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6 23:32
https://youtu.be/dZ3G2Fkf7U4?si=I3hmeERGCc9K1O0e
예고편 1947 보스톤
서윤복은 1947년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서 우승했다. 그러나 그에게는 대표할 나라가 없었다.
한국사람들은 1945-1948년에 대한민국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 영화는
마라톤을 주재로 했지만 당시의 공식적인 38선 이남의 상황을 정확하게 표현 하고 있다.
한국사람들은 1910-1945년은 일제 강점기라고 하지만 1945-1948년은 미국 강점기라고 하지 않는다.
한국사람들은 일제의 징용, 징병,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일본에게 그 책임을 추궁하지만 여순사건, 4.3 사건
에 대한 미군정의 책임에는 일언반구도 하지 않는다. 그럴만한 뒷배를 키웠는데 도 말이다.
No. | Subject | Date | Author | Last Update | Views |
---|---|---|---|---|---|
Notice |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 2016.07.06 | 운영자 | 2016.11.20 | 16976 |
Notice |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 2016.07.06 | 운영자 | 2018.10.19 | 30444 |
Notice |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 2016.06.28 | 운영자 | 2018.10.19 | 4658 |
Notice | How to Write a Webpage | 2016.06.28 | 운영자 | 2020.12.23 | 42544 |
» | 보스톤 1947(Road to Boston) [1] | 2023.10.26 | 온기철*71 | 2023.10.27 | 38 |
30 | '손흥민 8호골-결승골 작렬' 토트넘, 팰리스 2-1 꺾고 8승 2무 PL 단독 1위 질주... 10G 무패행진-손흥민 풀타임 활약 [2] | 2023.10.27 | 황규정*65 | 2023.10.27 | 393 |
29 | Tracing 100 Years in the Life of Mignon [10] | 2020.04.20 | 정관호*63 | 2023.10.31 | 522 |
28 | 고향초 [6] | 2023.03.11 | 정관호*63 | 2023.11.02 | 83 |
27 | 어느날 서울 관광; 탑골공원, 익선동, 낙원상가, 교동초등학교, 운현궁 [1] | 2023.11.03 | 온기철*71 | 2023.11.03 | 58 |
26 | 東原除夜(동원제야) [7] | 2018.01.05 | 정관호*63 | 2023.11.05 | 140 |
25 | [宋詩]春景(춘경): 봄 경치 [4] | 2018.03.18 | 정관호*63 | 2023.11.07 | 145 |
24 | 李方子妃: 이방자비 [1] | 2023.10.31 | 정관호*63 | 2023.11.08 | 52 |
23 | 폭포 [4] | 2023.09.09 | 노영일*68 | 2023.11.08 | 116 |
22 | 山行: 산행 [1] | 2023.11.07 | 정관호*63 | 2023.11.10 | 40 |
21 | 고 야 | 2023.11.12 | 노영일*68 | 2023.11.13 | 45 |
20 | [唐詩] 春思: 봄날 임 생각 [1] | 2016.08.29 | 정관호*63 | 2023.11.15 | 1073 |
19 | 女真: 여진 [1] | 2023.11.16 | 정관호*63 | 2023.11.16 | 36 |
18 |
How to enter the pedestrian path of George Washington Bridge
[1] ![]() | 2022.09.23 | 정관호*63 | 2023.11.17 | 59 |
17 |
Ode on West Islet
[1] ![]() | 2023.08.24 | 정관호*63 | 2023.11.17 | 19 |
16 |
[잡담] 오얏 이야기
[3] ![]() | 2017.01.18 | 정관호*63 | 2023.11.17 | 172 |
15 | 渤海滅亡: 발해멸망 [3] | 2023.10.11 | 정관호*63 | 2023.11.18 | 58 |
14 | 육이오 동란 이야기 [3] | 2016.07.10 | 정관호*63 | 2023.11.18 | 299 |
13 | [LPGA] 암벽등반하다 팔꿈치 다친 양희영, 4년9개월 만에 우승 [4] | 2023.11.19 | 황규정*65 | 2023.11.20 | 69 |
12 | [唐朝] 漁歌子(어가자): 어부의 노래 [1] | 2017.03.19 | 정관호*63 | 2023.11.21 | 285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2704
대한민국은 지금도 국가 건설중
대한민국 정부수립 75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웬 국가건설이냐고 묻는 분들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국가건설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해방은 우리에게 갑자기 찾아왔다.
1948년 대한민국이라는 신생국이 출범할 때 당시 국민이나 정치지도자들은 국가설계의
준비가 잘 되어있지 않았다. 미군정하 정치적 혼돈과 무질서 속에 제헌국회 선거가
치러졌고, 국가체제와 조직, 헌법이 만들어졌다(본문에서)
한민족은 고구려-고려로 이어지는 중국 대륙 국가와의 패권경쟁을 해왔다.
그러다가 원(몽고)이 80년동안 고려를 지배한 이후 한민족은 대륙과 맏서기를 포기한다.
그 이후 한민족은 대륙 국가와 군신-책봉-조공 관계를 설정하고 명실상부한 자주
독립국가 임을 포기 한다. 덕분에 의지하던 대륙국가가 약해지고 태평양 세력인
일본과 미국이 강해지자 그 쪽에 의지하기 시작했다. 개화파-일제강점-미군정-한미
동맹으로 이어진다.
다행히 미국의 관용으로 세계 5,6위의 국력을 과시하는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되었다.
자주독립국가 경영의 경험이 없는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큰나라에 매달리는 국가경영의
종말이 망국이었음을 망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