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Essay 마지막 선물

2019.06.19 13:50

민공기#56 Views:185

  마지막  선물 

 

민공기


In loving memory of our daughter Katherine (경희) 

                 

Dedicated writer and teacher

 

Katherine Min.jpg
(March 1959 - March 2019

 

                                    사랑하는 우리딸 경희 전에

Katherine 은 우리 부부가 University of Illinois 대학원 학생으로 있었던

Champaign-Urbana 에서 1959 년 3월에 우리 첫째 딸로 태어낳고, 올해(2019년)

3 월에  소설 수필 작가로 또 대학교수로 창작활동에 가득찬 60년 생에를 끝 마첬다.

환갑 생일인 3월16일을 지낸 다음날 17일 에, 가족 생일이나 명절때면 틀림없이

제 시간에 선물을 보네든 시간을 잘 지켰던 경희 다운 죽음이었다.

 

Katherine은 어렸을 때부터 쓰는길을 찾았다. 그 일생을 통해서 그 길에서 헛나가지

않았다.  그의 자서전적인 수필에 이렇게 써있다.  “ I was a born liar. I began

telling colorful lies on the playground in elementary school and writing an

illustrated picturesque novel.”

시간만 있으면 공책에 자기자신을 백설공주 같은 주인공으로, 이런 “거짓말”을 “소설” 로 승화시키고, 크레용으로 채색에 열중하는 Katherine을 우리부부는 큰 호기심을 갖고 보았다.

 

대학은 나의 모교인 Amherst College 에서 문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은

Columbia School of Journalism에서 Master 를 받았다. 순 문학을 게속하겠다는

Katherine 의 단 한번의 타협이다. 글은 계속해서 쓸 수 있는 journalism 이니까.

Columbia 신문학과 를 마친후 Katherine은 Boston Phoenix 와 서울의

Korea Herald에서 2년동안 기자 생활을 한다. Korea Herald에서는 “Random Thoughts” (이 생각 저 생각) 라는 자기 column을 쓰기도 했다.

 

Katherine의 문예작가로서의 활동은 한국에서 돌아온 후 New Hampshire의

Plymouth State University 교수로 정착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그의 작품이 Plowshares, Prairie Schooner, The Three Penny Review 등 문예잡지에

출판 되기 시작하고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Grant, New Hampshire State

Council for the Arts Fellowship등을 수여받는다.

 

2006년에 그녀의 대표적인 소설 “Secondhand World “ (이차적인 세게) 가

Alfred A. Knopf 사에서 출판되고(이 소설의 이태리어 본역판이 2011년에 출판됐다.),

2007 년엔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sheville 문과 교수로 자리를 옮긴다.

그후 Yaddo, Millay Colony, MacDowell등 artist resident 로서 창작활동을 글속하고

2012년에는 The Sherwood Anderson Foundation Fiction Award 를 받었다.

 

문예인으로 또 대학교수로서의 활동이 한참인 이때 2014년 뜻에 Katherine은 유방암

진단을 받는다.

이때부터 Katherine은 소설보다 암과 투병하고있는 문인으로서의 자서전적인

수필을 쓰기 시작한다. 계속하는 chemotherapy 로 지친 상태에서 “

을 쓴다 는 것” 을 다시 생각해 본다.

 

WRITING WHEN YOUR LIFE DEPENDS ON IT   (삶에 필수적인 쓰기)

(Katherine Min Nov. 6, 2018)

“ Mark Twain once said, “The two most important days in your life are the day

you are born and the day you find out why.” However, my illness has destabilized

and unseated parts of my identity, as much as I have doubted, second-guessed,

procrastinated, changed genres, swapped out projects, angsted, and denied,

I am still a writer, and I will do what a writer does. I will go out into the world, to see,

and feel, and listen, and I will retreat from it, to reflect, report, and record,

and in so doing, I will bear witness to my own life. Act and do and make and choose.

No victim here.”

 

“우리 생애에서 제일 중요한 날은 첫째 내가 태어난 날과 두번째는 ‘내가 왜 태어났나’ 를 알게되는 날 이다” (Mark Twain).

