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春望
 
春望 杜甫
春望 杜甫
춘망 두보

國破山河在,城春草木深。
국파산하재하니, 성춘초목심을.

感時花濺淚,恨別鳥驚心。
감시화천루요, 한별조경심을.

烽火連三月,家書抵萬金。
봉화연삼월이요, 가서저만금을.

白頭搔更短,渾欲不勝簪。
백두소경단하니, 혼욕불승잠을.
봄날 바라보다.
당대시성 두보

나라는 깨어져도 산하는 의구하니,
성에 봄이 와 초목은 무성하고나.

시절을 느끼니 꽃이 눈물을 흘리게 하고,
이별을 한하니 새가 마음을 놀라게 하네.

봉화는 석 달을 계속하기에,
집 편지는 만금이 오히려 싸도다.

흰 머리 긁어 짧아지니.
거의 비녀를 이기지 못하네.
 

Sighting of Spring

The nation is in sunder, yet mountains and rivers still their stances hold and courses run,
Spring has come to Changan overgrown with unruly grass and trees.

Current affairs have me deep in sentiments, and tears overcome me at the sight of flowers,
Detesting separation from family so much, even the twitter of birds frightens me.

Military unrest has been continuing for months on end,
More valuable than tons of gold is a letter from family and kin.

My hair has greyed and grown thin,
There remains almost too little for the use of a hairpin.
 

譯文(역문)

長安淪陷,國家破碎,只有山河依舊;春天來了,人煙稀少的長安城裡草木茂密。
感傷國事,不禁涕淚四濺,鳥鳴驚心,徒增離愁別恨。
連綿的戰火已經延續了半年多,家書難得,
一封抵得上萬兩黃金。愁緒纏繞,搔頭思考,白發越搔越短,簡直要不能插簪了。

장안은 함락되고 나라는 깨어졌고, 오로지 산하만 의구하였도다:
봄날이 오니 사람 사는 자취가 드문 장안성안에 초목은 무성하였네.
나라일을 슬퍼하니, 눈물이 흐름을 금할 수 없고, 새 울음에 마음이 놀라,
오로지 이별한 근심과 한만 일어난다.
잇따른 전쟁과 불길은 이미 연속으로 일어난지 반년이 넘었고,
집에서 오는 편지는 받기 힘드니, 그 한통이 황금 만량보다 값지다.
근심의 실마리는 (나를) 칭칭 감고서 머리를 긁어 생각해보니.
백발을 긁을수록 더욱 짧아져, 결국 비녀를 꽂을 수 없도다.

注釋(주석)

國(국):國都(국도)를 말하니,長安(장안)을 가리키니, 현재 섬서(陝西) 서안(西安)。
破(파):陷落(함락)하였음。山河在(산하재):옛날의 산하일 뿐.
煙柳(연류),煙霧籠罩的柳林。亦泛指柳林、柳樹。연무에 쌓인 버들 숲
籠罩(농조): to envelop, to shroud. 덮다.
彌漫(미만): to pervade, to fill the air, diffuse, everywhere present. 퍼지다.
明媚(명미); 산수(山水)의 경치(景致)가 맑고 아름다움
迤邐(타이): meandering, winding. 어슬렁 거리다. 可是; But.
蕩然(탕연): ①헛된 모양  ②자취 없이 된 모양
囚禁(수금): 죄인(罪人)을 잡아 가둠. 怵目(출목): 보기를 두려워하다.
滿目(만목): 눈에 가득 차보임. 눈에 보이는 데까지의 한계(限界)
淪陷(윤함): to fall into enemy hands, to be occupied. 적지에 점령당하다. ▼

創作背景(창작배경)

天寶十四年(755)十一月,安祿山起兵叛唐。次年六月,叛軍攻陷潼關,唐玄宗匆忙逃往四川。七月,太子李亨即位於靈武(今屬寧夏),世稱肅宗,改元至德。杜甫聞訊,即將家屬安頓都州,只身一人投奔肅宗朝廷,結果不幸齎中被叛軍俘獲,解送至長安,後因官職卑微才未被囚禁。至德二年春,身處淪陷區的杜甫目睹了長安城
천보 14년(AD 755) 11월 안록산이 군사를 일으켜 당에 반란을 시작하여, 다음 해 6월에 반군은 동관을 함락하여서 당 현종은 급히 사천으로 도망하였다. 7월에 태자 이형이 영무에서 즉위하여 숙종이라고 칭하고 지덕으로 개원하였다. 두보는 소식을 듣고 가솔을 도주에 두고, 오로지 혼자서 숙종 조정에 투신하려다가, 불행히 도중에 반군의 포로가 되어 장안으로 옮겼고, 후에 관직이 미미하여 갇히지는 않았다. 지덕 2년 봄에 점령된 지구에 있던 두보가 장안성을 목격하였다.

