔네
심심산천에도 금잔디에.

금잔디
Image result for 잔디, 잔디, 금잔디 images

가신 님 무덤가
Image result for 가신 님 무덤가 images
 
진달래꽃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약산 진달래꽃
Related image

사뿐이 즈려 밟고…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Azalea : Translated by S.M. Hong

When you take your leave
Weary of seeing me,
Gently and silently I'll bid you go.

Upon the Yagsan hill of Yeongbyeon
I'll break off an armful of azalea flowers,
And strew them over your path.

Step by step, forwarding …
Strewed the flowers for you,
Tread them softly with a light step

When you take your leave
Weary of seeing me,
I'll never weep for you though die.

 

Note by the translator

(1) Azalea, literally Jindalae flower, is a famous Korean poem (written by Kim Sowoul in 1925).
I translated it into English with my dilettante life without a knowledge of literature.
Would you be kind enough to understand me, if I hurted lovers' feeling of literature?

(2) The Yagsan hill of Yeongbyeon means Mt. Yag, in Yeongbyeon region which is located on Pyunganbukdo Korea, is famous for flowers of azalea.


자구주석(字句注釋)
역겹다: 역정이 나거나 속에 거슬리게 싫다.
즈려밟다: 위에서 내리 눌러 밟다로서 평안도 방언이다. “지르밟다”가 옳은 표현이다. 그러니 “디뎌 밟고”라고 하면 어떨까?

 

감회
첫번 째 시, “엄마야 누나야”는 내가 보성중 2학년 2학기 아니면 3학년 1학기 국어시간에 부산 영주동에 있었던 피란교사에서 배웠다.
국어교사께서, “이 시는 표현이 간결하고 내용이 풍부하다.”고 하셨는데, 이 시를 지금도 읽으면 그 당시 정황이 눈에 떠 오를 정도다. 김소월이 대표적 민중시인이라고 생각된다.

 

<김소월(金素月 1902년 ~ 1934년) 생애
민족의 서정이 된 가객, 김소월 : 네이버 포스트본관은 공주(公州). 본명은 김정식(金廷湜). 평안북도 구성 출생. 아버지는 김성도(金性燾), 어머니는 장경숙(張景淑)이다. 2세 때 아버지가 정주와 곽산 사이의 철도를 부설하던 일본인 목도꾼들에게 폭행을 당하여 정신병을 앓게 되어 광산업을 하던 할아버지의 훈도를 받고 성장하였다.
사립인 남산학교(南山學校)를 거쳐 오산학교(五山學校) 중학부에 다니던 중 3·1운동 직후 한때 폐교되자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 졸업하였다.
1923년 일본 도쿄상과대학 전문부에 입학하였으나 9월 관동대진재(關東大震災)로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오산학교 시절에 조만식(曺晩植)을 교장으로 서춘(徐椿)·이돈화(李敦化)·김억(金億)을 스승으로 모시고 배웠다.
특히, 그의 시재(詩才)를 인정한 김억을 만난 것이 그의 시에 절대적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문단의 벗으로는 나도향(羅稻香)이 있다. 일본에서 귀국한 뒤 할아버지가 경영하는 광산 일을 도우며 고향에 있었으나 광산업의 실패로 가세가 크게 기울어져 처가가 있는 구성군으로 이사하였다.
그곳에서 동아일보지국을 개설, 경영하였으나 실패한 뒤 심한 염세증에 빠졌다. 1930년대에 들어서 작품활동은 저조해졌고 그 위에 생활고가 겹쳐서 생에 대한 의욕을 잃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1934년에 고향 곽산에 돌아가 아편을 먹고 자살하였다.
시작활동은 1920년『창조(創造)』에 시 「낭인(浪人)의 봄」·「야(夜)의 우적(雨滴)」·「오과(午過)의 읍(泣)」·「그리워」·「춘강(春崗)」 등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작품발표가 활발해지기 시작한 것은 1922년 배재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하면서부터인데, 주로 『개벽』을 무대로 활약하였다.
이 무렵 발표한 대표적 작품들로는, 1922년『개벽』에 실린 「금잔디」·「첫치마」·「엄마야 누나야」·「진달래꽃」·「개여울」·「제비」·「강촌(江村)」 등이 있고, 1923년 같은 잡지에 실린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삭주구성(朔州龜城)」·「가는 길」·「산(山)」, 『배재』 2호의 「접동」, 『신천지(新天地)』의 「왕십리(往十里)」 등이 있다.
그 뒤 김억을 위시한 『영대(靈臺)』 동인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이 무렵에 발표한 대표적 작품들을 게재지별로 살펴보면, 『영대』에 「밭고랑 위에서」(1924)·「꽃촉(燭)불 켜는 밤」(1925)·「무신(無信)」(1925) 등을, 『동아일보』에 「나무리벌노래」(1924)·「옷과 밥과 자유」(1925)를, 『조선문단(朝鮮文壇)』에 「물마름」(1925)을, 『문명(文明)』에 「지연(紙鳶)」(1925)을 발표하고 있다.
소월의 시작활동은 1925년 시집 『진달래꽃』을 내고 1925년 5월『개벽』에 시론 「시혼(詩魂)」을 발표함으로써 절정에 이르렀다. 이 시집에는 그동안 써두었던 전 작품 126편이 수록되었다. 이 시집은 그의 전반기의 작품경향을 드러내고 있으며, 당시 시단의 수준을 한층 향상시킨 작품집으로서 한국시단의 이정표 구실을 한다.
민요시인으로 등단한 소월은 전통적인 한(恨)의 정서를 여성적 정조(情調)로서 민요적 율조와 민중적 정감을 표출하였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되고 있다.
생에 대한 깨달음은 「산유화」·「첫치마」·「금잔디」·「달맞이」 등에서 피고 지는 꽃의 생명원리, 태어나고 죽는 인생원리, 생성하고 소멸하는 존재원리에 관한 통찰에까지 이르고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시 「진달래꽃」·「예전엔 미처 몰랐어요」·「먼후일」·「꽃촉불 켜는 밤」·「못잊어」 등에서는 만나고 떠나는 사랑의 원리를 통한 삶의 인식을 보여줌으로써 단순한 민요시인의 차원을 넘어서는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생에 대한 인식은 시론 「시혼」에서 역설적 상황을 지닌 ‘음영의 시학’이라는, 상징시학으로 전개되고 있다. 시집 『진달래꽃』 이후의 후기 시에서는 현실인식과 민족주의적인 색채가 강하게 부각된다.
민족혼에 대한 신뢰와 현실긍정적인 경향을 보인 시로는 「들도리」(1925)·「건강(健康)한 잠」(1934)·「상쾌(爽快)한 아침」(1934)을 들 수 있고, 삶의 고뇌를 노래한 시로는 「돈과 밥과 맘과 들」(1926)·「팔벼개 노래」(1927)·「돈타령」(1934)·「삼수갑산(三水甲山)·차안서선생삼수갑산운(次岸曙先生三水甲山韻)」(1934) 등을 들 수 있다.
시의 율격은 삼음보격을 지닌 7·5조의 정형시로서 자수율보다는 호흡률을 통해 자유롭게 성공시켰으며, 민요적 전통을 계승, 발전시킨 독창적인 율격으로 평가된다. 또한, 임을 그리워하는 여성화자(女性話者)의 목소리를 통하여 향토적 소재와 설화적 내용을 민요적 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민족적 정감을 눈뜨게 하였다.
1981년 예술분야에서 대한민국 최고인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시비가 서울 남산에 세워져 있다. 저서로 생전에 출간한 『진달래꽃』 외에 사후에 김억이 엮은 『소월시초(素月詩抄)』(1939), 하동호(河東鎬)·백순재(白淳在) 공편의 『못잊을 그사람』(1966)이 있다.

