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胡旋舞是什么舞蹈_胡旋舞简介- 故宫历史网  
 
胡旋女 唐 白居易
호선녀 당 백거이
胡旋女 唐白居易
호선녀 당백거이

胡旋女,胡旋女。心應弦,手應鼓。
호선녀, 호선녀. 심응현이요, 수응고를.

弦鼓一聲雙袖舉。回雪飄飖轉蓬舞。
현고일성쌍수거하니, 회설표요전봉무를.

左旋右轉不知疲,千匝萬周無已時。
좌선우전부지피하니, 천잡만주무이시를.

人間物類無可比,奔車輪緩旋風遲。
인간물유무가비하니, 분거류완선풍지를.

曲終再拜謝天子,天子為之微啟齒。
곡종재배사천자하니, 천자위지미계치를.

胡旋女,出康居,徒勞東來萬里余。
호선녀여, 출강거하니, 도로동래만리여를.

中原自有胡旋者,鬥妙爭能爾不如。
중원자유호선자하니, 투묘쟁능이불여를.

天寶季年時欲變,臣妾人人學圜轉。
천보계년시욕변하니, 신첩인인학환전을.

中有太真外祿山,二人最道能胡旋。
중유태진외록산하니, 이인최도능호선을.

梨花園中冊作妃,金雞障下養為兒。
이화원중책작비요, 금계장하양위아를.

祿山胡旋迷君眼,兵過黃河疑未反。
녹산호선미군안하니, 병과황하의미반을.

貴妃胡旋惑君心,死棄馬嵬念更深。
귀비호선혹군심하니, 사기마외염갱심을.

從茲地軸天維轉,五十年來制不禁。
종자지축천유전하니, 오십년래제불금을.

胡旋女,莫空舞,數唱此歌悟明主。
호선녀여, 막공무하라, 수창차가오명주를.
오랑캐 춤추는 여인
당조 백거이

회전 무녀여, 회전 무녀여.
마음은 줄에 응하고, 손은 북에 응하네.

현과 북이 한소리로 두 소매 올리니,
돌아가는 눈이 날 듯 떠도는 춤이로다.

좌로 돌고 우로 회전하여 고단치 않으니,
천바퀴 만둘레 돌아 그칠 때가 없도다.

인간 만물에 비할 수 없으니,
달리는 수레바퀴 회오리바람 느리네.

곡이 끝나 천자께 재배하고 사례하니,
천자께서 약간 치아를 보였도다.

호선녀는 강거에서 출발하여 오기에,
동으로 만여리나 힘들었도다.

중원에 스스로 호선하는 자가 있으니,
묘함 다투고 능함 겨루기 너만 못하네.

천보 계년에 세상이 변하여,
신첩마다 돌기 춤을 배웠다네.

궁안에 태진이요 궁밖에 녹산이라,
이 둘이 돌기춤에 가장 능하였지.

이화원 안에서 귀비로 책봉 받았고,
금계장 아래에서 (귀비의) 양자가 되었네.

녹산의 오랑캐춤은 임금의 눈을 미혹하여서,
반군이 황하를 건너도 반역을 의심치 않았네.

귀비는 호선을 추어 임금마음을 미혹하니,
마외에서 죽어 임금은 거듭 생각하였네.

이로 인하여 대지와 하늘이 굴러서,
오십년 동안 제어하지 못하였네.

호선녀여, 헛되이 춤추지 말라,
이 노래 몇번 불러 명주를 깨우치도록.

