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History [re] 박정희 대통령 기념도서관

2012.04.04 04:27

황규정*65 Views:4623



박정희 대통령 기념도서관




박정희 대통령 기념․도서관이 2012년 2월 21일 드디어 서울시 마포구구 상암동 대로변(1693번지 혹은 월드컵로 386)에 개관되었다.

박정희 대통령 기념․도서관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제안으로 1999년부터 건립사업이 시작되었으나, 2001년에 결정된 국고보조금 지원이 2005년 참여정부시절 보조금 전액이 취소되는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또 개관되는 날에는 역사정의실천연대 등 사회단체 회원 80여명이 기념관 앞에서 “국민의 혈세로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이루려는 역사의 범죄”라며 기념관 건립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그 동안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공과에 관해서는 의론이 분분하지만, 박정희 대통령 기념도서관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음을 상기한다면, 그 후계자로 자처하던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 국고보조금이 중단된 사태는 역사를 바라보는 안목에서 크게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혹자는 이것을 두고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단견과 포용력 부족을 지적하기도 한다. 또한 민족중흥과 경제성장 그리고 장기집권과 독재 등을 둘러싼 다양한 입장의 차이가 있으나 박정희 대통령 기념․도서관의 건립을 굳이 이분법적인 잣대로만 보지 말고 살아있는 역사교육의 현장으로 삼아도 될 것이 아닌가.

광주의 김대중 컨벤션센터나 연세대학교 김대중 도서관이 그런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고, 앞으로 지어질 노무현 기념관 또한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만시지탄(晩時之歎)은 있으나 국민의 성금과 국고보조금으로 건축, 개관되었음을 축하하면서 잠시 둘러볼 수 있었다.

기념관은 모두 3층으로 되어 있고, 2층의 제1전시실은 그의 대형 사진과 함께 연표, 세계은행(Word Bank) 개발연구원(EDI)의 교재로 채택된 내용, 석학들이 보는 박정희 대통령과 그가 힘을 기울였던 18개월 6개월간의 일들을 정리해놓고 있다.
























1층의 제1전시실은 고속도로 건설 및 새마을 운동이, 제2전시실에서는 치산치수(治山治水), 농업개발, 중화학공업의 발전, 전국민의 과학화 및 기술인력 양성, 총력안보, 국적 있는 교육 등과 같은 주요 정책들을 집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그가 직접 메모한 ‘경제개발 5개년계획’은 그가 경제개발에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1층 3전시실에서는 소박하게 살았던 인간 박정희, 육영수여사의 모습, 옷과 라디오는 물론 <이순신>에 대한 그의 독후감까지 볼 수가 있다. 여기서 박정희 대통령의 일생을 정리해본다.

『박정희 대통령(1917∼1979)은 군인이며 ·정치가로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및 제5·6·7·8·9대 대통령을 지냈다. 본관은 고령(高靈). 호는 중수(中樹). 경상북도 구미 출생. 빈농인 아버지 성빈(成彬)과 어머니 백남의(白南儀) 사이에서 5남2녀의 막내로 태어났다.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 문경소학교에서 3년간 교직생활을 한 다음, 1940년 만주의 신경군관학교(新京軍官學校) 제2기생으로 입학, 군문에 들어갔다. 이 군관학교를 최우등생으로 수료한 뒤 일본육군사관학교로 전학, 1944년 졸업과 함께 만주군 소위로 임관되어 관동군(關東軍)에 배치되었다.

광복 때까지 만주와 화북지방에서 일본군 장교로 전쟁에 가담했다가, 1946년 귀국하여 육군사관학교에 들어가 제2기로 졸업하고 육군대위로 임관되었다. 6·25전쟁 동안 주로 육군본부 정보국에서 근무하다 1953년 장군이 되었다.

1954년 제2군단 포병사령관, 1955년 제1군참모장, 1960년 육군군수기지 사령관, 제1관구사령관,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을 거쳐, 1961년 제2군부 사령관으로 재직 중, 군부쿠데타를 주도하여 정권을 장악하였다. 육군본부 정보국에 근무하고 있던 1949년, 사상관련사건에 연루되어 군법회의에 회부된 적이 있었다. 당시의 신문보도에 의하면 여순반란사건 관련 공산주의 혐의자로 되어 있는데, 군법회의에서 무기징역을 언도받았으나 육군본부의 동료·상사들의 구명운동으로 복역은 면제되었다.

