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張籍《野老歌》全詩鑑賞- 每日頭條
 
野老歌 張籍
야로가 장적
野老歌 張籍
야로가 장적

老農家貧在山住,耕種山田三四畝。
노농가빈재산주, 경종산전삼사묘.

苗疏稅多不得食,輸入官倉化為土。
묘소세다부득식, 수입관창화위토.

歲暮鋤犁傍空室,呼兒登山收橡實。
세모서리방공실, 호아등산수상실.

西江賈客珠百斛,船中養犬長食肉。
서강가객주백곡, 선중양견장식육.
늙은 농부의 노래
당조 시인 장적

늙은 농부 집 가난해 산에 사는데,
산밭에 씨 뿌리니 삼사묘 뿐이라네.

곡식싹 성기고 세금 많아 먹을게 없고,
수입한 관가창고에 곡식은 흙 되어버려.

연말 되어 쟁기는 빈방 곁에 두고서,
아이 불러 산에 올라 도토리 거두네.

서강 상인은 구슬이 백곡이나 되니,
배안에 개길러 오래동안 고기 먹이네.
 
野老歌 image
张籍这首《野老歌》对比强烈鲜明,最后两句急转直下却发人深省- 每日头条
 

注釋(주석)
野老歌(야로가):一作“山農詞”。農(농)::一作“翁”。野老(야로); 村野老人(촌야노인) 즉 시골노인을 말함.
官倉(관창): 指各地官員稅收,此指貪官。지방 각지 세금을 받는 관원인데 탐관을 말함
橡實(상실):橡樹的果實,荒年可充饑。 도토리
一畝(일묘); 六十平方丈=60丈², Chinese unit of area mu(1/15 of a hectare)1 hectare=2.5 acre 一畝= 2.47105 /15 acre=0.1647Acre. 3畝=0.4941≈-0.5.Acre/ 4畝=0.6588≈0.66 Acre 3, 4 畝(묘)는 대략 반 에이커 남짓한 밭이다. 아마 700평 정도라고 생각함.
斛(곡) : 是古代容積單位。唐朝之前,斛為民間對石的俗稱,1斛=1石,1石=10斗=120斤。漢朝•許慎《說文解字》:“斛,十斗也。” 예전에 시장에서 쓰던 단위로 1石은 10 말이고 1斗는 열 되였으니, 대단한 용량이다.
이 단위는 내가 한국을 떠날때에도 썼으니 1石은 한 가마니이고, 1斗는 한 말로서 열 되였고,어머니 따라 국제시장에 가서 쌀을 살 때 겨우 한 되를 사갖고 오는게 다행이었다. 여기서 百斛(백곡)이라하니 이는 상상을 불허하는 대량을 말한다. 한 되 = 1.8039 리터 , 1 리터 = 1000세제곱센티미터(cm3) = 1000cm3 = 10cm X 10cm X10cm
韻腳(운각); 韻腳是韻文(詩、詞、歌、賦等)句末押韻的字。

翻譯(번역)
노옹이 가난해서 산속에 살며 3, 4묘 땅에 경작을 하며 빈곤한 생활을 유지하였다.
밭은 작고 세금은 많아 먹거리가 없지만 관청창고에 쌓인 곡식은 쓰지 않아서 썩고서 결국 흙이 되었다,
연말이 되니 빈방에 농기구만 있어서 어린애를 데리고서 도토리 줏어 허기를 메꾸려 한다.
한편 서강변에 부자상인의 배 안에는 개 길러 먹이는 고기가 떨어지지 않는다.

老翁家貧住在山中,靠耕種三四畝貧瘠的山田來維持生活。田畝少,賦稅多,沒有吃的;糧食送進官府的倉庫,最後腐爛變質,化為泥土。老農在殘酷的剝削之下,一年到頭,家中只剩下鋤頭、犁耙靠在空房子里面,為了生存,只好叫兒子上山去拾橡子充饑。從長江西面來的富商的船中,成百上千的珠寶用斛來計量,就連船上養的狗都天天吃肉。

賞析(상석>
詩共八句,很短,但韻腳屢換。詩意可按韻的轉換分為三層。前四句開門見山,寫山農終年辛勞而不得食。“老農家貧在山住,耕種山田三四畝”,“山”字兩見,強調這是一位山農(詩題一作《山農詞》)。 山地貧瘠,廣種薄收,“三四畝”收成不會很多。而深山為農,本有貧困而思逃租之意。但安史亂後的唐王朝處在多事之秋,財政困難,封建剝削無孔不入。“縱使深山更深處,也應無計避征徭”。 “苗疏”意味收成少,收成少而“稅多”,必然產生勞動者“不得食”的不合理現象。如僅僅寫到糧食“輸入官倉”那樣一種司空見慣的事實為止,深度還不夠,而“化為土”三字的寫出,方才揭示出一種怵目驚心的社會現實。 一方面是老農終年做牛馬,使土地長出糧食;一方面是官家不勞而獲,且輕易把糧食“化為土”,這實際上構成一種鮮明的對比關系。好在不但表現出老農被剝奪的痛苦,而且表現出他眼見心血被踐踏的痛心。所以,雖然只道事實,語極平易,讀來至為沈痛,字字飽含血淚。