 
Kwan Ho Chung - August 26, 2019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067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186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780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715
438 길에서 만난 한식 [1] 2024.04.03 정관호*63 2024.04.09 26
437 돌아오는 기러기 [1] file 2024.03.27 정관호*63 2024.04.10 38
436 蜀相(촉상): 촉한 승상 제갈량 [1] 2024.03.15 정관호*63 2024.04.12 52
435 왕소군 고향에서 [1] 2024.03.08 정관호*63 2024.03.20 51
434 봄날의 원망 [1] 2024.02.16 정관호*63 2024.02.16 46
433 내 마음은 가을 달 [1] 2024.02.08 정관호*63 2024.02.14 481
432 연꽃 한송이 [1] 2024.02.01 정관호*63 2024.02.01 56
431 詠懷古蹟 其五(영회고적 기오)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5회 제갈랑 편 [1] 2024.01.15 정관호*63 2024.01.17 55
430 詠懷古蹟 其四(영회고적 4회):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4회. 유비 편 [1] 2024.01.07 정관호*63 2024.03.04 79
429 除夜 戴復古: 제야 대복고 [4] 2023.12.30 정관호*63 2024.01.07 73
428 傷春: 상춘 [1] 2023.12.21 정관호*63 2023.12.27 69
427 蝶戀花·送春 : 꽃사랑 나비; 봄을 보내다 [1] 2023.11.24 정관호*63 2023.11.27 74
426 山行: 산행 [1] 2023.11.07 정관호*63 2023.11.10 73
425 楓橋夜泊: 풍교에서 밤에 숙박하다 [1] 2023.09.20 정관호*63 2024.02.08 58
424 Ode on West Islet [1] file 2023.08.24 정관호*63 2024.04.13 42
423 過零丁洋: 영정양을 건너다 [1] 2023.08.17 정관호*63 2023.08.20 91
422 長樂少年行: 장락소년행 [1] 2023.08.10 정관호*63 2023.08.12 65
421 曲池荷(곡지하): 곡지의 연꽃 [1] 2023.08.01 정관호*63 2023.08.02 194
420 春暸(춘요): 봄날이 밝아오다 [1] file 2023.07.15 정관호*63 2023.08.07 74
419 歸終南山(귀종남산): 종남산으로 돌아오다 [1] 2023.07.08 정관호*63 2023.07.08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