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Opinion 古朝鮮:고조선

2024.02.23 05:49

정관호*63 Views:52

 

古朝鮮(고조선)
고조선 영토 지도 및 고조선 멸망이유! : 네이버 블로그

 

 

古朝鮮(고조선): BC 2333?-BC194

 

고조선(古朝鮮, ? ~ 기원전 108년)은 단군왕검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한반도 최초의 고대 국가이다. 본래 국호는 조선(朝鮮)이나 태조 이성계가 건국한 조선과 구별하기 위해 흔히 고조선(古朝鮮)으로 총칭하였다.

 

傳說(전설)

 

그 이야기는, 당시에 굴속에 호랑이 하나와 곰 하나가 사람으로 변하도록 원하였다. 환웅은 그들에게 20쪽 마늘과 한다발의 국화풀을 주고, 말하기를, “그걸 먹은 후 100일간 햇볕을 보지 말아라.”하였다. 호랑이는 들은대로 행할 수없어서, 사람으로 변치 못하였다. 그러나 곰은 21일만에 여인으로 변하였다. 곰여인은 남편을 갖지 못하여서, 한그루의 신단수아래에서 거듭 환웅을 향하여 기도하기를, 한명의 어린아이를 갖기를 바랐다.

 

환웅은 웅녀의 기도에 감동하여, 웅녀를 아내로 삼고, 서오라고 이름지었다. 후에 웅녀는 아이를 낳았으니, 바로 단군왕검이었다. 오로지 현대에 이르러, 민족의식과 애국심을 높이었으니, 단군이 조선를 건국한 전설과 동시에 남북한 역사교과서에 나와있다.

 

고조선(古朝鮮)

고조선(古朝鮮)은 단군왕검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한반도 최초의 고대 국가이다. 본래 국호는 조선(朝鮮)이나 태조 이성계가 건국한 조선과 구별하기 위해 흔히 고조선(古朝鮮)으로 총칭하였다.] 대한민국의 역사학계는 일반적으로 고조선이 청동기 문명을 기반으로 한 현 중국 랴오닝성 및 북한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강원도에 있던 고대 국가라고 파악하고 있다.

문헌상의 기록에 따라 실존했던 국가라는 사실은 분명하지만 관련 기록이 적고 추상적이다. 직접적으로 고조선의 것이라 암시되는 유물·유적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조선의 연대와 강역·역사·문화 등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다.

 

 

국호(國號)

<

 

원래 국호는 조선이지만,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에서는 위만이 찬탈한 위만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고조선이라 지칭했다. 오늘날에는 1392년에 건국된 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고조선이라 지칭하며, 위만조선을 따로 구분하지 않은 채 모두 합쳐 고조선으로 본다.

 

이승휴의 《제왕운기: 帝王韻紀》에(는 고조선의 군주에 따라 둘로 나누어 단군이 다스린 조선을 단군조선(檀君朝鮮)이라했고 이것을 전조선(前朝鮮), 기자(箕子)가 다스린 조선을 기자조선(箕子朝鮮)이라 했으며, 후조선(後朝鮮)으로 구분하여 불렀다. 이런 시각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전조선과 후조선이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었다.

 

조선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존재하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가장 오래된 설로는 《사기집해: 史記集解》에 인용된 장안(張晏)의 견해로 그는 조선이 강의 이름에서 나온 것이라 하였다. 신채호(申采浩)는 조선의 어원이 숙신(肅愼)에서 나온 것이라 하고, 그 원래 명칭이 주신(珠申)이라 주장하였다. 고조선의 초기 도읍인 아사달(阿斯達)을 한역한 것이 조선이라는 견해도 있다. 조선의 글자 뜻을 그대로 해석하여 ‘땅이 동쪽에 있어 아침 해가 선명하다(地在東表 朝日鮮明, 지재동표 조일선명)’라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역사(歷史)

 

건국(建國)

 

고조선의 건국은 일연(一然), 본관은 경주, 속성은 김(金)씨이며 저서 《삼국유사: 三國遺事》에 최초로 등장한다. 한국 고대사에서 정확한 실상을 파악하기란 대단히 어렵다. 김부식의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일연의 《삼국유사》외에는 고대사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단군조선(檀君朝鮮)