이 시는 모두 8구이며 짧고, 단 운각이 자주 변하였다. 시의 뜻은 가히 운이 전환되어 삼층으로 나뉘었다. 전 4구는 문을 열때 산을 보고 산 농사지은 한 해에 몸은 고되고 먹을 수 없었다.
= 첫 두구에 '산'자가 나오는데 이는 '산'농의 작임을 강조한다. 산의 땅이 빈약하여 씨를 많이 뿌려도 수확이 박하니, 땅 삼사묘의 수확이 넉넉지 못하다.
었지만, 관청관리는 힘들지않게 세금만 빼앗어가고, 또 양식을 쌓아두어 흙이 되니, 이에 관리와 백성간에 심각한 갈등과 대립관계를 만든다.
오로지 농부의 박탈당하는 고통만 표현하지 않고, 또한 그가 눈앞에서 못된 관리들에게 밢힘을 보니 얼마나 마음이 아프리오?

장적(张籍:约766年 — 约830年)
恨不相逢未嫁時?大唐詩人張籍想表達什麽意思? | PTT新聞字文昌,자는 문창 唐代诗人,당대의 시인으로 和州乌江(今安徽和县乌江镇)화주오강(지금의 안휘성 화현 오강진)人사람으로 。汉族,한족이다 先世移居和州,선대에 화주로 옴겨왔다 遂为和州乌江(今安徽和县乌江镇)人따라서 화주 오강 인으로써 。世称“张水部”、“张司业”세칭 장수부 또는 장사업 으로 불림。张籍为韩愈大弟子 장적은 한유의 대 제자이며,其乐府诗与王建齐名 그의 악부시는 왕건과 더불어 유명이 있다,并称“张王乐府”병칭 장왕 악부라 불렸다。代表作有《秋思》、《节妇吟》、《野老歌》等

 
Kwan Ho Chung – February 12, 2021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132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267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850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787
439 [시조]懷古歌: 회고가 [1] 2024.04.21 정관호*63 2024.04.21 7
438 길에서 만난 한식 [1] 2024.04.03 정관호*63 2024.04.09 29
437 돌아오는 기러기 [1] file 2024.03.27 정관호*63 2024.04.18 42
436 蜀相(촉상): 촉한 승상 제갈량 [1] 2024.03.15 정관호*63 2024.04.12 57
435 왕소군 고향에서 [1] 2024.03.08 정관호*63 2024.03.20 55
434 봄날의 원망 [1] 2024.02.16 정관호*63 2024.02.16 46
433 내 마음은 가을 달 [1] 2024.02.08 정관호*63 2024.02.14 482
432 연꽃 한송이 [1] 2024.02.01 정관호*63 2024.02.01 56
431 詠懷古蹟 其五(영회고적 기오)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5회 제갈랑 편 [1] 2024.01.15 정관호*63 2024.01.17 57
430 詠懷古蹟 其四(영회고적 4회):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4회. 유비 편 [1] 2024.01.07 정관호*63 2024.03.04 82
429 除夜 戴復古: 제야 대복고 [4] 2023.12.30 정관호*63 2024.01.07 73
428 傷春: 상춘 [1] 2023.12.21 정관호*63 2023.12.27 69
427 蝶戀花·送春 : 꽃사랑 나비; 봄을 보내다 [1] 2023.11.24 정관호*63 2023.11.27 75
426 山行: 산행 [1] 2023.11.07 정관호*63 2023.11.10 75
425 楓橋夜泊: 풍교에서 밤에 숙박하다 [1] 2023.09.20 정관호*63 2024.02.08 59
424 Ode on West Islet [1] file 2023.08.24 정관호*63 2024.04.13 44
423 過零丁洋: 영정양을 건너다 [1] 2023.08.17 정관호*63 2023.08.20 97
422 長樂少年行: 장락소년행 [1] 2023.08.10 정관호*63 2023.08.12 67
421 曲池荷(곡지하): 곡지의 연꽃 [1] 2023.08.01 정관호*63 2023.08.02 194
420 春暸(춘요): 봄날이 밝아오다 [1] file 2023.07.15 정관호*63 2023.08.07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