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諸葛孔明像



詠懷古跡 杜甫

諸葛大名垂宇宙,
宗臣遺像肅淸高.
三分割據紆籌策,
萬古雲霄一羽毛 .
伯仲之間見伊呂,
指揮約定失蕭曹.
運移漢祚終難復,
志決身殲軍務勞
영회고적 두보

제갈대명수우주하니,
종신유상숙청고를.
삼분할거우주책이요,
만고운소일우모를,
백중지간견이려요,
지휘약정실소조를.
운이한조종난복하니,
지결신섬군무노를.
옛 자취를 읊음

제갈공명의 큰 이름이 우주에 드리웠으니,
큰 신하의 모습은 엄숙하고, 맑고, 높았네.
삼분하여 나눔은 주밀한 운용한 책략이요,
만고에 하늘에 난봉이 높이 낢이로다.
필적하기는 하의 이윤과 주의 여망일 뿐,
지휘는 정한 듯 소하와 조참이 실수케 하네.
운 떠난 한의 복조를 돌이키지 못했으니,
뜻을 결하고 몸을 다하여 군무에 힘쓰셨네.
THOUGHTS OF OLD TIME V Du Fu

Zhuge's prestige transcends the earth;
There is only reverence for his face;
Yet his will, among the Three Kingdoms at war,
Was only as one feather against a flaming sky.
He was brother of men like Yi and Lu; And in time
would have surpassed the greatest of all statesmen.
Though he knew there was no hope for the House
of Han; Yet he wielded his mind for it, yielded his life.

      注解(주해):

      宗臣(종신):세상에서 가장 숭상하는 중신. 紆籌策(우주책):순탄치 않은 상태를 주밀하게 운용한 책략. 伯仲之間(백중지간): 상하를 가릴 수 없이 동등하다는 뜻. 伊呂(이려): 상대의 이윤과 주대의 여상)을 말하니, 둘 다 현명한 주군을 보좌하여 개국한 명상이다. 失蕭曹(실소조): 한 대의 종신, 소하와 조참을 실수케 한다고 하니, 이 두 사람이 제갈공명을 따라 올 수 없다는 뜻이다. 祚(조): 제위 즉 황제의 자리.

      소감

      제갈공명의 충절과 불세출의 지휘 전략으로도 성공을 못했으니, 이는 한나라의 운이 다 떠났음이라고 시를 마친다. 여기서 전사구는 무후사의 경색을, 후사구 무후의 일생을 묘사하였다. 마지막 구절은 더욱이 세상 사람이 애송하는 바이니, 무후는 촉한을 하늘기둥같이 떠받들었고, 비록 성공은 못했으나, 그의 일편충심은 가히 하늘과 땅을 움직이고, 귀신을 울리기에 족했다. 이리하여 두공부의 감탄은 바로 후세의 군자다운선비의 공감을 얻었으니, 이에 이르러 우리 모두 탄식하는 바이다.
      제2수 역시 무후를 찬양한 시이니 그와 비견할 인물을 찾아서 보니, 고대 상 나라의 현상 이윤과 주나라의 현상 여상 일 뿐, 한의 제일공신이요 승상이었던 소하 와 조참으로도 따라 갈 수 없었다. 하지만 운이 떠난 한나라 복조를 돌이키지 못했으니, 몸과 마음을 바쳐 순국하였다는 장렬한 시이다.



六出祁山(육출기산)



Kwan Ho Chung – December 28, 2014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185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333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908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825
279 [唐詩] 渭城曲(위성곡): 위성에서 부르는 이별가 [7] 2014.12.26 정관호*63 2014.12.26 2307
» [唐詩] 詠懷古跡其五(영회고적기오): 촉상의 후편격이며 제갈공명을 위한 최상의 찬사시 2014.12.27 정관호*63 2014.12.27 1607
277 을미년 새해 [4] 2014.12.31 68년 서윤석 2014.12.31 1166
276 [동영상]이해인 - 무지개 빛깔의 새해 엽서 [9] 2015.01.07 황규정*65 2015.01.07 1219
275 어머니 생각 [5] 2015.01.12 정관호*63 2015.01.12 1850
274 (唐詩)寒山詩(한산시): 내 마음은 가을 달 같고 2015.01.15 정관호*63 2015.01.15 1835
273 (漢詩)江南(강남): 연꽃과 물고기 2015.01.25 정관호*63 2015.01.25 1969
272 샌프란시스코 (상항) [2] 2015.01.31 68년 서윤석 2015.01.31 881
271 |詩| 미리암의 쥐에 대한 오해 2015.02.02 서 량*69 2015.02.02 877
270 [宋代賦] 赤壁賦(적벽부): 소동파의 적벽부 2015.02.10 정관호*63 2015.02.10 2063
269 |詩| 대담한 발상 2015.03.01 서 량*69 2015.03.01 875
268 [唐詩] 春閨: 봄 규중 [2] 2015.03.12 정관호*63 2015.03.12 1022
267 [唐詩] 川上女: 시내위 여인 2015.03.12 정관호*63 2015.03.12 1160
266 [宋詩] 陌上花(맥상화): 소동파의 길거리 꽃 [10] 2015.03.13 정관호*63 2015.03.13 1787
265 [唐詩] 楊白花(양백화); 버들 강아지 꽃 2015.03.13 정관호*63 2015.03.13 1145
264 [唐詩] 關山月(관산월) : 관산의 달 [4] 2015.03.14 정관호*63 2015.03.14 1233
263 [唐詩] 長干行(장간행): 장간의 노래 2015.03.15 정관호*63 2015.03.15 1585
262 [唐文] 滕王閣序(등왕각서): 왕발의 등왕각 서문 2015.03.17 정관호*63 2015.03.17 2693
261 [唐詩] 從軍行(종군행): 종군의 노래 [2] 2015.03.24 정관호*63 2015.03.24 5053
260 [宋詩] 虞美人草(우미인초): 송대 위부인의 우미인초시 2015.03.30 정관호*63 2015.03.30 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