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Essay 2017 년 세모(歲暮)에

2017.12.30 01:01

조중행*69 Views:160

 

                                          

                                     2017 년 세모(歲暮) ;

                    

                     "벽사(碧史) 이우성(李佑成) 선생과 시인 김종길(金宗吉)교수를 생각 하다"

 

    얼마전 저녁에 특별한 약속이 없는 날 늘 하는대로 분당의 영풍문고까지 걸어가서     

    이 책 저 책 뒤적이다가  창작과 비평금년 가을 호에서 임형택이란  분이 쓴  “벽사

    이우성 선생의 삶과 학문이라는 글을 읽게 되었고, 다른 한 잡지에서  영문학 교수이며

    시인이었던  김종길 교수의 업적을 읽다보니, 금년 봄 두분 모두 남다른 업적성취 또

    천수를 누리신 후 노환 으로 돌아가신 것을 알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두분 다 한번도 만나 뵈온 적은 없었으나, 글을 통하여 이분들 집안의

    내력과 함께, 학문적 성취와 또 살아오신 깨끗한 삶 그 자체로 오늘 한국사회가 

    나아갈 길 을 보여준  정면 교사의 어른들로 모든 후학들의 진정한 존경의 대상이

    되는 분들임을   알게 되었다.

 

    특히  해마다 년 말이면  황규정 선배님을 통하여 소식을 전해 주시는 이희발 선배님

    이(임현재 선생으로부터 오래전 에 몇 번  이희발 선배님에 대해서 들은 바 있었으나)

    벽사 선생의 아드님임을 알게 되었다.  이분의 저서 목록을 보면 한문이나 한국  

    역사에 상당한 지식를 갖고 있어야 이해할 수 있는 학술서적이 대부분 인듯, 나의 실력이 

    될지는 모르겠으나 벽사 선생님의 저서를 한 두권 주문해 놓았다.   

  

  두분 모두  유학자의 집안에서 태어나셔서  한 분은  문사철(文史哲) 을 아우르

  방대한 연구와  한국학 저술 활동과  이 시대에 한시를 지을 수 있는 몇분 중의 한

  분 이셨고, 김 종길 교수는 고대 영문학 교수로써의  업적외에도 시인으로써 영문학

  적 서구 정신과 토속적 한국 정신을  접목시킨 특이한 문학적 업적을 이루신 분

  이시었다. 

     

     김 종길 선생의 시는 교과서나  잡지를 통해 잘 알려 졌었고 난해한 현대시 보다

     평이한 시어(詩語)로  가슴에 와 닿는 명시가 많아 개인 적으로 옛날부터 좋아 했다.   

   안동 유학자  가문 출신으로 많은 영시 의 번역 및 평론 작업 외 한문학(漢文學)에도

   조예가 깊으셔, 이 두분 학자 및 몇분의 원로들이 몇 십년에 걸쳐  지속해 온 한시 짓는

   모임  난사(蘭社)"의 활동은 옛날 조선의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혜보 (徯)

   한치응(韓致應) 등 친구들  사이의 유명한 죽란시사(竹蘭詩社) 활동을 연상  시킨다.

 

  이런 분들의 업적을 알게 되면 늘 착잡한 생각에 빠지게 된다.

  아주 옛날,우리 집안 선대에서 있었던 성호(星湖) 이익(李瀷) 선생과의 인연을 생각하고,   

  모르는 사이에 주변이 쓸쓸하게 변한, 이제는 한 폐족(廢族)과 같은 집안의 문장(門長)

  되어버린  나의 입장에서 한문(漢文)을 너무 모른다는 자괴감과 게으름, 집안에 내려오는

  선세유적(先世遺蹟)이나 선대의 간찰(簡札)하나 제대로 읽을수 없는 불효의 죄스러움은

  헤아릴 수 없다. 

  이제 성탄절도 지나고 새해를 맞을 준비를 하며, 늦었지만, 새해에는 논어(論語) 이든

  명심보감(明心寶鑑) 이든 조금씩 한문 공부를 시작해 볼 까 한다.

 

                         벽사 이우성 교수 저술(무순)중에서

             

        실학연구총서  

      역서『이조한문단편집

   한국의 역사상 : 이우성 역사논집

순암 안정복의 역사학(공저;이기백)

고양만록

실시학사산고 : 한국학의 저변

이우성 저작집 세트(8)

순암연구총서 1차분 세트(공저)

도산서원

한국중세사회연구』, 이우성 (일조각)

벽사 관문존(한시집)

 

      나의 조사가 미비, 아마도 수많은 벽사 선생의  업적을 빠트리는 우를 범한 죄스러움  

      이  있으나, 읽는 분들이 인터넷 이나 기타 소스를 통해서 흥미있는 분 들은 더 알아     

      볼 수있을 듯하다.  그리고 "한국 중세 사회 연구"등 주요 연구가 나의 6 촌형,  고

     한만년  형이 운영하던 출판사 일조각 에서  발행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더욱

     반가웠다. 오랜세월 형의 집안과 한 집 같았던 두 집안의 정의(情誼)를 생각하니        

     세월의 흐름이 서글프다.

