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Medical ♥ 고혈압치료와 당뇨병의 발생

2009.12.14 12:08

이종구*57 Views:6486

Medical Column

제1장 고혈압(Hypertension)의 근거 중심적 치료




4부 고혈압치료와 당뇨병의 발생

 “고혈압을 수년간 치료하면 많은 환자에서 당뇨병이 발생하지만 새로운 당뇨병의 발생률은 혈압강하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뇨제와 베타차단제를 사용하면 다른 혈압강하제에 비해 당뇨병이 가장 많이 증가하며 ACE억제제와 안지오텐신차단제(ARB)에서 가장 적게 발생한다. 칼슘길차단제(CCB)는 중립적이다. 그러나 당뇨가 발생한 사람에서도 혈압강하의 결과로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감소한다.”

 노인의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ISH)환자에서 Systolic Hypertension in the Elderly Program(SHEP)은 placebo와 이뇨제 그리고 필요시 베타차단제를 추가한 군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 시작시 799명에서 당뇨병이 있었으며 연구도중 427명에서 새로운 당뇨병이 발생하였고 3,506명은 당뇨가 없었다. 연구가 끝날 때 이 3군의 혈당을 비교한 결과 당뇨가 있던 군에서 혈당은 placebo군의 155mg/dl에 비해 이뇨제군에서 167mg/dl로 증가하였다. 당뇨가 새로 발생한 군에서는 혈당이 placebo군에서 129mg/dl이었으나 이뇨제군에서 140mg/dl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당뇨가 발생하지 않은 환자에서는 98mg/dl과 100mg/dl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즉 당뇨가 있거나 당뇨가 새로 생긴 군에서는 placebo군에 비해 이뇨제 군에서 혈당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당뇨가 발생하지 않은 군에서는 placebo와 이뇨제 군에서 차이는 없었다(Table 1).

Table 1. SHEP연구에서 당뇨가 없는 군, 당뇨병군, 당뇨가 새로 발생한 군에서 연구시작전과 후의 혈당(serum glucose)의 비교

Patient Group

Serum Glucose (mg/dL)

Placebo

Active

Baseline

Follow-up

Baseline

Follow-up

No diabetes

98

98

97

100

Diabetes at baseline

157

155

157

167

New-onset diabetes

105

129

106

140

SHEP의 연구자들은 이 환자들을 14.3년간 추적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Circulation. 2004; 110: 111-434. Abstract 2042)(Table 2).

Table 2. SHEP연구에서 당뇨가 없는 군, 당뇨가 있는군, 당뇨가 새로 발생한 군에서 심혈관 사망률(cardiovascular mortality)과 총사망률(all-cause mortality)의 비교

Patient Group

Cardiovascular Mortality (%)

All-Cause Mortality (%)

Placebo

Active

Placebo

Active

No diabetes

20

18

41

40

Diabetes at baseline

30

22*

54

47*

New-onset diabetes

27

18*

47

39*

*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 

이 연구에서 placebo군과 이뇨제군(active)의 심혈관질환 사망률과 총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 당뇨가 있는 군과 당뇨가 새로 발생한 군에서 이뇨제는 사망률을 모두 감소시켰다. 그러나 당뇨가 없는 군에서는 사망률에 차이는 없었다(그러나 심부전증,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발생률은 이뇨제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당뇨가 있는 군과 당뇨가 새로 생긴 군에서만 사망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연구는 이뇨제가 혈당과 당뇨병의 발생률을 어느 정도 증가시키지만 사망률은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2002년에 발표된 ALLAH연구와 2004년에 발표된 ALLHAT연구의 추적보고서에서도 이뇨제(chlorthalidone)와 베타차단제(atenolol)를 1차적으로 사용한 군에서 당뇨병 발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많은 관심사가 되었다. 이 연구시작 전 공복혈당이 정상인 군에서 4년 후에 공복혈당이 이뇨제군에서는 91.2mg/dl에서 102.2mg/dl로 증가하였으며, CCB군에서는 91.1mg/dl에서 99.5로, ACEI군에서는 91.3mg/dl에서 98.4mg/dl로 소폭 증가하였다(Table 3). 

Table 3. ALLHAT연구에서 3군 간의 혈당의 비교

 

Treatment Group

Chlorthalidone

(n = 4255)

Amlodipine

(n = 2501)

Lisinopril

(n = 2390)

Baseline

91.2

91.1

91.3

2 years

99.3

96.3*

95.1*

4 years

102.2

99.5*

98.4*

* 이뇨제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의미

 이 연구 시작시 공복혈당이 정상인 환자에서 4년 후의 당뇨병(FG>/=126mg/dl)의 발생률은 ACEI군에서 5.9%로 가장 낮았으며 CCB군에서 6.4%, 이뇨제 군에서 9.3%로 가장 높았다(Table 4).

