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7gBpGxZTA4AzDAdhcnicyKAe8sdjvXjLFBDOF1YD
 
烏棲曲 唐代 李白
오서곡 당대 이백
烏棲曲
오서곡

姑蘇台上烏棲時,吳王宮裡醉西施。
고소대상오서시에 오왕궁리취서시를.

吳歌楚舞歡未畢,青山欲銜半邊日。
오가초무환미필하니, 청산욕함반변일을.

銀箭金壺漏水多,起看秋月墜江波。
은전금호누수다하니, 기간추월타강파를.

東方漸高奈樂何!
동방점고내락하오!
까마귀 깃들던
노래 부르니

고소대위에 까마귀깃들던 시절
오왕궁안에 서시는 이미 취했도다.

오국 노래 초국 춤에 기쁨이 끝나지않아
푸른산은 반쪽 남은 해를 삼키려하네.

은화살 금병속에 새는 물이 많았으니,
일어나 가을달 강물결에 떨어짐 보네.

동편이 점차 밝아오니,
이 기쁨 어이하리!
 
姑蘇台 image
th?id=OIP.5oF8IUNTCue75evS51CCuwHaDR&pid

西施 image
我们找到了西施的画像,并不是你想象中的模样

烏棲曲 Youtube


 

詞句注釋(사구주석)

烏棲曲(오서곡):六朝樂府《清商曲辭》西曲歌調名,內容多歌詠艷情。육조악부”청상곡사”로 내용에 염정이 많은 노래다.
姑蘇台(고소대):在吳縣西三十里姑蘇山上,為吳王夫差所築,上建春宵宮,為長夜之飲。又作天池,池中造青龍舟,盛陳音樂,日與西施為水嬉(見《述異記》)。烏棲時:烏鴉停宿的時候,指黃昏。오현 서편 30리에 고소산상에 있으며, 오왕부차가 건축하여서 춘소궁을 지었고, 긴밤에 주연을 열었고, 천지란 못을 만들어 못속에 청룡주란 배를 띄워 음악을 즐겼으며 매일 서시와 더불어 즐겼다. 오서시란 까마구가 자려고 새집에 가는 때이니 황혼을 말한다.
吳王(오왕):即吳王夫差。夫差敗越國,納越國美女西施,為築姑蘇台。姑蘇台舊址在今江蘇蘇州,據《述異記》載,台周環詰屈,橫亙五里,崇飾土木,殫耗人力,三年乃成。內充宮妓千人,又別立春宵宮,造千石酒鐘,作大池,池中造青龍舟、陳妓樂,吳王日與西施為長夜歡 오왕이라함은 바로 부차를 가르키며 월나라를정복한후 서시를데려다가 고소대를 지었는데 현재 강소소주지역이다. 고소대 폭이 5리나 되었고, 이를 완성하는데 3년이나 걸려 많은 인력을 소모하였고, 궁녀는 천명이나 되었고, 또 춘소궁을 따로 지었고, 천석이나 들어가는 술종을 만들었고, 큰 못을 지어 그속에 청룡주를 띄웠고, 매일 낮과 밤에 환략을 하였다.
吳歌楚舞(오가초무):吳楚兩國的歌舞。오와 초 두 나라의 가무를 말한다.
“青山”句(:청산구”):寫太陽下山的情景。銜半邊日:太陽將要落山。태양이 산아래로 내려가는 정경이다. 반쪽된 해를 물으니, 태양이 장차 산아래로 내려간다는 뜻이다.
銀箭金壺(은전금호):指刻漏,為古代計時工具。其制,用銅壺盛水,水下漏。水中置刻有度數箭一枝,視水面下降情況確定時履。이는 각루 즉 물시계을 지적하여 고대의 시계이다. 즉 구리병을 물로 가득채워서 물이 내려가고 물속에 색임을 넣어서 몇개의 화살로 1도를 헤아려서, 수면아래로 내려감을 보고 시간을 정하였다.
秋月墜江波(추월타강파):黎明時的景像。“東方漸高(동방점고)”,東方的太陽漸漸升起。가을달이 강물결에 떨어지다는 날이 밝을 무렵을 말하다.
東方漸高(동방점고):東方漸曉。高,同“皜”,白,明,曉色。奈樂何(내락하):一作“奈爾何(내이하). 동방이 밝아온다는 뜻

白話譯文(백화역문)

姑蘇台上的烏鴉剛剛歸窩之時,吳王宮裡西施醉舞的宴飲就開始了。고소대위 까마귀가 방금 집에 돌아올 때 오왕궁안 서시는 연회가 개시되어 취한 채 춤을 추었도다.
飲宴上的吳歌楚舞一曲未畢,太陽就已經落山了。주연에서 오나라 노래 초나라 춤 한곡이 끝나기도 전에 태양은 이미 산아래로 내려가도다.
金壺中的漏水滴了一夜,吳王宮山的歡宴還沒有結束,吳王起身看了看將要墜入江波的秋月。금호속의 누수는 밤새도록 떨어지니, 오왕궁속 환락의 연회는 끝날줄 몰라…마침내 오왕은 몸 일으켜 겅물결에 떨어지는 가을 달 바라보네.
天色將明,仍覺余興未盡,就是天亮了,又可奈何我樂興未艾哉! 천색은 점차 밝아오지만 여흥은 다하지않고, 드디어 하늘이 환하게 밝으니 또한 내 기쁨과 흥취를 어찌하리!!!