注釋(주석) 胡旋女壁畫(호선녀벽화): 참고용

1、胡旋女(호선녀):跳胡旋舞的舞女。솟구치는 호선무를 추는 여인.胡旋舞是由西域 康居傳來的民間舞。胡旋舞的特點是旋律快、節奏快、轉圈多而難分面背。胡旋舞是因為在跳舞時須快速不停地旋轉而得名的。《新唐書·禮樂志》載:“胡旋舞者立毯上,旋轉如風。”。
2、戒近習也:要制止這種不良的社會風氣。白居易認為,唐玄宗就是貪戀這種胡舞導致了安史之亂。現在胡旋舞依然盛行,作者寫這首關於胡旋舞的新樂府,就是要今日君主以此為戒。白居易的新樂府結構上有個特點,叫做“篇首標其目,卒章顯其志”。即,開頭點明寫此詩的目的,詩歌結尾處再點明創作的主旨。“戒近習也”即是“篇首標其目”。
3、回雪飄飖轉蓬舞:연기자가 급속이 돌며 구르는 모습을 형용함. 形容表演者在急速的旋轉(這也是胡旋舞得名的原因),像流風中飄飖的廻雪和旋轉著的蓬草。回雪,同“廻雪”; 飄飖(yao),風吹飄蕩之狀;轉蓬,隨風飄轉的蓬草。《文選·曹植》:“轉蓬離本根,飄颻隨長風。”
4、康居(kāng qu: 강거):古西域國名。自錫爾河下游,至吉爾吉斯平原,是康居疆域的中心地帶:清代學者魏源在《聖武記》中考證:古康居即今日的哈薩克斯坦共和國( Republic of Kazakhstan )一帶。
5、天寶季年時欲變:天寶末年社會風氣產生巨大變化。“天寶”,唐玄宗年號,從天寶元年(742)到天寶十四年(755)。“時欲變”,指天寶末年綱紀敗壞。
6、圜轉(huan):旋轉。 清王夫之 《張子正蒙注·參兩篇》:“凡圜轉之物,動必有機。” 빙빙 돌며 굴러감
7、中有太真外祿山,二人最道能胡旋:宮內有楊玉環,宮外有安祿山,兩人最善於跳胡旋舞。太真:貴妃楊玉環號。楊玉環(719-756),原籍蒲州永樂(今山西永濟)。開元七年(719年)六月一日生於蜀州(今四川崇州)。開元二十三年(735),17歲的楊玉環被冊為壽王妃(壽王李瑁,唐玄宗第十八子)。天寶四載(745),27歲的楊玉環被李隆基冊為貴妃《舊唐書·後妃傳上·玄宗楊貴妃》:“時妃衣道士服,號曰‘太真’”;安祿山(703年-757年):本姓康,名軋犖山,營州柳城(今遼寧朝陽):開元二十八年(740年)祿山為平盧兵馬使,以賄賂交結唐廷派往河北的御史,博得唐玄宗李隆基的稱許與寵信。歷任營州都督、平盧節度使,兼範陽節度使、河北采訪使,又兼河東節度使,掌握了今河北、遼寧西部、山西一帶的軍事、民政及財政大權。受封為東平郡王。天寶十四年發動叛亂,攻下唐王朝首都長安,建立燕政權,年號聖武。據《舊唐書·安祿山傳》:“安祿山晚年益肥壯,腹垂過膝,重三百三十斤,每行以肩膊左右抬挽其身,方能移步。但至玄宗前,作胡旋舞疾如風焉。”楊貴妃會跳各式各樣的舞蹈,跳起快速多變的的胡旋舞來更是美艷絕倫。
8、梨花園中冊作妃,金雞障下養為兒:梨花園即梨園。《新唐書·禮樂志》載:“玄宗既知音律,又酷愛法曲,選坐部伎子弟三百,教於梨園。聲有誤者,帝必覺而正之,號皇帝梨園弟子。”金雞障:畫金雞為飾的坐障。 “天寶中,安祿山每來朝,上特異待之,每為致殊禮。殿西偏張金雞障,其來輒賜坐。”(唐·李德裕《次柳氏舊聞》)養為兒:據《新唐書·後妃傳》:“時楊貴妃有寵,祿山請為妃養兒,帝許之”。坐障=坐帳: 국장(國葬) 때 혼백거(魂帛車)나 대여(大轝)를 가리는 데 쓰는 휘장.
9、兵過黃河疑未反:天寶十四年(755年)安祿山在幽州(今北京市)發動叛亂,好大軍已 渡過黃河,消息傳來,唐玄宗仍不相信,還認為是誣陷安祿山。
10、死棄馬嵬念更深:天寶十五載(756)六月十四日,楊玉環隨李隆基流亡蜀中,途經馬嵬驛,禁軍嘩變,玄宗無奈,只得下令38歲的楊貴妃自縊。“念更深”,玄宗迫於無奈賜死楊貴妃後對她思念更深。양귀비 죽은 후 사념이 깊었다.
11、地軸天維轉:指安史之亂給國家社會帶來巨大災難。국가와 사회가 큰 재난에 빠졌다.
12、五十年來制不禁:指胡旋舞從康居國傳入中原後一直很流行。從玄宗天寶年間到白居易寫此詩的憲宗元和年間(806—819)約五十多年。[2] 천보연간부터 백거이가 이 시를 쓸 때까지 50여년이 지났다.
13. What is Sogian? It should be a misnomer of Sogdian. Sogdia (Sogdian: soɣd) or Sogdiana was an ancient Iranian civilization between the Amu Darya and the Syr Darya, and in present-day Uzbekistan, Turkmenistan, Tajikistan, Kazakhstan, and Kyrgyzstan.


鑒賞(감상)