Table 4. ALLHA연구에서 연구 시작시 당뇨가 없던 군에서 2년과 4년 후에 당뇨병(공복혈당>126mg/dl)의 발생률

 

Treatment Group

Chlorthalidone

Amlodipine

Lisinopril

2 years

6.3

4.6*

3.6*

4 years

9.3

6.4*

5.9*

* 이뇨제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

 이 연구 시작시 공복혈당이 정상이거나 당대사 이상 군(FG

2007년에 고혈압치료 중 당뇨병 발생률에 대한 22편의 논문의 META-분석이 발표되었다(Lancet 369: 201-214). 이 연구에는 당뇨병이 있는 총 환자 143,153명이 포함되었으며 고혈압 치료약은 ARB(1,189명), ACEI(1618명), CCB(2,791명), placebo(1,686명), 베타차단제(2,705명), 이뇨제(2,705명) 등이다.

이뇨제군의 당뇨병 발생률을 1로 할 때 ARB는 0.57(95% CI 0.45-0.72, P<0.000017), ACE차단제는 0.67(0.56-0.80, P<0.0001), CCB는 0.75(0.62-0.90, P=0.002), placebo는 0.77(0.63-0.94, P0.009), 베타차단제는 0.90(0.75-1.09, P=0.30)로 ARB와 ACEI군에서 가장 낮았다(fig 1). 즉 이뇨제에 비해 당뇨병의 발생률은 다음과 같은 감소를 보였다. ARB에서 43%감소, ACEI군에서 33%감소, CCB군에서 25%감소, placebo군에서 23%감소를 보였으며 베타차단제 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10%감소를 보였다.  

Fig 1.

이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placebo에 비해 ARB와 ACEI는 당뇨병의 발생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CCB(amlodipine)와 베타차단제는 중립적이며 당뇨병을 감소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이뇨제는 placebo에 비해 당뇨병을 증가 시킨다.

ALLHAT연구에서는 이뇨제와 ACEI 또는 CCB사이에 임상적결과(outcome)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왔지만 ASCOT연구결과는 이 세군 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ALLHAT연구와 ASCOT연구에서 다른 결론이 나온 이유는 알 수 없으나 ALLHA연구에서 다수(30%)의 흑인과 라틴계 환자가 포함되어있으며 흑인에서는 이뇨제가 특별히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그 이유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이유는 ASCOT연구에서 베타차단제 군에 비해 CCB/ARB군에서 혈압이 낮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경증의 당뇨병이 증가한다는 이유로 이뇨제를 배제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hydrochlorthiazide 12.5mg의 소량의 이뇨제를 다른 혈압강하제와 같이 사용할 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백인에 비해 염분섭취가 거의 2배가 되는 한국인에서는 이뇨제가 더 좋은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Editor's Note: Original Article by 이종구 교수*57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186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336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909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830
563 약물방출 스텐트(DES)를 사용시 심근경색증, 사망률, 재시술이 증가 2010.03.15 이종구*57 2010.03.15 7083
562 ♥ 아스피린 효과 2010.06.09 이종구*57 2010.06.09 7062
561 ♥ 지용성 비타민 [1] 2009.12.29 이종구*57 2009.12.29 7037
560 심장돌연사 2010.02.10 이종구*57 2010.02.10 6932
559 ♥ 고혈압과 심부전증환자에서 심박동수의 중요성 2010.08.02 이종구*57 2010.08.02 6921
558 ♥ 고혈압의 합병증 2010.03.31 이종구*57 2010.03.31 6916
557 심근경색증 환자를 위한 조언 2010.04.21 이종구*57 2010.04.21 6907
556 ♥ 비만과 건강 [2] 2010.05.05 이종구*57 2010.05.05 6839
555 ♥ 뇌졸중의 예방과 치료 2010.05.19 이종구*57 2010.05.19 6837
554 Overdiagnosis [2] 2011.04.28 김영철*61 2011.04.28 6783
553 ♥ 새 약물방출스텐트는 금속스텐트에 비해 심근경색증/사망률을 증가 가능 2010.03.08 이종구*57 2010.03.08 6724
552 [Medical]Silent CAD. How Common? [1] 2020.11.19 이한중*65 2020.11.19 6688
551 [Medical] Internal Medicine News [2] 2012.03.12 이한중*65 2012.03.12 6654
550 ♥ 심혈관질환 예방 식이요법 [2] 2009.12.09 이종구*57 2009.12.09 6611
549 ♥ 당뇨병과 심장병 [1] 2009.10.05 이종구*57 2009.10.05 6511
548 술! 적당히 마시면 심혈관 질환 예방 [5] 2009.11.18 이종구*57 2009.11.18 6503
» ♥ 고혈압치료와 당뇨병의 발생 [2] 2009.12.14 이종구*57 2009.12.14 6486
546 [Medical Column] 7. 심방세동 2011.07.25 이종구*57 2011.07.25 6460
545 자살은 병사(病死)다 [3] 2011.12.28 조만철#70연세의대 2011.12.28 6159
544 Nobel prize to Briton, Japanese for stem cell work [3] 2012.10.08 운영자 2012.10.08 6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