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天寒翠袖薄,日暮倚修竹。全诗意思及赏析| 古文学习网

佳人 杜甫
佳人 杜甫
가인 두보

絶代有佳人 幽居在空谷
절대유가인하니 유거재공곡을

自云良家子 零落依草木
자운양가자나 영락의초목을

關中昔喪亂 兄弟遭殺戮
관중석상란에 형제조살육을

官高何足論 不得收骨肉
관고하족논고 부득수골육을

世情惡衰歇 萬事隨轉燭
세정오쇠헐하니 만사수전촉을

夫胥輕薄兒 新人美如玉
부서경박아하니 신인미여옥을

合昏尙知時 鴛鴦不獨宿
합혼상지시오 원앙불독숙을

但見新人笑 那聞舊人哭
단견신인소요 나문구인곡고

在山泉水淸 出山泉水濁
재산천수청이요 출산천수탁을

侍婢賣珠廻 牽蘿補茅屋
시비매주회하니 견라보모옥을

摘花不揷發 採柏動盈掬
적화불삽발이요 채백동영국을

天寒翠袖薄 日暮依脩竹
천한취수박하니 일모의수죽을
아름다운 사람
성당 시성 두자미

절세의 가인이 있으니,
빈 골짜기에 그윽히 살고 있었네.

말하기를 양가집 딸이었는데,
몰락하여 초목에 의탁하고 있도다.

관중 땅이 옛날 전화로 짓밟힐 때,
형제들은 죽임을 당했도다.

벼슬 높은 것 족히 말할 것인가?
골육도 거두지 못했던 것을.

세태는 망하고 쇠함을 싫어하니,
모든 일이 촛불을 따라가네.

남편은 경박한 사람이어서,
새 여인은 옥같이 아름답다고...

합혼 초는 때를 알고,
원앙은 홀로 자지 않건만.

오로지 새 여인의 웃음만 볼 뿐,
어찌 옛처의 울음이 들릴 건가?

산에 있을 때 샘물은 맑고,
산을 떠남에 샘물은 흐려지네.

하녀는 구슬을 팔고 돌아와서,
덩굴을 끌어 초가집을 매만지네.

꽃을 따서 머리에 꽂지 않고,
측백 잎을 뜯어 한 옹큼 되었네.

추운 날 푸른 옷소매가 엷고,
날이 어두움에 대나무에 기대이네.
ALONE IN HER BEAUTY Du Fu

Who is lovelier than she? Yet she lives alone in an empty valley.
She tells me she came from a good family, Which is humbled now into the dust.

... When trouble arose in the Kuan district, Her brothers and close kin were killed.
What use were their high offices, Not even shielding their own lives? --

The world has but scorn for adversity; Hope goes out, like the light of a candle.
Her husband, with a vagrant heart, Seeks a new face like a new piece of jade;

And when morning-glories furl at night And mandarin-ducks lie side by side,
All he can see is the smile of the new love, While the old love weeps unheard.

The brook was pure in its mountain source, But away from the mountain its waters darken.
...Waiting for her maid to come from selling pearls For straw to cover the roof again,

She picks a few flowers, no longer for her hair, And lets pine-needles fall through her fingers,
And, forgetting her thin silk sleeve and the cold, She leans in the sunset by a tall bamboo.
 
佳人 朗誦 Youtube:for recitation


佳人 image
绝代有佳人,幽居在空谷——精读《唐诗三百首》之杜甫《佳人》 - 简书
 

감상
이 아름답고 정숙한 가인이 남편에게 버림받고, 골짜기에 조용히 살아가는 모습이, 마치 현신이 君王(군왕)에게 버림받음과 같다고 흔히 비유한다. 난리 때문에 집안이 몰락하고, 아는 사람과 남편에게 버림을 받았지만, 올바른 절조를 지키며 꿋꿋이 살아가는 가인을 노래하였다. 다음은 당시 삼백수에서 어역과 분석을 실었다.