이 때문에 한때 군인의 신분을 박탈당하였다가 6·25전쟁이 일어난 뒤 현역으로 복적되었다. 1950년 육영수(陸英修)와 결혼하였다. 군부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는 18년5개월간을 집권하였는데, 그의 통치시대는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4·19혁명으로 성립된 민주당정부를 무능·부패 정부로 규정하고 쿠데타에 의해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와 그를 따르는 일단의 장교들은 쿠데타 성공 후 곧바로 계엄령을 선포, 삼권을 장악하였다. 이른바 혁명주체세력은 국가재건최고회의 를 설치, 이를 통해 입법·행정권과 사법권의 일부를 행사하였다. 그 의장은 박정희였다. 이로부터 2년 7개월간 군정이 실시되는데, 최고통치권자인 최고회의의장 박정희는 먼저 구질서의 전면적인 개혁이라는 목표 아래 모든 정당·사회단체의 해체를 포고하는 한편, 용공분자와 폭력배의 검거에 착수하였다.

정권을 장악한 그 해 말까지 3,000여 명의 용공분자와 4,000여 명의 폭력배를 체포하였다. 군사정부는 <농어촌고리채정리령>을 발표하였으며 부정축재자 에 대한 가차 없는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기풍을 바로잡기 위하여 댄스홀·고급요정 등 모든 환락가의 문을 폐쇄하게 하였으며, 비밀댄스홀에서 춤을 즐기던 남녀를 군사재판에 회부하여 최고 1년 6월의 징역을 선고하였다. 쿠데타 1개월이 못 되어 전국적으로 보안관계 범법혐의자의 검거 수만도 3만5000여 건에 달하였다는 사실은 군정 초기에 얼마나 철저한 구악일소작업과 강력정치가 진행되었던가를 짐작하게 한다.

또한 군사정부는 국민운동본부를 설치, 생활간소화·가족계획·문맹퇴치사업을 벌이는 한편, 친선방문외교·초청외교 등 적극외교의 자세를 보였다. 획기적인 경제조치의 하나로 단행된 통화개혁은 실패로 끝났다. 군정 초기의 집권세력 내부에는 주류파와 비주류파 사이에 주도권쟁탈전이 벌어져 일련의 반혁명 사건이 꼬리를 이었다.

이 과정에서 비주류파는 완전히 거세되고 박정희 중심의 주류세력이 실권파로 정권장악의 기반을 확고히 하였다. 군정 후반은 민정이양을 둘러싼 공방으로 전국이 소란하였다. 박정희는 처음에는 2년 후에 정권을 민간에 이양하겠다는 민정이양 일정을 발표하였으나 1963년 1월부터 시작된 정치활동재개 이후 야당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고서는 이른바 ‘2·27선언’을 통하여 자신의 원대복귀를 약속하였다.

그러나 ‘4·8조치’로 군정연장을 계획하였다가 여론의 반대에 부딪혀 철회하는 등 번의를 거듭하였다. 그 사이 군정은 이른바 ‘4대 의혹사건’을 저질러 국민들로부터 ‘구악을 뺨치는 신악’이라는 비판을 듣기도 하였다. 박정희는 1963년의 대통령선거에서 야당의 단일후보인 윤보선(尹潽善)을 근소한 표차로 누르고 당선됨으로써 제3공화국의 통치권자가 되었다.

대통령취임사를 통해 박정희는 “정치적 자주와 경제적 자립, 사회적 융화·안정을 목표로 대혁신운동을 추진함에 있어서 우리는 먼저 개개인의 정신적 혁명을 전개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제3공화국의 박정희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한 작업은 경제발전과 한·일국교정상화였다. 박정희는 이미 군정기간인 1962년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을 수립, 추진하였다.

사회경제적인 악순환을 지양하고 자립경제 확립을 위한 기반구축을 목표로 한 제1차 5개년계획은 당시 후진국 가운데서는 가장 높은 국민총생산(GNP) 성장률인 연평균 7.1%를 책정하였다. 그러나 계획 자체의 졸속과 무엇보다도 경제발전에 필요한 자본 부족으로 제1차 5개년계획은 전반적으로 실적미달이었다.

한·일국교정상화는 경제발전에 필요한 자본 확보와 미국의 압력이라는 복합 적인 이유로 추진되었다. 박정희는 집권하자마자 대일협상에 강한 의욕을 보였으며, 이미 군정기간인 1961년 10월에 일본 동경에서 제1차 한·일회의가 열렸다. 이와 함께 실무교섭이 활발히 진행되었고, 박정희는 국가원수로서는 최초로 일본수상과 회담하는 등 한·일문제 타결에 열의를 보였다. 이 같은 대일자세는 ‘친일외교’· ‘흑막외교’라는 비난을 받았다.

박정희 정부의 대일저자세 시비는 제3공화국 의회 벽두에 대통령 국회출석 결의안 등으로 논란될 만큼 국민의 대일감정을 자극하였다. 특히 한국어민의 생명선이라 할 수 있는 어업 및 평화선문제와 이른바 ‘김·오히라메모(金·大平memo)’로 결정된 6억 달러의 대일청구권자금은 여론의 강력한 반대를 받았다. 한·일문제를 둘러싼 여야와 정부·국민간의 공방은 ‘6·3사태’ 등 한때 정국의 위기까지 불러일으켰으나 박정희 정부는 반대의견을 물리치고 일을 성사시켜 결국 1965년 6월 22일 한일협정이 정식으로 조인되었다.

