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이해와 감상

 1969년 《현대 문학》에 연재되기 시작하여 여러 차례 지면을 옮겨가며 연재되어 1994년 9월 제16권이 발간되면서 완성된 박경리의 대표적 대하 소설 <토지>는 한국 현대 문학 100년의 역사상 가장 훌륭한 소설로 손꼽힌다.

구한말에서 8·15까지 경남 하동 평사리의 대지주 최씨 가문의 4대에 걸친 비극적 사건을 다루고 있는 이 작품은 한국의 개인사·가족사·생활사·풍속사·역사·사회사 등을 모두 포괄하는 총체 소설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첫째, 이 작품이 1897년부터 1945년까지 식민지 시대 전체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둘째, 지주·소작인·친일파·밀정·의병·승려·지식인 등 여러 계층의 다양한 사상적 경향을 가진 가공적 인물을 등장시켜 그들의 인생 유전을 세밀하게 추적한다는 점, 셋째, 소설의 배경 무대가 한반도의 하단 평사리에서 시작하여 진주·통영·경성·만주의 용정·신경·하얼빈·일본의 동경으로 확대된다는 점, 넷째, 사건 중심의 기술에서 점차 등장 인물들의 개인사 중심 기술을 통해 궁극적으로 그들의 삶이 모두 유기적으로 연관을 이룬다는 점 등이다.

즉, <토지>는 인물로는 서희와 길상을, 공간적으로는 평사리를 각각 중심으로 하여 수많은 동심원을 그리는 확대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기술 방법을 통해 이 작품은 식민지 시대 한국인의 보편적 혹은 총체적 삶을 재현한다.

그러기에 <토지>에 대한 평가는 여러 가지로 나올 수가 있다. 우선 갈래에서 대하 소설, 역사 소설, 농민 소설, 총체 소설 등 여러 명칭이 쓰이는데. 이는 그만큼 이 작품이 한국이 역사는 물론, 농민의 근대적 각성, 죽음과 한의 철학, 토속적, 무속적 향수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격동기 민족의 수난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 작품은 서술 방법과 구성 원리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 역사와 운명 모두를 포괄했다는 점에서도 총체적이다. 7,80년대의 탁월한 소설적 성취로 평가되는 <장길산>이나 <태백산맥>은 각각 민중적 세계관과 프롤레타리아 세계관에 입각한, 그 시대 역사 의식의 정직한 소산이다. 그러나 <토지>는 시대적 역사 의식에 비교적 자유로우면서, 한편으로 운명적인 것에 대한 집요한 탐구를 추가한다. 이것은 아마도 박경리 특유의 유기적 세계관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이해와 감상1

박경리(朴景利)가 지은 장편소설. 1969년부터 집필에 들어가 1994년에 전 5부 16권으로 완간한 대하소설이다. 한말의 몰락으로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시대에 이르는 과정을 지주계층이었던 최씨 일가의 가족사를 중심으로 폭넓게 그려내고 있다. 지난 시대 한민족(韓民族)이 겪은 고난의 삶을 생생하게 형상화해 낸 점에서 〈토지〉는 역사소설의 규준에도 적응하는 것이지만, 근본적인 의미에서 인간의 보편성에 대한 탐구로서 더 큰 성과를 얻고 있다.

〔내 용〕

제1부의 시간적 배경은 1897년 한가위에서부터 1908년 5월까지인데, 평사리라는 전형적 농촌마을을 무대로 하여 이야기가 전개된다. 평사리의 전통적 지주인 최참판댁과 그 마을 소작인들을 중심인물로 하여 최참판댁의 비밀(최치수의 살해사건 등)과 조준구의 계략, 귀녀·김평산 등의 애욕관계 등이 한데 얽혀 한말의 사회적 전환기의 양상이 그려져 있다.

특히 일제에 의한 국권상실, 봉건 가부장체제와 신분질서의 붕괴, 농업경제로부터 화폐경제로의 변환 등 한말 사회의 변화가 소설의 배경이 되면서, 최참판댁의 몰락과 조준구의 재산 탈취 과정을 주요한 사건으로 다루고 있다.