어역(語譯)
이 여인은 일대에 다시 없을 아름다운 가인이었고, 그윽히 산 골짜기 속에서 살고 있었다. 여인의 말에 의거하건대 원래 좋은 집 딸로 불행을 만남으로 인하여 신세가 표령하여 오로지 기꺼이 몸을 초목에 의탁하게 되었다. 종전 관중에 일대 병화가 있었을 지음 (안록산 난을 말함), 그녀 집의 형제는 모두 죽엄을 당했으니,벼슬이 높음이 무슨 소용이 있으랴! 골육의 매장도 못할 지경이었으니.
인정이란 이렇게 야박하고 세사가 변함이 심하니, 바람 앞에 돌아가며 움직이는 촛불을 연상케하도다. 그 녀가 시집간 신랑이란 한갖 경박한 자이었으니, 그 녀의 집안이 몰락함을 보고서 별로이 새 사람을 얻고 이 불운의 가인을 버리기에 이르렀다. 합혼이란 꽃은 아침에 꽃잎을 열고 저녁 때 꽃잎이 합치며, 원앙새는 서로 마주하여 홀로 자는 일이 없건만, 오로지 새 사람이 즐겨 웃는것만 보고, 옛 사람이 눈물을 흘림을 어찌 들을 수 있겠는가?
샘물이 산속에 있을 때는 맑고, 산을 떠나면 문득 변하여 혼탁해 지네. 생활을 하고자 주옥 패물을 팔아 오고, 때로는 초가가 헐어지면 담장이를 끌어 스스로 보수를 하네. 부인은 두번 다시 꽃을 따서 머리에 꽂지 않고, 오로지 측백나무 잎을 한웅큼 안고 오네.
천기가 추워지니 푸른 홑 옷이 얇아 보임이 뚜렷하고, 황혼에 저녁이 서서히 다가오니, 자기 몸을 긴 대나무에 기대어 있으니, 마치 이 여인의 굿건한 정숙함은 절대로 굽히지 않음을 보이는 듯 하다.

分析
이 시는 六段(육단)으로 나누어지니, 가인이 난리를 만나고, 남편이 정숙하지 못했으나 굳건한 정절을 스스로 지킬 수 있었다.
前四句(전사구)는 가인이 불행을 만나 그윽히 빈 산 속에서 살며, 몸을 풀과 쑥에 의탁하였음을 묘사하였고,
關中四句(관중사구)는 가인의 친가가 참혹한 변고를 만났음을 서술하고,
世情四句(세정사구)는 세상사 변화가 많고 사람의 마음은 측량하기 힘들고, 남편은 경박하여 여인의 집이 몰락함을 보고 장차 가인을 버리고 새 사람을 얻었음을 서술한다.
合昏四句(합혼사구)는 새 사람은 기뻐하고 옛 사람은 곡을 하니, 만물이 오히려 서로 의지함을 알건만 사람은 문득 옛 사람을 버리고 새 사람을 구할 마음을 가졌음을 서술하고,
在山四句(재산사구)는 샘 물이 산에 있음으로써 가인의 정결(정숙하고 깨끗함)을 비유하고, 구슬을 팔아 집을 보수하니 가인의 安貧樂道(안빈낙도)함을 보인다.
末四句(말사구)는 가인이 버림받고 능히 정절을 스스로 지키며, 竹柏(죽백: 대나무와 참나무)과 스스로 비함에더욱 의론할 필요가 없었고, 貞潔(정결)항이 말 밖으로 넘치었다.
淸 仇兆鱉 杜詩 詳注(청 구조별 두시 상주)에서 밀하기를 [천보난후에 응당 실제로 그 사람이 있었으니, 그리하여 형용이 그 정을 곡진히 표현하였다]
楊億詩에<獨自憑欄干, 衣襟生暮寒> 즉 홀로 난간에 기대이니 옷 깃에 저녁 추위가 생기네 하였다. 여기 두보시의 ‘천한취수구’는 이리하여 위아래를 스스로 보니, 이 어찌 두보 시에 불복할 건가?하였다.

