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Medical Column

고혈압의 치료



난치성 고혈압에는 저염식이요법과 Aldosterone 억제제
Spirolactone (Aldactone) 이 효과적이다.

“많은 고혈압 환자들이 고혈압약을 3가지 이상 복용하지만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환자에서 저염식과 Spirolactone이 매우 효과적이다.”

저항성 고혈압의 정의는 이뇨제를 포함한 3가지의 고혈압 치료제를 충분히 복용하는데도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인것이다. 많은 국제적 고혈압 연구에서 난치성 고혈압은 20%~30%의 환자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개원가에서는 더 많은 환자가 치료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난치성 고혈압은 다음과 같은 환자에서 잘 발생한다고 보고된다.

1) 75세 이상의 고령

2) 비만

3)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많다.

4) 흑인

5) 소금의 과대섭취

6) 치료 전 혈압이 180/110mmHg 이상

2차적 고혈압에서도 저항성 고혈압이 더 많이 발생한다.

1) primary, hyperaldosteronism

2) 동맥경화성 신동맥질환

3) sleep apnea

4) 만성신질환(CKD)

5) pheochromocytoma, coarctation, cushing's Disease

약물복용도 저항성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1) 피임약

2) NSAIDS

3) 감기약(decongestant)

4) cydosporin

5) steroids

난치성고혈압의 치료

난치성고혈압 치료에 대한 연구는 극소수이다. 2003년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3가지 이상의 고혈압 치료제를 충분히(full dose) 사용하는데도 혈압이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aldosterone 억제제인 spirolactone (1일 25mg-50mg)이 매우 효과적이다. 미국 Alabama 대학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Am J Hypertens. 2003 ; 16 : 925-930).

Fig 1. 난치성 고혈압에서 spirolactone의 혈압강화 효과

24시간 소변 aldosterone을 검사한 결과는 이것이 증가한 사람과 하지 않은 사람 모두에서 혈압이 동등하게 내려갔다. 즉 primary hyperaldosteronism 이 없는 사람에서도 효과적이였다.

2003년 Hypertension에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Hypertension. 2003 ; 42 : 161-165), primary hyperaldosteronism의 빈도는 혈압이 높을수록 증가하며 stage 1(140-150mmHg / 90-99mmHg)에서 2%, stage 2(160-179mmHg / 100-109mmHg)에서 8%, stage 3(>180 / 110mmHg)에서 13%였다. 그러므로 난치성 고혈압 환자에서는 serum potassium, plasma renin-activity, 24시간 소변 aldosterone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spirolactone은 primary aldosteronism의 유무와 상관없이 효과적이라고 저직하고 있다.

2009년에 발표된 논문(Hypertension 2009 ; 54 : 475)에 의하면 저염식이요법이 난치성 고혈압에 매우 효과적이며 2가지 고혈압약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연구는 12명의 난치성 고혈압 환자에서 2주간의 washout 기간을 두면서 통상적인 나트리움(sodium) 1일 섭취량 5,700mg과 저염식인 1,150mg을 비교하였다. 이것은 소금(salt)으로 계산하면 14.25그람과 2.87그람에 해당한다. 한국인의 평균 소금섭취량은 15-20그람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인간에게 필수적인 소금의 양은 1일 1.25그람(나트리움 500mg)에 불과하다.

이 환자들은 평균 3.4종류의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평균 BMI는 32.9kg/m2, 외래 평균혈압은 145.8/83.9mmHg이었다. 고염분섭취에 비해 저염섭취중 수축기혈압은 22.7mmHg 감소하였으며 이완기혈압은 9.1mmHg 감소하였다. 이 환자들은 모두 hydrochlorthiazide(HCTD)를 복용하고 있었는데 연구자와 editorial의 저자는 ALLHA연구에서 그 효과가 입증된 cholorthalidone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난치성 고혈압 환자는 저염식이요법을 해야하며 CCB, ACE 억제제 또는 ARB, 이뇨제(hydrochlorthiazide 또는 chlorthalidone)를 충분히 사용하는데도 혈압이 목표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Aldactone을 추가해야 할 것이다. Aldosterone은 남성에서 유방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신장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potassium을 증가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Aldosterone을 사용 할 때는 potassium을 측정해야 한다. 그리고 endothelin 억제제도 저항성 고혈압에 유효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Editor's Note: Original Article by 이종구 교수*57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193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348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924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840
583 ♥ 심방세동환자에서 뇌졸중의 예방 [5] 2010.07.05 이종구*57 2010.07.05 7613
582 ♥ 이뇨제: 당뇨병 발생률 증가, 심혈관질환 사망률 감소 [1] 2010.07.07 이종구*57 2010.07.07 8446
581 ♥ 심부전증환자에서 심박동수의 중요성 2010.07.12 이종구*57 2010.07.12 7857
580 ♥ 고혈압치료: 수축기 혈압 140에서 130, 심혈관질환 감소 [5] 2010.07.14 이종구*57 2010.07.14 8535
579 ♥ 만성이완기 심부전증(Diastolic Heart Failure) 진단-치료 2010.07.19 이종구*57 2010.07.19 10406
578 ♥ 고혈압 치료는 발기부전을 유발하는가? [1] 2010.07.21 이종구*57 2010.07.21 8153
577 ♥ 빠른 심박동수는 생명을 단축, 느리면 수명을 연장 2010.07.26 이종구*57 2010.07.26 9048
576 ♥ 80세 이상 노인에서 고혈압을 적극적으로 치료한다 2010.07.28 이종구*57 2010.07.28 8335
575 ♥ 고혈압과 심부전증환자에서 심박동수의 중요성 2010.08.02 이종구*57 2010.08.02 6921
574 ♥ 신장동맥협착증 고혈압, 동맥확장술 없이 치료가능 2010.08.04 이종구*57 2010.08.04 9029
573 ♥ 심박동수는 독립적 위험인자이다 2010.08.16 이종구*57 2010.08.16 7617
» ♥ 난치성 고혈압: 저염食과 Aldosterone 억제제가 효과 2010.08.18 이종구*57 2010.08.18 10066
571 ♥ 생선, Omega-3 지방산은 관상동맥질환을 예방? 2010.08.23 이종구*57 2010.08.23 8855
570 ♥ 신형 혈관확장제(Darusentan)가 난치성 고혈압에 효과적 2010.08.25 이종구*57 2010.08.25 8370
569 ♥ 생선과 Omega-3지방산(EPA, DHA)은 관상동맥질환에서 사망률을 감소 [1] 2010.08.30 이종구*57 2010.08.30 8205
568 Re-evaluation of "Aspirin a day" [2] 2010.10.15 운영자 2010.10.15 3614
567 A Secret For Long Life? [7] 2010.12.31 이한중*65 2010.12.31 5618
566 Facts about omega-3 fatty acids [3] 2010.12.31 이한중*65 2010.12.31 2878
565 Overdiagnosis [2] 2011.04.28 김영철*61 2011.04.28 6783
564 [Medical Column] 1. 관상동맥질환이란 [1] 2011.05.27 이종구*57 2011.05.27 5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