제2부의 시간적 배경은 1911년 5월 간도 용정촌의 대화재로 시작되어 1917년 여름까지인데, 여기서는 경술국치 이후 1910년대의 간도 한인사회의 삶의 모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는 조준구의 계략에 재산을 빼앗긴 서희의 간도 이민의 형태를 빌리면서 서사적 공간이 이동되기 때문이다.

간혹 지리산 동학 잔당의 모임을 제외하고는, 국내정세보다 간도를 둘러싼 중국과 러시아의 정세가 주요한 배경을 이루면서, 최씨 일가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독립운동의 양상을 폭넓게 나타내고 있다. 그러면서 서희의 복수, 곧 최씨 일가의 귀환을 향해 이야기가 집중되어 있다.

제3부는 1919년 3·1운동 이후 1929년 원산총파업과 광주학생사건까지 1920년대의 진주와 서울 같은 도시에서의 삶이 집중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서희의 노력에 의한 최씨 일가의 대상(大商)으로의 성장이 발판이 되어 일제에 의하여 추진된 식민자본주의화 과정을 도시를 중심으로 그려놓고 있는 데 연유한다. 따라서 여기에는 운전수·의사 등 직업인과 교사·신여성·문필가 같은 지식층이 대거 등장한다.

그리고 복수 후 허무에 부딪친 서희의 삶과 동학 잔당의 세력을 규합하여 독립운동을 벌이려던 김환은 일제의 고문 끝에 죽음에 이르면서 이야기의 중심은 송관수로 전형화되는 민중적 삶과 서울의 임명희를 둘러싼 지식인과 신여성들의 삶으로 이동한다.

제4부는 1930년부터 1937년 중일전쟁과 1938년 남경학살에 이르는 시기가 배경이다. 서사의 공간은 서울·동경·만주에서 하동·진주·지리산까지 더욱 확대되면서 이야기의 중심은 더욱 다원화된다. 그러면서 민족주의·공산주의·무정부주의 등 독립운동의 여러 노선이 제시되는가 하면, 지식인들의 사상적 경향과 등장인물을 통해 일제에 대한 면밀한 분석도 시도된다. 길상의 출옥과 군자금 강탈사건, 윤인실과 오가다의 사랑이 중요한 서사적 의미를 지닌다.

제5부의 시간적 배경은 1940년부터 1945년 8·15광복까지인데, 〈토지〉의 대단원을 맺는 부분이다. 송관수의 죽음, 길상을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 단체의 해체, 길상의 관음탱화 완성, 오가다와 유인실의 해후, 태평양전쟁의 발발, 예비 검속에 의한 길상의 구속 등이 이어지면서 〈토지〉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특히 5부에서는 광복의 날을 기다리는 민족의 삶들이 펼쳐지는데, 양현과 영광, 윤국의 어긋난 사랑이 중요한 갈등을 이룬다.

이처럼 〈토지〉는 최씨 일가의 3대에 걸친 파란만장한 삶을 중심으로 그들의 삶이 이루어놓은 사회적 공간에 따라 당대 사회의 변모가 충실히 그려져 있다. 또한 서희와 조준구의 원한관계, 월선과 용이의 한(恨) 많고 영원한 사랑, 김환의 죽음 등 소설에 등장하는 많은 사람들의 삶의 양상 또한 폭넓게 형상화되어 작품의 대강을 형성하고 있다.

〔해석 및 평가〕

〈토지〉에 대한 작품 분석은 26년이란 오랜 집필 기간 속에서 부분적으로 실시되었는바, 전 5부가 완간되어 총체적인 분석이 가능해졌다. 작자 자신도 언급했듯이 〈토지〉는 여느 역사소설과 그 성격이 크게 다르다. 이것은 작자의 전반적인 소설세계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아야 할 문제이다. 박경리 소설은 인간삶의 역사적 배경과 현실에 궁극적 관심을 두는 게 아니라 이 문제들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인간 삶의 근원적인 면에 대해 탐구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박경리는 인간의 보편성에 대한 근원적 탐구를 소설화했다. 특히 작자는 〈토지〉에서 간난(艱難)한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한(恨)과 강인한 생명력에 대해 서사적 관심을 갖는다. 한이 깊은 자신의 삶을 사랑의 차원으로까지 아름답게 승화시킨 송관수나 주갑이·조병수 등은 박경리가 창조한 대표적 인물이고, 이 소설이 보여주는 인간 탐구 내용의 핵심이다.