작자소개
杜甫真的要忙了!教科书中杜甫像同系画作下月在京拍卖두보는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이다.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야로(少陵野老). 중국 고대 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시성(詩聖)이라고 부른다. 이백과 함께 이두(李杜)라고도 하며, 주로 고통받는 민중들의 고단한 삶을 주제로 시를 쓴 민중시인이다.
두보는 <공낭>에서 다음과 같이 읊었다. ‘세상 사람들이 모두 엉터리라, 나의 길은 더욱 험난하였다.’ 두보는 때를 잘못 타고났다. 그는 평생을 두고 자기의 뛰어난 학문과 높은 덕성을 다 바쳐 임금에 충성하고 나라와 백성을 안녕케 해줄 입공을 원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평생을 가난 속에 시달리며 전란에 쇠락하고 도탄에 빠진 국가와 백성을 위해 피눈물나는 노래만을 읊는 우수시인으로 끝나고 말았다. 두보의 자는 자미(子美)다. 당 현종 선천 원년(712) 하남성 공현에서 출생했다. 그의 13세조 두예는 서진의 명장이었고, <좌전>에 정통햇다. 증조부 두의예는 공현의 영을 지냈으며, 조부 두심언은 초당의 유명한 시인이었다. 두보는 ‘우리 조상은 시로써 옛날에 으뜸이시었다, 시는 우리 가문의 일’ 이라고 했다. 두보의 부친 두한은 연주의 사마를 지냈고 봉천현령으로 끝맺었다. 두보의 생애를 대략 네 시기로 나누어 보겠다.

(1) 독서와 유력(712~746)
(2) 장안의 곤고(746~755)
(3) 안녹산의 반란(756~759)
(4) 만년의 표량(759~770)

두보의 인간과 그의 시
두보(杜甫 712~770)를 시성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시을 통한 성인이란 뜻이다.그는 과연 위대한 문학가이자 최고의 시인이다.그는 냉철한 리얼리스트이자 위대한 휴머니스트이며 ,또 열렬히 충군애민하는 애국자이자 동시에 인자하고 성실한 가장이기도 했다. 두보는 철두철미 유가사상을 바탕으로 한 애인의 시인이었다.그는 스스로 뛰어난 유학자인 두예의 가계를 이어받았고 동시에 탁월한 시재를 발휘한 구심언의 후손임을 자부했다.따라서 그는 사상면에서나 시의 기교면에서나 우수한 유산을 물려받고 태어난 천품의 시인이었다. 동양적 휴머니즘의 결정인 유가의 살신성인 하겠다는 인애정신과 수기치인의 군자도를 성실히 지킨 두보는 시의 표현이나 기교에 있어서도 진지하고 기발하고 또 참신했다.'남을 감탄시키지 못하면 죽어도 편치 못하겠다' 던 그였다. 그는 한 자 한구절을 신중히 다졌고 또한 성운의 묘를 다했다.따라서 그의 시는 형식적 표현면에서도 최고의 일품이다. 육조대의 문학의 정화를 총집설한 《문선》을 깊이 연구하여 그 광채와 전통을 완전히 내것으로 만든 그는 시에 있어서 자기만의 빛나고 새로운 경지의 창작을 이룩했던 것이다. 위대한 내용과 사상,탁왈한 표현과 기교가 조화된 두보의 작품은 동시에 전통이란 깊운 뿌리에서 자란 참신하고도 화사한 창조의 미를 마냥 자유롭게 피어나게 한 꽃같이 자연스럽고 신묘한 걸작이라 하겠다.