나의 마음이 내 병에서 오는 아픔 고통 의혹 때문에 혹시 흔들릴 때가 있을 지 언정

나는 작가이고, 작가가 할 일을 계속 할 것이다.

나는 바깥 세상에 나가서 보고 느끼고 듣고, 그것을 사색하고 기록하고 글로 옮길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서 내자신 내 삶의 증인이 되겠다. 행동과 창작과 선택.

수동적인 피해자는 이곳엔 없다.”

 

일생을 문예작가로 살고 떠난  Katherine 의 타협없는 긍지와 투혼 을 잘 나타낸

일종 의 선언문 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2017넌 10월 Johns Hopkins Peabody Institute 에서 Katherine 수필 낭독과 음악의 밤이 있었는데, 특히 그녀의 병에 감동받은 한 작곡 가의 첼로와 피아노 협주곡이 발표 되었다. “Falling Still: An Evening of Music For Cello and Piano, Inspired

By The Writings of Katherine Min”

“Falling Still” 은 여기서 읽은 한 수필의 제목인데 점점 악화하는 건강상태를

비유한것 이다.  같은 program 은 다음날 Bucknell university 에서도 반복 됬다

 

2018년 여름 우리는 딸 아들과 뉴욕시 에서 일주일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먹기 좋아하는 우리는 전 부터 좋아했던 음식점을 찾어다녔고  “11 Madison Park” 라는

이름난 restaurant 에서 우리 결혼60년  anniversary 를 축하 해 주었다.

Katherine은 이때만 해도 좀 피로는 했지만 잘 먹고 잘 이야기하고 오는

Thanksgiving 은 사촌들 하고 Washington DC 에서 지낼 계획을 짜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족이 모두 같이 여행하는것은 이것이 마지막이 되었다. Katherine는 암이 폐에 전의되면서 산소탱크를 쓰기시작하였다.

 

그후 우리 가족은  Thanksgiving, Christmas 를 모두 North Carolina, Asheville에

있는 Katherine집에서 지냈다.

우리 부부는 과거 어느때보다 Katherine과 이야기 할 수있는 시간이 생겼다.

 

나는 Katherine하고 참으로 많은 것을 이야기 했다.

어렸을때의 추억, 대학 시절때 이야기, 모교  Amherst College 의 시인

Robert Frost 의 “Road Not Taken”(택하지 않은 길) 을 어떻게 해석하야 하나…

 

Katherine는 또 우주의 진화에 관해서 알고 싶어했다. 팽창하는 우주의 종말은?

 

하루는 Katherine이 물어 보았다.

“Dad, did you read the New York Times article ‘Why we struggle to say I love you’?”

(아버지, 이  읽어 봤어?)

왜 우리에게는  “I love you.” 라는 말 하기가 그렇게 어려운가?”

 

저명한 월남인 작가 Viet Thanh Nguyen이 New York Times에 쓴 이 글은 내가

며칠전 에 읽었고 기회 가 있으면 Katherine하고 이야기하고 싶다고 생각하던 중 이었다. 이 논문의 내용은 백인에 비해서 Asian-American은 “ I love you”  라는 말을 못한다 는

것이다.이 문제는 부모에 있어서 더  심각한데 진심으로 “love “ 를 느끼면서도 말로 표현 하는데는 자이식이 앞서고 어색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 글을 읽으면서 우리에게 적중한 말이라고 생각했다.

 

“Well, I think something in Asian cultures tends to prefer expressing our feelings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You can see this in Japanese Haiku for instance…”

“글쎄 동양문화에는 감정표현 을  직접적으로 표시하는것보다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것 아닌가? 가령 일본의 haiku에서 보듯이.”

