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詩臨天下之《子夜吳歌春歌》 - 每日頭條">  
子夜吳歌· 春歌 李白
子夜吳歌· 春歌 李白
자야오가 가 이백

秦地羅敷女, 采桑綠水邊.
진지나부녀는, 채상록수변을.

素手青條上, 紅妝白日鮮.
소수청조상이요, 홍장백일선을.

蠶飢妾欲去, 五馬莫留連.
잠기첩욕거하니, 오마막유련을.
자야오가 이백
봄노래 당조시선 이백

진땅 미인 나부는
푸른 물가에서 뽕잎을 땋도다.

흰 손은 푸른 가지위에 있고,
붉은 화장은 밝은 해에 빛나네.

"누에가 굶주려 첩은 가려하오니,
사군께서 서성거리지 마세요."
BALLADS OF FOUR SEASONS: SPRING
Tang Dynasty Li Bai

The lovely Lo Fo of the western land
Plucks mulberry leaves by the waterside.

Across the green boughs stretches out her white hand;
In golden sunshine her rosy robe is dyed.

"My silkworms are hungry, I cannot stay.
Tarry not with your five-horse cab, I pray."


  子夜吳歌子夜吳歌春歌 image
子夜吴歌•春歌》李白古诗原文翻译及鉴赏- 习诗词网

子夜吳歌 春歌Youtube
 

譯文(역문): 번역한 글
秦地有位羅敷女,曾在綠水邊採桑。
素手在青條上采來採去,在陽光下其紅妝顯得特別鮮艷。
她宛轉地拒絕了太守的糾纏,說:蠶兒已飢,我該趕快回去了,太守大人,且莫在此耽擱您寶斑的時間了。

진 땅에 나부란 여인이 있었으니, 일찍이 푸른 물가에서 뽕잎을 땄었도다.
흰 손으로 푸른 가지에서 땄었는데, 햇볕아래에서 홍장하여 대단히 아름다웠다.
그녀는 태수의 옳지 못한 수작을 단호히 거절하며, 가로되: “누에가 허기지나 첩은 돌아가야하고, 또한 당신의 귀한 시간을 여기서 낭비치 마세요."

注釋
“秦地”句:秦地(진지),指今陝西省關中地區。현재 섬서성 관중지구
羅敷女(나부녀) 樂府詩《陌上桑》有“日出東南隅,歸我秦氏樓。秦氏有好女,自名為羅敷。 羅敷善蠶桑,採桑城南隅”的詩句。악부시 맥상상에 나오기를, “…진씨가에 아름다운 딸이 있으니 이름은 나부였다. 누에와 뽕잎을 잘 다루어서, 성남 모퉁이에서 뽕잎을 땄었다.”하는 시구에서 나온다.
素(소):白色。흰색
“紅妝(홍장)”句(구):指女子盛妝後非常艷麗。여인이 성장하여 비상히 아름다움을 지적
妾(첩):古代女子自稱的謙詞。고대여인이 자신을 겸사하여 가리키다.
“五馬”句(오마구):意思是,貴人莫要在此留連。五馬,《漢官儀》記載:“四馬載車,此常禮也,惟太守出,則增一馬。”故稱五馬。這裡指達官貴人。귀인이 여기에 머뭇거리지 못하게 하다는 뜻이다. 네필말이 끄는 수레를 탐은 상례인데, 태수가 나갈 때에는 한필을 추가하여 다섯말로 끄니 이는 관귀인을 지칭한다.

정관호 해설
子夜(자야)란 여자의 이름이며 그녀가 불렀던 노래에서 유래되었고, 주로 애정을 다루었으며, 악부시집에 올렸다.
여기 이백의 사계절 노래가 나오는데, 이번 봄노래에는 힌대로부터 유래했던 맥상상(陌上桑)에 나왔던 뽕잎따던 미녀 나부와 그녀에게 추파를 보낸 태수 즉 지방장관을 인용하였다.

 
Kwan Ho Chung - March 15, 2021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164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306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890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809
339 김소월 시 세편 [3] 2019.08.25 정관호*63 2022.08.22 122
338 琵琶行(비파행) 白居易(백거이) [6] 2019.07.10 정관호*63 2022.08.22 224
337 長干曲(장간곡): 장간의 노래 [1] 2022.03.14 정관호*63 2022.08.22 156
336 (한시) 江南弄(강남농): 강남의 노래 [1] 2018.09.24 정관호*63 2022.08.22 13606
335 漢代詩(한대시): 羽林郎(우림랑) [6] 2018.06.30 정관호*63 2022.08.22 190
334 시조 두수: 장안사, 내금강 [13] 2020.10.27 정관호*63 2022.08.21 196
333 蜀相 (촉상): 촉한승상 제갈량 [8] 2020.10.19 정관호*63 2022.08.21 133
332 峨眉山月歌(아미산월가): 아미산달 노래 [1] 2022.06.30 정관호*63 2022.08.19 101
331 [東漢] 行行重行行(행행중행행): 가고 가고 또 가고... [2] 2019.09.02 정관호*63 2022.08.18 329
330 上山采蘼蕪(상산채미무): 산에 올라 향초를 캐다 [7] 2019.03.02 정관호*63 2022.08.17 2861
329 望江南莫攀我(망강남막반아): 강남곡 나를 붙잡지 마세요. [5] 2018.02.27 정관호*63 2022.08.16 121
328 少年行 李白: 소년의 노래 당조 이백 2018.01.31 정관호*63 2022.08.16 241
327 責索頭 金笠 (책색두 김립): 번오기를 꾸짖은 형가 김삿갓시 [5] 2019.10.29 정관호*63 2022.07.20 218
326 子夜吳歌 夏歌 [자야오가 하가]: 여름 노래 [1] 2022.06.01 정관호*63 2022.06.13 72
325 엄마의 눈물 [1] 2022.06.03 온기철*71 2022.06.04 63
324 시인 이백과 최호의 대결 [3] 2021.01.25 정관호*63 2022.05.05 122
» 子夜吳歌 春歌 : 봄 노래 2021.03.15 정관호*63 2022.05.03 65
322 김삿갓의 "추미애(秋美愛)" 라는 한시(漢時) [3] file 2022.04.19 손기용*61 2022.04.19 109
321 烏棲曲(오서곡): 까마귀 깃들던 노래 [2] 2021.07.15 정관호*63 2022.04.13 68
320 代閨人答輕薄少年: 대규인답경박소년 [4] 2020.06.14 정관호*63 2022.04.12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