鑒賞(감상)

The nation is in sunder, yet mountains and rivers still their stances hold and courses run, Spring has come to Changan overgrown with unruly grass and trees. Current affairs have me deep in sentiments, and tears overcome me at the sight of flowers, Detesting separation from family so much, even the twitter of birds frightens me. Military unrest has been continuing for months on end, More valuable than tons of gold is a letter from family and kin. My hair has greyed and grown thin, There remains almost too little for the use of a hairpin.“
國破山河在,城春草木深。”詩篇一開頭描寫了春望所見:山河依舊,可是國都已經淪陷,城池也在戰火中殘破不堪了,亂草叢生,林木荒蕪。詩人記憶中昔日長安的春天是何等的繁華,鳥語花香,飛絮彌漫,煙柳明媚,游人迤邐,可是那種景像今日已經蕩然無存了。一個“破”字使人怵目驚心,繼而一個“深”字又令人滿目凄然。

“국파산하재, 성춘초목심.”하니, 시편을 일단 시작하여 춘망의 소견이다:
산하가 의구하다하였으니, 가히 국도는 이미 함락되었고, 성지는 전화 속에서 파괴되어
견뎌 내지 못하고, 어지러이 풀만 자라며 수목은 황폐하였다.
시인 기억 속에 그 옛날 장안의 봄날 얼마나 번화했던고?   <ㅔ>
새소리와 꽃향기는 성안에 가득하였고,

날아 떠다니던 버들개지로 가득차고, 연무가 그윽한 버들 숲은 맑고 아름답고,

유객은 한가로이 거닐고...

그러나 그러한 경상은 오늘 날 이미 헛되이 없어졌도다.

한 글자 “파(破)”자는 사람으로 하여금 눈을 두려워하고 마음을 놀래니,

이어서 일개의 “심(深)”자 또한 사람으로 하여금 처연함이 눈에 가득차다.

 
언문 읽기와 해석

춘망(春望) 두보

​나라히 破亡(파망)하니 뫼콰 가람뿐잇고,
잣 앉 보매 플와 나모뿐 기펫도다.

 時節(시절)을 感歎(감탄)호니 고지 눈믈를쁘리게코,
여희여슈믈 슬호니 새 마으믈 놀래노라.

​烽火(봉화) 석달를 니어시니,
지븻 音書(음서)는萬金(만금)이 사도다.

셴 머리를 글구니 또 뎌르니,
다 빈혀를 이긔디 몯할 듯 하도다.

  Kwan Ho Chung - August 22, 2016

 

 

虞美人草行

 

鴻門玉鬥紛如雪,十萬降兵夜流血。
鹹陽宮殿三月紅,霸業已隨煙燼滅。
剛強必死仁義王,陰陵失道非天亡。
英雄本學萬人敵,何須屑屑悲紅妝。
三軍敗盡旌旗倒,玉帳佳人坐中老。
香魂夜逐劍光飛,清血化為原上草。
芳心寂寞寄寒枝,舊曲聞來似斂眉。
哀怨徘徊愁不語,恰如初聽楚歌時。
滔滔逝水流今古,楚漢興亡兩丘土。
當年遺事總成空,慷慨尊前為誰舞。

 

作者簡介

許彥國,字表民 [《宋詩拾遺》卷六作表臣],青州(今屬山東)人( 《竹莊詩話》卷一八),一作合肥(今屬安徽)人( 《苕溪漁隱叢話》前集卷六○)。舉進士,官不顯,與呂頤浩之父有交( 《竹莊詩話》)。有《許彥國詩》三卷( 《宋史·藝文志》),已佚。今錄詩十二首。
海上花語|虞美人:輕盈嬌麗,翩翩起舞影弱還如舞
花嬌欲有言
虞美人植株纖秀,花朵輕盈,色彩艷麗,似美人迎風輕舞,妖嬈動人。
虞美人,又叫麗春花、賽牡丹、錦被花、百般嬌、蝴蝶滿園春、虞美人花。據《辭海》記載,它原產自歐洲,但至遲在明代即已傳入我國。《古今圖書集成·博物彙編·草木典》第一二四卷引明代王世懋《花疏》曰:“虞美人,一名滿園春,千葉者佳。”成書於康熙二十七年(1688)陳淏子的《花鏡》曰:“虞美人,江浙最多,叢生,花葉類罌粟而小,一本有數十花,莖細而有毛發,蕊頭朝下,花開始直,單瓣叢心,五色俱備。姿態蔥秀,因風飛舞,儼如蝶翅扇動,亦花中妙品。”

 