 

       김종길 선생의 시 중에서 성탄과 새해에 맞는 두 가지 시를 소개하며

     도미 40 여년후 한국에 돌아와 벌써 세번째 맞게 되는 새해의 감회와 함께 생전에

     두 어른들의 강의라도  한번 들을수 없었던 나의 아쉬움을 적어 본다.

 

                                                         성탄제

                                                      - 김종길 -

 

                바알간 숯불이 피고,

                외로이 늙으신 할머니가

                애처러히 잦아지는 어린 목숨을 지키고 계시었다.

                이윽고 눈 속을

                아버지가 약을 가지고 돌아오시었다.

                아 아버지가 눈을 헤치고 따오신

                그 붉은 산수유 열매

                나는 한 마리 어린 짐생,

                젊은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에

                열로 상기한 볼을 말없이 부비는 것이었다.

                이따금 뒷문을 눈이 치고 있었다.

                그날 밤이 어쩌면 성탄제의 밤이었을지도 모른다.

                어느새 나도

                그때의 아버지만큼 나이를 먹었다.

                옛 것이란 거의 찾아볼 길 없는

                성탄제 가까운 도시에는

                이제 반가운 그 옛날의 것이 내리는데,

                설어운 설흔 살 나의 이마에

                불현듯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을 느끼는 것은,

                눈 속에 따오신 산수유 붉은 알알이

                아직도 내 혈액 속에 녹아 흐르는 까닭일까.

                                     

                              -어쩐지 서양의 예수님이 현대 한국인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같다.

                             그리고 어릴때 어머님을 잃은 이 시인의 실화였을 지도 모른다----

 

          
                           설날 아침에

                                                    

                                                        김종길

 

                 매양 추위 속에

              해는 가고 또 오는 거지만

     

              새해는 그런대로 따스하게 맞을 일이다.

 

              얼음장 밑에서도 고기가 숨쉬고

              파릇한 미나리 싹이

              봄날을 꿈꾸듯

   

                 새해는 참고

                 꿈도 좀 가지고 맞을 일이다.

 

                 오늘 아침

                 따뜻한 한 잔 술과

                 한 그릇 국을 앞에 하였거든

 

                 그것만으로도 푸지고

                 고마운 것이라 생각하라.

 

                 세상은

                 험난(險難)하고 각박(刻薄)하다지만

                 그러나 세상은 살 만한 곳

 

                  한 살 나이를 더한 만큼

                  좀 더 착하고 슬기로울 것을 생각하라.

 

                  아무리 매운 추위 속에

                  한 해가 가고

                  또 올지라도

 

                  어린것들 잇몸에 돋아나는

                  고운 이빨을 보듯

                  새해는 그렇게 맞을 일이다.

                                             

                                           "Happy New  Year !" from  Seoul

 

                                     prepared by JH Choh,M.,FACS(class of 1969)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7771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1857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499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429
425 阿房宮賦: 아방궁 부 [1] 2023.12.01 정관호*63 2024.01.23 345
424 고 야 2023.11.12 노영일*68 2023.11.13 77
423 마지막 성묘, 2013년 [8] 2023.10.03 조승자#65. 2023.10.15 156
422 Obsiquies Mignon [3] 2023.09.11 정관호*63 2023.09.28 53
421 폭포 [4] 2023.09.09 노영일*68 2023.11.08 136
420 흔적 [2] 2023.07.05 노영일*68 2023.07.10 103
419 큰 별 [2] 2023.03.29 최광택*70 2023.03.31 79
418 겨울 별자리 오리온 [2] 2023.03.10 최광택*70 2023.03.13 103
417 하와이의 남십자성 [7] 2023.03.08 최광택*70 2023.03.12 253
416 은퇴 [7] 2022.12.27 노영일*68 2023.03.16 367
415 도슈사이 샤라쿠는 과연 김홍도인가? [2] 2022.12.25 최광택*70 2022.12.26 229
414 갈비탕; 할머니의 두갈래길 2022.12.06 온기철*71 2022.12.07 293
413 How to enter the pedestrian path of George Washington Bridge [1] file 2022.09.23 정관호*63 2023.11.17 73
412 General Lee and an old lady [4] 2022.08.20 정관호*63 2022.08.23 199
411 後出師表; 후출사표 [1] 2021.11.16 정관호*63 2022.08.21 81
410 後赤壁賦: 후적벽부 [5] 2021.10.22 정관호*63 2022.09.14 210
409 Bus 44 [2] 2021.10.04 온기철*71 2021.10.04 94
408 초원의 빛 [7] 2021.09.26 노영일*68 2021.10.02 289
407 My Story of The MODERN 4 [3] file 2021.07.28 정관호*63 2021.08.04 94
406 My story of the MODERN 3 [2] 2021.07.27 정관호*63 2021.07.29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