이런 이야기를 하면서 1990년 경 Katherine 이 쓴 단편소설

“The one who goes the farthest away”  (제일 먼 길로 떠난 친구) 생각이 낫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경수”(Kyoungsu) 라는 이름의 대학교수인데 30년만에 서울에서

고등학교때 친구들과 동창회에서 만난다. 옛날 이야기, 동창생들 의 최근 소식등으로

술잔이 돌아간후 경수가 한국 대학으로 돌아올지도  모른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미국의 안정돤 대학 자리를 버리고 왜 돌아오는지 모두들 궁굼해 한다.

 

“…”I know why I wanted to come back” he said quietly. He wanted to say 

that America was a country where there was only the future. From the day he had

arrived with twenty-five dollars in his pocket, he had been swept forward 

into tomorrow and next day, and by the driving possibilities of life without tradition,

without the past. There was no memories for him in America”

 

경수에게는 미국은 미래만을 바라보고 일직선으로 돌진하는 나라, 과거가 없는

나라인 것이다.  미국에는 그에게 추억이 없었다. 동창회가 끝나고 집으로 갈 때가 됬다. 경수가 묵고있는 형님집 까지 차로 데려다 주겠 다는 친구에게 경수는 말한다.

“ “no, no,” he said. I am alright. I will walk. As he watched his classmates retreat

into the shadows, he saw their young faces clearly; smooth, blinking with

an innocence that bestowed upon the world newness, their mouths calling to him

in childish voices, their smiles like promises to one another. He realized how much

it had cost him to leave them, how much it would continue to cost him.

(저녁 어듬속으로 떠나가는 친구들 뒷 모습을 보면서 경수는 그들의 젊었을때의

주름살 없는 동안을 생각 해본다. 그들이 소년다운 목소리로 밝은 앞날을 서로

기약함 을 듣는 다. 아 참으로 좋은 나의 친구들. 이 친구들과 떨어저 산 긴 세월을

느끼는 경수. 이제 또 얼마나 긴 세월을.)

 

Katherine이 이 소설을 쓴 1987년경 나는 새로 생긴 포항공대 (Postech) 에서 물리과

과장 자리 offer를  받고 이 소설의 주인공 경수와 비슷한 처지에 있었다.

 

경수는 끝내 한국으로 돌아 갔을까?

 

만일에 가공의 인물 “경수”의 모델이 나 다면 Katherine은 이 소설에서 간접적으로

나에게 한국행을 권고한것 인지도 모른다. 

경희한테 이 소설의 주인공이 나냐고 물어보았다.

내 딸은 웃기만 하고 대답은 없었다.

 

그 웃음 에서  나는 이 소설에서 내 딸이 간접적으로 나에게  “I love you.” 라고 말하는

것을 느꼈고 곧 “ Thank you for writing that story. I love you so much”라고 대답 했다.

“The one who goes the farthest away”  (제일 먼 길로 떠난 친구) .

이 소설은 Katherine이 나에게 남겨준 귀중한 사랑의 선물 이다.

 

금년(2019) 일월에 Katherine는 폐염으로  Intense Care 치료를 받은후 hospice로

옮기고, 그 곁에 딸, 아들 (Kayla30, Clay25),동생(Kollin52) 들 이 마지막 두달을 같이

지넸다. Hospice 의사 말에 의하면 환자의 평균 체류기간은 두 달 이라고 했다.

 

3월16일은 Katherine의 환갑 생일이다. Hospice로 옮긴 것이 1월 중순, 두달 후

Katherine의 건강 상태는? 마지막이 될지 모를 그의 생일을 어떻게 지낼까?

2월,3월에 들어 가면서 Katherine은 자는 시간이 늘어나고 정상적인 의식 상태로

우리하고 이야기 할 수 있는 시간은 줄어 갔다. 그러나 그의 표정은 더 부드롭고 미소를 띠고 있었다. 자기 생일에는 가족 친구들과 자기 방에서 축하 파티를 해 달라고

부탁 했 다.

 

나는 필경 마지막이 될 생일 선물을 생각해보았다.

오랜 struggle후 부녀간 에 이루어진 “I love you”이지만 이것으론 부족하다고 생각 했다.영어 와 한국말, 이 두 언어 가 상징적 으로 나타내는 두 세개의 대립 갈등 화해.