작자에 따르면 한은 특정한 사람에게만 있는 정서가 아니라 인간이 유한한 존재라는 근원적 모순에서 생겨난 것이다. 따라서 한은 인간의 유한성으로 인해 일어나는 슬픔이기도 하지만, 모순을 극복하려는 동기와 염원, 희구를 낳는다는 점에서 미래지향적 성격을 지닌다. 영원한 것은 추구하기 위해, 혹은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인간이 풀어야 할 과제가 된다. 그러므로 이 한을 어떻게 승화시키는가 하는 문제는 작자에게 본질적 물음인 셈이다.

여기서 작자는 한을 지니게 되는 다양한 사건들을 제시하고 그들이 한을 간직한 채 어떻게 살아가며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해 천착한다. 〈토지〉의 인물 대부분이 이 한을 간직하고 살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한의 사상’은 작품의 핵심 중 하나이다. 곧, 작자는 한의 문제를 생명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로 형상화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인간탐구를 통해 〈토지〉는 인간의 보편적 본질에 대한 이해를 깊게 도모하는가 하면, 새로운 시대에 인류가 성취할 삶의 방식에 대한 전망을 보여 준다.

한편, 작자는 ‘한의 사상’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생명사상’을 형상화한다. 그리하여 작자는 생명을 억압하는 모든 물질적 힘을 부정할 뿐만 아니라, 그 생명들이 균형과 긴장을 이루는 속에서 자신의 가치를 발양할 수 있도록 하는 사랑을 주제화한다. 작자는 이 생명사상을 소설 속 인물들의 사랑을 통해서 형상화해 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토지〉에 나타나는 사상은 ‘생명사상’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작자는 이 ‘생명사상’을 통해 한민족(韓民族)의 세계관이 지닌 인류보편적 가치를 선양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을 삭이고 사랑으로 승화시켜 창조적으로 변용하는 인간을 그리는 것은 실제로 한민족에게 있었던 인간의 모습이며, 있어야 할 인간의 모습을 작자는 창조한 것이다.

그것은 모든 생명들이 자신을 창조성의 존재로 고양시키는 세계에의 기대이며 참다운 생명에의 희망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생명사상에 대한 형상화는 작품에서 관음보살상을 조성하는 일을 초반부터 예시하고 마지막에 이르러서 길상으로 하여금 실제 작업을 완수하도록 하는 데서 여실히 알 수 있다. 이로써 작자가 〈토지〉를 지은 것은 길상이 관음보살상을 그리는 것과 동일한 작업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작품에 그려진 인물들의 모습은 바로 그 큰 자애의 마음에서 창조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김두수나 조준구 같은 부정적 인물들, 정석이나 송관수 같은 험난한 인생 역정을 살아가는 인물들, 몽치나 모화처럼 강인한 생명력을 그리는 데 있어 작자는 자애의 마음으로써 형상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절대자에 대한 무조건적 헌신이나 복종보다도 개개 생명에 대한 큰 자애심을 강조하는 동양적 세계관이 이 작품의 심층에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토지〉가 한국소설사에서 갖는 소설사적 위상은 크다. 하지만 〈토지〉는 여러 논자들에 의해 한계가 언급되고 있다. 그것은 근대전환기의 역사 현실, 즉 봉건사회의 해체와 근대사회로의 이행을 토지와의 관련 속에서는 살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사회를 개혁하려는 제반 운동과 지향의 기본동력을 산출해 낸 봉건적 토지 소유관계의 모순과 그 모순의 발현양상에 대해서는 작자가 심도 있는 형상화를 하고 있지 못하다.