한·일국교정상화에 따른 일본으로부터의 자금도입과 기타 차관 등을 통하여 제3공화국 후반부터는 급속도로 경제성장이 이루어졌다. 박정희는 고성장·수출 드라이브·산업기지건설 등을 통하여 국정에 자신감을 가졌으며, 이와 함께 점차 독재성향을 띠어가기 시작하였다. 한일회담 타결, 월남파병 등으로 미국으로부터도 신임을 얻은 박정희는 강한 권력욕을 드러냈는데, 그 결과는 1968년 3선 개헌으로 나타났다. 1972년 10월 박정희는 헌법효력의 일부 정지, 국회해산, 정당 활동 금지의 담화를 발표하고,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하였다.

정부는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하여 대통령을 선출하는 ‘유신헌법’을 제정, 국민투표를 거쳐 확정한 후, 이 헌법에 따라 제8대 대통령에 박정희를 선출하였다. 이로써 제4공화국이 시작되었다. 유신체제는 사실상 박정희의 영구집권을 가능하게 하는 체제였다. 뿐만 아니라 대통령의 권한을 막강한 것으로 보장해줌으로써 박정희에게 독재체제의 길을 열어주었다. 이 체제 아래서 민주주의는 크게 후퇴하였다.

유신헌법의 개정을 요구하는 주장이 야당과 재야세력에서 광범위하게 대두하였으나, 박정희는 이를 ‘대통령긴급조치’로써 탄압하였다. 유신체제 7년간 수많은 정치인·종교인·지식인·학생들이 긴급조치에 걸려 투옥 당하였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여론도 한국의 강압정치를 비난하였으나 박정희는 굽히지 않았다. 독재적인 통치에 의해 박정희 정부는 이 기간 기록적인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연간 10%를 넘나드는 고도성장이었고 국민소득도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빈부격차를 가속화시켰고, 황금만능사상으로 사회갈등과 함께 국민정신문화를 크게 황폐화시키는 결과를 빚었다. 한편, 경제발전을 배경으로 국가안보 면에서 빈틈없는 태세를 구축한 것은 박정희의 업적으로 평가된다.

박정희는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남북대화에 힘써 한동안 남북적십자 회담·남북조절위원회회담 등을 열었고, 남북간 밀사교환을 이루었으나 대화는 결국 실패로 끝났다. 박정희는 1979년 유신체제에 항거하는 ‘부마사태(釜馬事態)’가 절정을 이루던 때, 10월 26일 궁정동 만찬석상에서 측근의 한 사람인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가 쏜 총탄을 맞고 죽었다.그와 함께 유신체제도 끝났다.』<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객관적인 사실에 충실하기 위하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였다. 한국일보 이대현 논설위원은 말한다. "<역사를 위한 변명>의 역사학자 마르크 블로흐의 말처럼 역사의 대상은 인간이고, 역사가 시간(시대) 속의 인간에 대한 연구라면 박정희 대통령은 한국현대사의 중요한 존재이다. 그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외면할 수는 없다.

이념이 다르다고 무시할 수는 없다. 시대가 달라졌다고 잊어버려서도 안 된다. '역사의 현재성'으로 보면 그는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과거'이기도 하다. 공과(功過) 모두 기억하고 간직해야 한다. 역사의 단절, 부정보다 어리석은 짓은 없다. 아무리 지우려 해도 지울 수 없는 것이 역사이고, 한 인간의 삶의 흔적이다.

그를 비난하는 근거로 군사혁명, 유신헌법, 장기독재, 인권탄압을 드는 것은 당연하다 하더라도 조국 근대화, 새마을운동, 경제개발은 물론 검소하고 청렴한 리더십과 인간적인 장점까지도 지워버려서는 안 된다”(2012. 2, 23일자 한국일보 <지평선>)고 했다. 옳은 말이다.