이것 이야말로 Katherine 문학의 leitmotif가 아니었던가?

 

그렇다. 내가 우리 딸 Katherine, 경희 에게 주는 마지막 생일 선물은 나의 육성 으로

직접화법 으로 큰 목소리로 말하는 것이다. “경희야, 아버지는 너를 진심으로 사랑해.

언제나 그랫듯이.”

 

3월16일  Katherine의 의식이 깨어 있는 짧은 시간이지만 가족 친구들과 함께

마지막 birthday party를 지낸 다음 날 아침, Katherine은 딸 Kaylor, 아들  Clay 의

손을 잡은채 편안히 잠 들었다.

 

쓰기 로 살고 글을 쓰다가 죽은 자랑 스러운 우리 딸 경희에게 다시 한번 안녕

 

정말로 사랑해. 어머니. 아버지.
                                              
                              Epilogue

 

(Katherine 의 소설  Secondhand World 에서)

 

“It is a secondhand world we are born into. What is novel to us is only so because

we are newborn, and what we can not see, that has come before— what our parents

have seen and been and done—are the hand-me-downs we begin to wear as

swaddling clothes, even as we are naked. The flaw runs through us, implicating us

in its imperfection even as it separates us, delivers us onto opposite sides of a chasm.

It is both terribly beautiful and terribly sad, but it is finally, the fault in the universe

that gives us birth to us all.”

 

“우리는 모두가 두번째 세계에 태어난다.이 세계가 새롭게 보이는것은 우리가 새롭게

태어 낳기 때문이다. 이 세계에 먼저 와 있었던 것—우리 부모가 미리 보고 경험하고

성취한 모든 것은 우리에게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 모든것을 우리는 상속한다.

이 모든 것이 한 포대기로 벌거벗은 우리를 감싸 준다. 이 과정에선 모든 결함도

우리에게 이어지고 두 세대를 격리시키는 절벽 양쪽에 엄연히 공존 하게된다.

한 없이 아름답고 한 없이 비극적인 궁극적으로 피할수 없는 숙명이다.”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077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203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796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725
425 阿房宮賦: 아방궁 부 [1] 2023.12.01 정관호*63 2024.01.23 348
424 고 야 2023.11.12 노영일*68 2023.11.13 83
423 마지막 성묘, 2013년 [8] 2023.10.03 조승자#65. 2023.10.15 162
422 Obsiquies Mignon [3] 2023.09.11 정관호*63 2023.09.28 56
421 폭포 [4] 2023.09.09 노영일*68 2023.11.08 142
420 흔적 [2] 2023.07.05 노영일*68 2023.07.10 110
419 큰 별 [2] 2023.03.29 최광택*70 2023.03.31 84
418 겨울 별자리 오리온 [2] 2023.03.10 최광택*70 2023.03.13 105
417 하와이의 남십자성 [7] 2023.03.08 최광택*70 2023.03.12 258
416 은퇴 [7] 2022.12.27 노영일*68 2023.03.16 371
415 도슈사이 샤라쿠는 과연 김홍도인가? [2] 2022.12.25 최광택*70 2022.12.26 255
414 갈비탕; 할머니의 두갈래길 2022.12.06 온기철*71 2022.12.07 331
413 How to enter the pedestrian path of George Washington Bridge [1] file 2022.09.23 정관호*63 2023.11.17 77
412 General Lee and an old lady [4] 2022.08.20 정관호*63 2022.08.23 203
411 後出師表; 후출사표 [1] 2021.11.16 정관호*63 2022.08.21 86
410 後赤壁賦: 후적벽부 [5] 2021.10.22 정관호*63 2022.09.14 219
409 Bus 44 [2] 2021.10.04 온기철*71 2021.10.04 96
408 초원의 빛 [7] 2021.09.26 노영일*68 2021.10.02 290
407 My Story of The MODERN 4 [3] file 2021.07.28 정관호*63 2021.08.04 101
406 My story of the MODERN 3 [2] 2021.07.27 정관호*63 2021.07.29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