鑑賞(감상)
《烏棲曲》是樂府《清商曲辭·西曲歌》舊題。現存南朝梁簡文帝、徐陵等人的古題,內容大都比較靡豔,形式則均爲七言四句,兩句換韻。李白此篇,不但內容從舊題的歌詠豔情轉爲諷刺宮廷淫靡生活,形式上也作了大膽的創新。 相傳吳王夫差耗費大量人力物力,用三年時間,築成橫亙五里的姑蘇臺(舊址在今蘇州市西南姑蘇山上),上建春宵宮,與寵妃西施在宮中爲長夜之飲。詩的開頭兩句,不去具體描繪吳宮的豪華和宮廷生活的淫靡,而是以洗煉而富於含蘊的筆法,勾畫出日落烏棲時分姑蘇臺上吳宮的輪廓和宮中美人西施醉態朦朧的剪影。“烏棲時”,照應題面,又點明時間。詩人將吳宮設置在昏林暮鴉的背景中,無形中使“烏棲時”帶上某種象徵色彩,使人們隱約感受到包圍着吳宮的幽暗氣氛,聯想到吳國日暮黃昏的沒落趨勢。而這種環境氣氛,又正與“吳王宮裏醉西施”的縱情享樂情景形成鮮明對照,暗含樂極悲生的意蘊。這層象外之意,貫串全篇,但表現得非常隱微含蓄。 創作背景(창작배경)

此詩是李白於開元十九年(731年)在吳越一帶漫游時所作,這裡是當年吳王夫差與美女西施日夜酣歌醉舞的地方,李白懷古有感,寫了一首詠史詩《烏棲曲》。其時當與《蘇台覽古》的創作時間相隔不久。詩表面上寫吳王,實際上諷刺唐玄宗。
이 시는 이백이 개원십구년 (731년)에 오월일대를 만유하며 지은 시로서 그속에 당년의 오왕부차가 미녀서시와 더불어 밤낮으로 술마시고 흥겨워 노래부르며 취한채 춤추던 지역에서 회고하며 느낀 바가 있어 역사를 읊b으며 지었던 한편의 시다.