作者 杜甫(작자 두보)
Du Fu - Wikipedia두보(중국어 정체자: 杜甫, 병음: Dù Fǔ 두푸[*], 712년 ~ 770년)는 당나라 때의 시인이다.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야로(少陵野老). 중국 고대 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시성(詩聖)이라 부르며, 그의 작품은 시사(詩史)라 부른다. 이백과 함께 이두(李杜)라고도 일컬으며, 그 당시 정의가 없는 경제구조로 고통받는 민중들의 고단한 삶을 시로 묘사한 민중시인이다.
중앙 정부에서 벼슬하리라는 희망을 끝내 놓을 수 없었기에, 768년에 협곡을 빠져 나가 강릉(江陵)을 거쳐 악양(岳陽)에 이르렀다. 이후 그의 생활은 주로 선상에서 이루어졌고 건강이 악화되고 경제적으로 궁핍한 가운데, 악양과 담주(潭州)사이를 전전하다 뱃길에서 770년 59세로 일생을 마쳤다.
그의 고시에는 현실을 심각하게 묘사한 《병거행》등 작품이 적지 않은데, 시로 엮은 역사라는 뜻에서 '시사'라 일컫는다. 그는 율시를 완성하고 종래 문학 전통의 집대성이라는 형식으로 서정시·서사시를 창조하였다.2009년에 개봉한 대한민국 허진호 감독의 영화 《호우시절》은 두보의 시 《춘야희우》(春夜喜雨)의 첫 구절 '좋은 비는 시절을 안다'(好雨知時節)에서 따온 제목이다.

註釋

零落(영락): 몰락. 喪亂(상란): 戰亂(전란)과 같은 뜻으로 전쟁에 짓밟히다.
惡衰歇(오쇠흘): 쇠하고 망함을 싫어하다는 뜻이니, 이는 몰락한 사람이나 집안을 싫어한다는 의미이다.
合昏(합혼): 풀이름으로 밤이 되면 잎새가 합쳐지다. 牽蘿(견라): 넝쿨을 끌어 당기다.
茅屋(모옥); 띠풀로 엮은 집 즉 초가. 動(동): 往往。이따금, 때때로.
盈掬(영국): 두 손에 가득히 쥐다.
修竹(수죽):高高的竹子。 比喻佳人高尚的節操。키 큰 대나무이니 가인의 고상한 절조를 비유하다.

 
Kwan Ho Chung - October 20, 2019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7770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1854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497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427
437 돌아오는 기러기 [1] 2024.03.27 정관호*63 2024.03.28 16
436 蜀相(촉상): 촉한 승상 제갈량 [1] 2024.03.15 정관호*63 2024.03.15 34
435 왕소군 고향에서 [1] 2024.03.08 정관호*63 2024.03.20 37
434 봄날의 원망 [1] 2024.02.16 정관호*63 2024.02.16 36
433 내 마음은 가을 달 [1] 2024.02.08 정관호*63 2024.02.14 470
432 연꽃 한송이 [1] 2024.02.01 정관호*63 2024.02.01 50
431 詠懷古蹟 其五(영회고적 기오)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5회 제갈랑 편 [1] 2024.01.15 정관호*63 2024.01.17 46
430 詠懷古蹟 其四(영회고적 4회):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4회. 유비 편 [1] 2024.01.07 정관호*63 2024.03.04 71
429 除夜 戴復古: 제야 대복고 [4] 2023.12.30 정관호*63 2024.01.07 69
428 傷春: 상춘 [1] 2023.12.21 정관호*63 2023.12.27 67
427 蝶戀花·送春 : 꽃사랑 나비; 봄을 보내다 [1] 2023.11.24 정관호*63 2023.11.27 69
426 山行: 산행 [1] 2023.11.07 정관호*63 2023.11.10 68
425 楓橋夜泊: 풍교에서 밤에 숙박하다 [1] 2023.09.20 정관호*63 2024.02.08 52
424 Ode on West Islet [1] file 2023.08.24 정관호*63 2024.02.19 39
423 過零丁洋: 영정양을 건너다 [1] 2023.08.17 정관호*63 2023.08.20 88
422 長樂少年行: 장락소년행 [1] 2023.08.10 정관호*63 2023.08.12 54
421 曲池荷(곡지하): 곡지의 연꽃 [1] 2023.08.01 정관호*63 2023.08.02 180
420 春暸(춘요): 봄날이 밝아오다 [1] file 2023.07.15 정관호*63 2023.08.07 66
419 歸終南山(귀종남산): 종남산으로 돌아오다 [1] 2023.07.08 정관호*63 2023.07.08 67
418 經漂母墓(경표모묘): 빨래하던 여인 무덤을 지나며 [1] file 2023.07.01 정관호*63 2023.09.14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