이처럼 토지와의 관련을 고려하지 않을 때, 신분질서의 해체는 단순한 현상에 불과할 뿐이지 역사 전개의 본질을 담아내는 데까지 미치지 못한 문제점을 낳는다. 자칫하면 근대전환기라는 서사적 배경이 소재주의로 전락되기 십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토지〉는 앞서 언급한 바처럼 ‘한의 사상’과 ‘생명사상’을 근간으로 한 인간의 본원적 진실을 탐구하고, 언어예술로서의 사투리와 속담·격언 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한국어가 지닌 미적 특질을 최대한으로 살림으로써 한국소설사에서 역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소설사(김윤식·정호웅, 예하, 1993), ‘토지’를 읽는다(최유찬, 솔, 1996), ‘토지’와 박경리 문학(한국문학연구회 편, 솔, 1996).(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해와 감상2

 박경리(朴景利)의 장편 대하소설. 1969년 집필을 시작, 94년까지 제 5 부작 총 16권으로 완성되었다. 내용은 최씨 일가 3대에 걸친 가족사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제 1 대는 하동(河東) 평사리의 대지주 가문인 최참판댁 <윤씨부인>을 중심으로 조선말 사회적 전환기에 몰락하는 집안의 모습이 가문의 출생비밀과 얽혀 전개된다. 제 2 대는 윤씨부인의 손녀 <서희>를 중심으로 국권피탈 이후 간도(間島)에 이주하여 재산을 되찾고 가문을 일으키려는 그녀의 노력과 당시 간도의 독립운동·한인사회의 모습이 최씨 일가를 중심으로 폭넓게 묘사되고 있다. 제 3 대는 서희의 아들세대인 식민지 지식인층이며 3·1운동 이후 식민지화와 자본주의화가 함께 진행되는 서울 등의 도시에서 그들이 겪는 개인적·역사적 삶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작품은 조선말에서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큰 변혁기의 한국 근대사 속에서 다양한 인물들이 겪는 운명과 고난, 민족의 한(恨), 역사의 상관성을 깊이있게 부각시켜 1970년대 이후 한국의 대표적 장편 대하소설로 꼽히고 있다.(출처 : 파스칼세계대백과사전)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164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306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890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809
63 Salome [3] 2008.06.07 이건일*68 2008.06.07 9689
62 “Ed Park의 Personal Days를 읽고” - 강창욱 (61) [1] 2008.06.07 강창욱*61 2008.06.07 7201
61 브람스 현악 6중주 1번 2악장 과 '연인들' file 2008.07.10 이건일*68 2008.07.10 10803
60 "데브다스" (내 친구교수의 글) [2] 2009.09.07 유석희*72 2009.09.07 8552
59 "How doctors Think," A must read [5] 2009.11.29 이한중*65 2009.11.29 3743
58 "부처를 쏴라" (내 친구교수의 글) [12] 2009.12.08 유석희*72 2009.12.08 7551
57 The Two Books I Recommend [4] 2010.01.05 이한중*65 2010.01.05 7846
56 『나무열전』(내 친구교수의 글) [6] 2010.01.08 유석희*72 2010.01.08 7820
55 "백경" (Moby Dick)을 읽고 (내 동기 김영준*72 의 글) [7] 2010.01.22 유석희*72 2010.01.22 7672
54 Hello Dr. Seo [11] 2010.07.10 문광재*68 2010.07.10 7076
53 The War in KOREA, 1981 [7] 2010.07.31 한원민*65 2010.07.31 8549
52 KOREA: The Untold story of the War. 1982 [9] 2010.08.08 한원민*65 2010.08.08 7661
51 [re] 박경리 - 토지 1 (정리단계, 작업 중입니다) 2010.10.20 운영자 2010.10.20 7139
50 [re] 박경리 - 토지 4 (정리단계, 작업 중입니다) 2010.10.20 운영자 2010.10.20 6279
» [re] 박경리 - 토지 3 (정리단계, 작업 중입니다) 2010.10.20 운영자 2010.10.20 7398
48 박경리 - 토지 2 (정리단계, 작업 중입니다) [1] 2010.10.20 운영자 2010.10.20 5398
47 [Book] A Bird and Its Albatross: A Tale of Renewal [1] 2010.12.24 운영자 2010.12.24 16220
46 [Book Review] "Cutting For Stone" / Abraham Verghese [6] 2011.01.09 이한중*65 2011.01.09 3164
45 [Book Review] Destiny of A Running Horse [1] 2011.05.21 운영자 2011.05.21 67943
44 [Book 연재] "사선을 넘어서" by 김익창*56 #2 [4] 2011.12.21 운영자 2011.12.21 4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