《胡旋女》의 얽은 짜임새는 가히 3개 단계로 되었다.
제1층은 천자가 기교에 놀랐다는 표현으로 모두 10구이며, 호선녀의 춤을 묘사하였다.
제2층에서는 호선녀가 강거에서 왔으며, 곧장 양귀비와 안록산의 호선무를 잘 하여 현종을 그리로 빠뜨리고 결국 양귀비를 처형한 후 군왕이 그녀에 상념에 빠졌다는 설명이다.
제3층에서는 이 호선무로 국가와 사회가 대 재난이 일어났으니, 이 교훈을 잊지 말자는 헌종에게 권계하는 글이다.
백거이( 772-846)는 당대 걸출한 현실주의 시인으로 자는 樂天(낙천)이며 하남 신정인이며 만년에는 태자의 소부가 되었다.
문학상에 적극으로 신악부 운동을 창도하여서, 문장은 때와 합하고, 시가는 사건과 합하여 지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세사에 감탄하여 그의 시편은 백성의 질고를 반영하였다.
그의 시문은 대단히 많이 알려져 중국 문학사상에 중요한 지위만 점유할 뿐 아니라 일본, 한국 그리고 新加坡(Singapore) 등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문화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作者白居易
白居易画像免抠素材免费下载_觅元素51yuansu.com백거이는 다작(多作) 시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존하는 문집은 71권, 작품은 총 3,800여 수로 당대(唐代) 시인 가운데 최고 분량을 자랑할 뿐 아니라 시의 내용도 다양하다. 젊은 나이에「신악부 운동」을 전개하여 사회, 정치의 실상을 비판하는 이른바 「풍유시(諷喩詩, 風諭詩)」를 많이 지었으나, 강주사마로 좌천되고 나서는 일상의 작은 기쁨을 주제로 한 「한적시(閑適詩)」의 제작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밖에도 평소 둘도 없는 친구였던 원진(元稹), 유우석(劉禹錫)과 지은 「장한가(長恨歌)」, 「비파행(琵琶行)」 등의 감상시도 유명하다. 백거이가 45세 때 지은 「비파행」은 그를 당에서 가장 뛰어난 시인으로 꼽히게 하였으며, 또, 현종(玄宗)과 양귀비의 사랑을 노래한 장시 「장한가」도 유명하다. 풍유시를 주로 했던 시기, 한적시를 주로 지었던 시기 전체를 통틀어, '짧은 문장으로 누구든지 쉽게 읽을 수 있는(平易暢達)' 것을 중시하는 시풍(詩風)은 변함이 없었다. 북송(北宋)의 석혜홍(釋惠洪)이 지은 《냉재시화(冷齎詩話)》 등에 보면, 백거이는 시를 지을 때마다 글을 모르는 노인에게 자신이 지은 시를 읽어주면서, 노인이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으면 평이한 표현으로 바꿨다고 한다. 이렇게 지어진 그의 시는 사대부(士大夫) 계층뿐 아니라 기녀(妓女), 목동 같은 신분이 낮은 사람들에게까지 애창되는 시가 되었다. 이 밖에 <백시 장경집> 50권에 그의 시 2,200수가 정리되었으며, 그의 시문집인 <백씨 문집>은 그의 모든 시를 정리한 시집이다.

 
胡旋舞
康熙瓷器之“胡旋舞”图考_参考网

Sogian Whir: What is Sogian?
Crossing Boundaries Concert Series 13: On the Silk Road Through Dunhuang •  Stellar Tickets

Urumqi Show
pNrOwFNJVw-Ns7OfVE7nl9tMi090EZz1xJFGjFXk

우루무치 공연
Wakyj3vKNcyQZsObnmDayIFx7zMmj0CrtNAsEPpC

Kwan Ho Chung - May 31, 2018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093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222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809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740
438 길에서 만난 한식 [1] 2024.04.03 정관호*63 2024.04.09 27
437 돌아오는 기러기 [1] file 2024.03.27 정관호*63 2024.04.18 39
436 蜀相(촉상): 촉한 승상 제갈량 [1] 2024.03.15 정관호*63 2024.04.12 53
435 왕소군 고향에서 [1] 2024.03.08 정관호*63 2024.03.20 52
434 봄날의 원망 [1] 2024.02.16 정관호*63 2024.02.16 46
433 내 마음은 가을 달 [1] 2024.02.08 정관호*63 2024.02.14 481
432 연꽃 한송이 [1] 2024.02.01 정관호*63 2024.02.01 56
431 詠懷古蹟 其五(영회고적 기오)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5회 제갈랑 편 [1] 2024.01.15 정관호*63 2024.01.17 56
430 詠懷古蹟 其四(영회고적 4회): 고적에서 회포를 읊다. 4회. 유비 편 [1] 2024.01.07 정관호*63 2024.03.04 79
429 除夜 戴復古: 제야 대복고 [4] 2023.12.30 정관호*63 2024.01.07 73
428 傷春: 상춘 [1] 2023.12.21 정관호*63 2023.12.27 69
427 蝶戀花·送春 : 꽃사랑 나비; 봄을 보내다 [1] 2023.11.24 정관호*63 2023.11.27 74
426 山行: 산행 [1] 2023.11.07 정관호*63 2023.11.10 73
425 楓橋夜泊: 풍교에서 밤에 숙박하다 [1] 2023.09.20 정관호*63 2024.02.08 58
424 Ode on West Islet [1] file 2023.08.24 정관호*63 2024.04.13 44
423 過零丁洋: 영정양을 건너다 [1] 2023.08.17 정관호*63 2023.08.20 95
422 長樂少年行: 장락소년행 [1] 2023.08.10 정관호*63 2023.08.12 66
421 曲池荷(곡지하): 곡지의 연꽃 [1] 2023.08.01 정관호*63 2023.08.02 194
420 春暸(춘요): 봄날이 밝아오다 [1] file 2023.07.15 정관호*63 2023.08.07 75
419 歸終南山(귀종남산): 종남산으로 돌아오다 [1] 2023.07.08 정관호*63 2023.07.08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