傳說故事

虞姬的化身
虞美人名稱的由來,有著一個浸染著美人鮮血的動人故事。在楚漢相爭之時,項羽被劉邦困於垓下,其妃子虞姬看到大勢已去,為了消除項羽決戰的後顧之憂,便拔下項羽的佩劍自刎身亡。
後來項羽戰敗,在烏江岸邊自刎,到了第二年,虞姬的墓前開滿紅色的花朵,人們說這些花朵是虞姬的血化成,就稱之為“虞美人”,許彥國的《虞美人草行》中有詩雲“香魂夜逐劍光飛,青血化為原上草”。
歷代詠頌虞美人的文學作品也多以此事為題,中國的古人們把這種花看做虞姬的化身,稱之為虞美人。
細細品味,像虞姬這樣隱忍、堅貞的性格,她所化身的花朵必定是美麗的,而那種美麗又是內斂而不張揚的。“碧血化為江上草,花開更比杜鵑紅”,中國人用虞美人來像征虞姬的情懷、用虞姬來注解虞美人的美麗,這種對美的深入理解和闡釋實在令人欽佩。

 

 

<center>1.虞姬的化身<br />
우미인화어.jpg
</center>

 影弱還如舞
花嬌欲有言
實在令人欽佩。
贊嘆虞美人
從詠草到詠花或花草兼詠
縱觀中國千百年來文人詠虞美人的詩詞,大致經歷了由詠草到詠花或花草兼詠的過程。

宋辛棄疾《浪淘沙·虞美人》曰:“不肯過江東,玉帳匆匆,至今草木憶英雄。唱著虞兮當日曲,便舞春風。”這裡借草舞春風言美人在思憶項王。

宋姜夔《虞美人草》曰:“夜闌浩歌起,玉帳生悲風。江東可千裡,棄妾蓬蒿中。化石那解語,作草猶可舞。陌上望騅來,翻愁不相顧。” 這是借草舞言美人的痴心。

明北澗《詠虞美人草》曰:“春姿忽作秋蓮萎,一寸剛明曾不死。明年原上野花繁,一枝自托華風起。裊裊娉娉不成艷,態度淺深生色染。向人欲訴卻無言,寂寞千年恨難掩。芳郊游女宛轉歌,停車拍手看婆娑。”花枝纖柔,裊裊娉娉,花繁艷麗,顏色深淺不一,顯然詠的是虞美人花。

而明徐茂吳《詠虞美人草》曰:“楚宮人去霸圖移,勝有芳名寄一枝。邑露晚妝余涕淚,臨風夜舞憶腰肢。乍翻尚自疑紅藥,欲刈終難混綠葵。若使靈均當日見,不將哀怨托江蘺。”臨風夜舞,花似芍藥、綠葵,詠花而兼及舞草。
又:“紅顏一日盡江湄,芳草能傳易代姿。尚想施朱留片萼,翻疑化碧有丹枝。迎風似逐歌聲起,宿雨那經舞袖垂。征艷莫教輕委地,徘徊猶似美人貽。”透過飛舞的花草,似乎能想像到虞姬楚歌、楚舞的絕代風姿。

 

猜你喜歡: you may also like

虞美人課件,超值好物熱賣,上淘寶,放心購!
虞美人課件,買東西上淘寶,海量必buy好物!物美好價,退換無憂,輕松購物!海量商品,品牌彙聚,省錢更省心!更多品質好貨,
由此可見,明清以來的詠虞美人草詩,實際上多是詠花,或詠花而帶草,花草難辨。但不管詠花還是詠草,都一律在評論著那個風流、纏綿而又悲壯的故事。

此外,《虞美人》也是著名的詞牌之一,此調原為唐教坊曲,初詠項羽寵姬虞美人,因此為名。
其中,南唐後主李煜的《虞美人·春花秋月何時了》:“春花秋月何時了,往事知多少。小樓昨夜又東風,故國不堪回首明月中。雕欄玉砌應猶在,只是朱顏改。問君能有幾多愁,恰似一江春水向東流。”
詞中的悲恨幽苦千百年來不知感動了多少人,其曲牌來源亦與霸王慷慨別姬的動人故事有關。

 

2. 霸王慷慨別姬
2. 패왕별희.jpg

 