名家點評(명가점평) : 문호의 평가

唐代範傳正《唐左拾遺翰林學士李公新墓碑序》:在長安時,秘書監賀知章號公為謫仙人,吟公《烏棲曲》云:“此詩可以哭鬼神矣。” 당대 범전정에 의하면,”이시는 가히 귀신을 울릴만 하다.” 唐代孟棨《本事詩》:賀(知章)又見其《烏棲曲》,嘆賞苦吟。曰:“此詩可以泣鬼神矣。”故杜子美贈詩及焉。……或言是《烏夜啼》,二篇未知孰是,故兩錄之。 明代高棅《唐詩品彙》:蕭士赟云:此樂府深得《國風》刺詩之體。이 악부는 자시지체를 깊이 터득하였다.
明代桂天祥《批點唐詩正聲》:風格音調,萬世之祖。“吳歌”以下、便覺吳有敗亡之禍。至“起看秋月”二句,意思委蜿,反復諷誦,為之淚下。”일어나 바라보니, 가을달 강물결에 떨어졌도다” 이 2수에서 의사가 위완하니, 반복 읊음에 눈물을 흘리게 하도다.
明代鐘惺、譚元春《唐詩歸》:鐘云:哀樂含情,妙在都不說破。애락함정이 그 안에 있어 설파할 도리가 없도다.
明代周珽《唐詩選脈會通評林》:此借吳宮事以諷明皇與貴妃為長夜飲。熔煉締構,變化自成,便可擲斤置削。
明代李攀龍、袁宏道《唐詩訓解》:此因明皇與貴妃為長夜飲,故借吳宮事以諷之。……按“李杜樂府皆有所托意而發,非若今人無病而強呻吟者。仍子美直賦時事,太白則援古以諷今,今讀者鮮識其旨。
明代梅鼎祚、屠隆《李杜二家詩鈔評林》:蕭士赟曰:盛言其美,而不美自見,深得《國風》之體。풍성한 말이 아름다움이니 아름답다고 하지 않아도 스스로 보이도다.
明末清初邢昉《唐風定》:情思亦諸家所有,吐辭縹緲,語帶雲霞,則俱不及。
明末清初王夫之《姜齋詩話》:艷詩有述歡好者,有述怨情者,《三百篇》亦所不廢。……至如太白《烏棲曲》諸篇,則又寓意高遠,尤為雅奏。이 풍자의 뜻이 높고 멀어서 더욱 우아하도다.
明末清初王夫之《唐詩評選》:蠆尾銀鉤,結構特妙。總此數語,由人下度。正使後人誤解,方見圈饋之大。“青山”句天授,非人力。”청산은 반쪽해를 물려고하네”는 하늘에서 받았지 어찌 사람의 힘이라고 하리오! 清代沈德潛《唐詩別裁》:末句“為樂難久”也。綴一單句,格奇。
清高宗敕編《唐宋詩醇》:樂極生悲之意,寫得微婉。荒宴未幾,而糜鹿游於姑蘇矣。全不說破,可謂興寄深微者。胡應麟以杜之《七哀》雋永深厚,法律森然,謂此篇斤兩稍輕,詠嘆不足,真意為謗傷,未足與議也。末綴一革句,有不盡之妙。기쁨이 지극하면 비애가 생기니, 아름다움은 그리니 황연이 오래가지 않고 결국 큰 사슴이 고소대에서 놀게 되었다.
清代宋宗元《網師園唐詩箋》:音節寥亮,搖搖曳曳,言簡味長。 음절이 밝아서 흔들리니 글은 간략하고 뜻은 길다.
清代陳僅《竹林答問》:鮑照《代白貯舞歌》、李太白《烏棲曲》、郎上元《塞下曲》,結體用韻各異,可以為法。
清代方東樹《昭昧詹言》:太白層次插韻,此最迷人,真太史公文法。玩《烏棲曲》可悟。운을 넣을때마다 사람을 매혹시키다.
清代劉文蔚《唐詩合選詳解》:王冀云曰:此篇七句二轉韻,而以首二句為根。

정관호 생각:
명대 계천상이 극찬했던 이 구절을 다시 한번 음미해본다.
”은전금호누수다하니, 기간추월타강파를” :
물시계에 흐르는 물이 자못 많으니, 몸 일으켜 바라봄에 가을 달 강 물결에 떨어지도다.
이 어찌 천고에 유명한 구절이 아니겠는가?.

 
Kwan Ho Chung [鄭觀鎬] - July 15, 2021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7768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1850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493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427
437 돌아오는 기러기 [1] update 2024.03.27 정관호*63 2024.03.28 9
436 蜀相(촉상): 촉한 승상 제갈량 [1] 2024.03.15 정관호*63 2024.03.15 34
435 왕소군 고향에서 [1] 2024.03.08 정관호*63 2024.03.20 37
434 봄날의 원망 [1] 2024.02.16 정관호*63 2024.02.16 36
433 내 마음은 가을 달 [1] 2024.02.08 정관호*63 2024.02.14 470
432 연꽃 한송이 [1] 2024.02.01 정관호*63 2024.02.01 49
431 詠懷古蹟 其五(영회고적 기오)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5회 제갈랑 편 [1] 2024.01.15 정관호*63 2024.01.17 46
430 詠懷古蹟 其四(영회고적 4회):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4회. 유비 편 [1] 2024.01.07 정관호*63 2024.03.04 71
429 除夜 戴復古: 제야 대복고 [4] 2023.12.30 정관호*63 2024.01.07 69
428 傷春: 상춘 [1] 2023.12.21 정관호*63 2023.12.27 67
427 蝶戀花·送春 : 꽃사랑 나비; 봄을 보내다 [1] 2023.11.24 정관호*63 2023.11.27 69
426 山行: 산행 [1] 2023.11.07 정관호*63 2023.11.10 68
425 楓橋夜泊: 풍교에서 밤에 숙박하다 [1] 2023.09.20 정관호*63 2024.02.08 52
424 Ode on West Islet [1] file 2023.08.24 정관호*63 2024.02.19 39
423 過零丁洋: 영정양을 건너다 [1] 2023.08.17 정관호*63 2023.08.20 88
422 長樂少年行: 장락소년행 [1] 2023.08.10 정관호*63 2023.08.12 54
421 曲池荷(곡지하): 곡지의 연꽃 [1] 2023.08.01 정관호*63 2023.08.02 180
420 春暸(춘요): 봄날이 밝아오다 [1] file 2023.07.15 정관호*63 2023.08.07 66
419 歸終南山(귀종남산): 종남산으로 돌아오다 [1] 2023.07.08 정관호*63 2023.07.08 67
418 經漂母墓(경표모묘): 빨래하던 여인 무덤을 지나며 [1] file 2023.07.01 정관호*63 2023.09.14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