2층 전시장에서 찍은 사진 모음




2층 전시실을 들어서면 전면에 보이는 박정희 대통령의 존영 *




* 박정희 대통령의 연표 *







* 세계은행 경제개발원의 교재로 채택되었다는 내용(위)와 세계 석학들이 보는 박정희 대통령 *







* 18년 6개월 동안의 업적을 주제영상으로 처리했다. *







* 5.16 혁명은 당시 정국의 불안을 타개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음을 알리려는 사진들 *







* 혁명 후 민족중흥과 생활의 근대화 혁명이 생산부분에서도 강력하게 추진되었다. *








* 수출주도형 경제개발 추진으로 근대화 혁명이 달성되었음을 알려준다 *




* 외화벌이를 위해 기업들의 중동을 비롯한 해외진출이 급속도로 활발했다. *


1층 전시장에서 찍은 사진 모음









* 경제발전을 위해 고속도로 건설을 강력하게 추진하다 *










* 새마을 운동은 농촌, 도시 할 것 없이 전국적으로 모든 부문에서 전개되었다. *







* 농업진흥 및 산림녹화를 위한 치수, 치산사업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







* 농업개발 정책을 통하여 가난극복의 과제를 극복하려고 힘썼다. *







* 전국민의 과학화 운동과 중화학공업 정책을 선언하여 과학중흥에 노력을 기울였다. *








인간 박정희 대통령





























박정희대통령 기념도서관은 13년의 우여곡절 끝에 문을 열었다. '인간' 박정희와 '대통령' 박정희의 삶을 모아놓았다. 그에 대해 부정적인 사람들은 기념관 자체가 우상화, 미화라고 비판하고 있다. ‘과(過)’는 제쳐두고 ‘공(功)’만 늘어놓았다고 한다. 그럴 수 있다.

그러나 건립의 주체가 기념사업회가 주도한 일이니 ‘업적’ 위주가 될 수밖에 없었다. 허나, 박정희 기념도서관 건립의 제안자가 다름 아닌 그 시대 누구보다 고초를 당했던 김대중 대통령이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이 이제는 역사 속에서 존경받는 지도자 가 돼야 한다”며 기념관 건립에 대한 지원 의사를 밝혔다. 그의 말처럼 박정희 기념관은 과거와의 화해이고, 우리 스스로에 대한 긍정이고 포용이다. 자랑 좀 늘어놓은들 어떤가. 그 또한 분명 우리의 미래를 깨우쳐줄 배움의 공간이 아닌가.

어느 누가 말했듯이 이승만 대통령을 건국대통령으로, 박정희 대통령을 경제대통령으로, 김대중 대통령을 민주화대통령이라 칭한 말이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 박정희 대통령 기념도서관 위치 *
 


Text and photo from Internet,Webpage by Kyu Hwang, April 4,2012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7771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1855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498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428
569 [Documentary Video] "Ship of Miracles" by R.J. McHatton [5] 2012.01.24 운영자 2012.01.24 5741
568 625 전쟁 - 흥남 철수 작전 - 월간조선일보에서 [4] 2012.01.26 운영자 2012.01.26 3675
567 [책 연재 #4] "사선을 넘어서" 김익창 저 [14] 2012.01.23 민경탁*65 2012.01.23 5258
566 [책연재] 사선을 넘어서 김익창 저 # 6 [5] 2012.02.13 민경탁*65 2012.02.13 3424
565 [동영상]1942년 李承晩博士의 육성 [3] 2012.03.11 황규정*65 2012.03.11 6673
» [re] 박정희 대통령 기념도서관 [9] 2012.04.04 황규정*65 2012.04.04 4623
563 독도가 우리땅이라는 역사적 증거모음 [8] 2012.04.20 황규정*65 2012.04.20 5525
562 [re] 신안 앞바다 유물 - 신안선[新安船] [2] 2012.05.06 운영자 2012.05.06 4452
561 신안 앞바다서 발굴한 , 650년 전 보물들 [3] 2012.05.06 운영자 2012.05.06 4410
560 6.25전쟁도 이제 62년전 역사의 一場으로 숨어져갑니다. 그러나 잊으면 안됩니다. [13] 2012.06.25 김성심*57 2012.06.25 3333
559 2100 여년전 西漢시대 유물 [2] 2012.07.12 민경탁*65 2012.07.12 6732
558 일본 왕이 1945년 8월 15일에 방송한 것 [4] 2012.09.03 김이영*66 2012.09.03 4656
557 박정희의 유신정권과 민혁당 [3] 2012.09.18 Rover 2012.09.18 5170
556 장사 박물관 (Changsha Museum) 2012.10.01 민경탁*65 2012.10.01 5605
555 주은래의 육무(六無) 2012.10.04 Rover 2012.10.04 6399
554 서울수복 기념식 외면한 서울시장 [4] 2012.10.08 김이영*66 2012.10.08 4498
553 ‘조선태조어진’ 국보 지정 [5] 2012.10.21 황규정*65 2012.10.21 5612
552 500-year Royal Records of Chosun Dynasty [3] 2012.10.22 Chomee#65 2012.10.22 5188
551 [re] 서울대 스키부 50주년 기념행사 - Epilogue by E-Mails [5] 2012.11.18 운영자 2012.11.18 4458
550 [re] 서울대 스키부 50주년 기념행사 - 김현철과의 Interview [1] 2012.11.18 운영자 2012.11.18 4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