自然野趣的虞美人
虞美人的花瓣有著一種絲絹般的質感,未開時卵圓形的花蕾上包裹著兩片長滿刺毛的萼片,獨自垂立在細細的花梗上,像極了低頭沉思的少女,嫻靜淡雅。待到花朵綻放之時,萼片脫落,花瓣脫穎而出,彎著的花梗也直立起來,亭亭玉立,無風也自搖,有風更是飄然欲飛,搖曳生姿,極富風韻。

 

 

3, 從詠草到詠花或花草兼詠
3 우미인화.jpg

 

 

 

虞美人和罌粟有很多相似之處,人們容易將兩者搞錯。其實雖然兩者同屬罌粟科,但是彼此之間還是有明顯區別的:
虞美人全株被明顯的糙毛,分枝多而纖細,葉質較薄,整體感覺纖弱。而罌粟全株光滑並被白粉,包括莖、葉、果等,莖粗壯,莖杆分枝少,葉厚實。虞美人花徑相對較小,花瓣極為單薄,質地柔嫩。
而罌粟花朵較大,花瓣質地較厚實,非常有光澤。虞美人果實較小,罌粟的蒴果直徑可達3cm-5cm,鮮時含有較多的白色乳汁(曬干即為生鴉)。
此外,虞美人的莖生葉基部不抱莖,葉和花梗都有剛毛;罌粟的莖生葉基部抱莖,葉和花梗都光滑無毛。虞美人非常適合庭院栽培,作一年生花境或與其它一年生草花組成混栽花境,十分自然野趣,加上種子有較好的自播能力,來年也能繼續出苗並開花。

是宋代詩人許彥國創作的作品。
文章轉載自:綠色上海作者 上海植物園|發布:2021-05-25 22:20:31 更新:2020-05-27 04:09:05
本文僅代表作者個人觀點,不代表百度百科立場。舉報 本文經授權發布,未經許可,請勿轉載。如有需要,請聯系tashuo@baidu.com。

 

 

 

4. 虞美人·春花秋月何时了
4, 춘화추월.jpg

 

 

 

 
5. 出苗並開花
Papaver_rhoeas_-_Köhler.jpg

 



Kwan Ho Chung-July 8, 2024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148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282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872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794
439 [시조]懷古歌: 회고가 [1] 2024.04.21 정관호*63 2024.04.21 8
438 길에서 만난 한식 [1] 2024.04.03 정관호*63 2024.04.09 30
437 돌아오는 기러기 [1] file 2024.03.27 정관호*63 2024.04.18 43
436 蜀相(촉상): 촉한 승상 제갈량 [1] 2024.03.15 정관호*63 2024.04.12 58
435 왕소군 고향에서 [1] 2024.03.08 정관호*63 2024.03.20 56
434 봄날의 원망 [1] 2024.02.16 정관호*63 2024.02.16 46
433 내 마음은 가을 달 [1] 2024.02.08 정관호*63 2024.02.14 482
432 연꽃 한송이 [1] 2024.02.01 정관호*63 2024.02.01 56
431 詠懷古蹟 其五(영회고적 기오)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5회 제갈랑 편 [1] 2024.01.15 정관호*63 2024.01.17 57
430 詠懷古蹟 其四(영회고적 4회):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4회. 유비 편 [1] 2024.01.07 정관호*63 2024.03.04 82
429 除夜 戴復古: 제야 대복고 [4] 2023.12.30 정관호*63 2024.01.07 73
428 傷春: 상춘 [1] 2023.12.21 정관호*63 2023.12.27 69
427 蝶戀花·送春 : 꽃사랑 나비; 봄을 보내다 [1] 2023.11.24 정관호*63 2023.11.27 75
426 山行: 산행 [1] 2023.11.07 정관호*63 2023.11.10 76
425 楓橋夜泊: 풍교에서 밤에 숙박하다 [1] 2023.09.20 정관호*63 2024.02.08 59
424 Ode on West Islet [1] file 2023.08.24 정관호*63 2024.04.24 44
423 過零丁洋: 영정양을 건너다 [1] 2023.08.17 정관호*63 2023.08.20 97
422 長樂少年行: 장락소년행 [1] 2023.08.10 정관호*63 2023.08.12 67
421 曲池荷(곡지하): 곡지의 연꽃 [1] 2023.08.01 정관호*63 2023.08.02 195
420 春暸(춘요): 봄날이 밝아오다 [1] file 2023.07.15 정관호*63 2023.08.07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