《삼국유사: 三國遺事》에는 단군이 요임금[제요도당(帝堯陶唐)] 즉위 50년 경인년에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일연은 요임금이 무진년에 즉위하였으므로 즉위 50년은 정사년이 되므로 정확한 시기가 의심스럽다는 주석을 함께 실었다.《삼국유사》에는 단군이 요임금 즉위 50년 경인년에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동국통감:東國通鑑 》〈외기:外記〉에는 “동방은 애초에 군장이 없었는데 신인이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오니 나라 사람들이 임금으로 모셔 단군이라 하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으니 요임금 무진년이다. 처음엔 평양에 도읍하였고 나중엔 백악으로 옮겼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제왕운기:帝王韻紀 》 역시 건국 연도를 무진년으로 기록하고 있고,

 

《삼국사기: 三國史記》에도 단군의 건국을 다루고 있으나 즉위 연도를 밝히고 있지는 않았다. 국사편찬위원회는 삼국유사를 근거로 단군 조선의 설립을 기원전 2333년으로 보고 있고 현행 대한민국의 국사교과서들 역시 이를 바탕으로 기원전 2333년을 단군 조선의 건국 시점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곳에 내가 문의한 대답을 다음과 같이 실어본다.

어떤 근거로 단국조선 건국연도를 기원전 2333년으로 결정하였는가?

그런데 바로 이 기원전 2333년이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이 연도는 원래 『삼국유사』의 <고조선>에 '고조선 건국 시기는 중국의 요(堯)임금 시기와 같다'는 것을 근거로 요임금 즉위 25년, 즉 무진년으로 보아 기원전 2333년으로 정한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부터 시점을 잡아도 기원전 2000년 무렵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역사서의 건국 시점에 대한 서술이 실재와 부합하는 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2007년 교육부는 최근의 청동기 유물 발굴 결과 《삼국유사》의 건국 기록이 신화가 아니라 역사적 사실과 부합한다고 보고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한다’라는 기술을 ' ~ 건국하였다'로 바꾸기로 한 바 있다.

기원전 2333년이라는 건국 연도는 일연의 《삼국유사》에 의한 것으로 일연 스스로가 주석에 이를 의심하기도 하였다. 현대 사학계에서는 실제 고조선의 건국 연대가 언제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대한민국의 국사 교과서는 고조선의 강역으로 추측되는 랴오닝성 및 한반도의 고고학 발굴 결과를 토대로 기원전 2000년경에서 기원전 1500년경에 청동기 시대가 본격화된다고 서술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박광용은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서 단군을 실제 인물로 가르치기 시작한 것은 1988년 5차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교과서 개편준거안〉 작성 과정에서 비롯되었음을 지적하였다. 1987년 확정된 이 준거안에서는 상고사에 관한 지침으로 단군을 역사적 사실로서 반영토록 하였고, 고조선은 중심지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영역도 바뀌는 이동국가’가 아니라 확정된 넓은 강역을 유지하는 ‘영역국가’로 기술하며 한사군의 존재는 본문에서 다루지 않고 각주로 처리한다는 내용이었다.

당시 이 결정 과정에는 정치권 및 언론계의 압력이 심하게 작용한 것으로 현대적 학문에 입각한 결정이 아니라 전통적 상식에 입각한 결정이었다는 비판이 있다.

 

《삼국유사》에는 단군이 요임금 즉위 50년 경인년에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일연은 요임금은 무진년에 즉위하였으므로 즉위 50년은 정사년이 되므로 정확한 시기가 의심스럽다는 주석을 함께 실었다.

 

《동국통감》〈외기〉에는 “동방은 애초에 군장이 없었는데 신인이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오니 나라 사람들이 임금으로 모셔 단군이라 하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으니 요임금무진년이다.

 

또 한가지 문제는 본인이 중국역사연표(中國歷史年表)를 참조했더니, 역사는 夏朝 約前2070年:大禹建夏。에서 시작되며 그 전에 알려졌던 요(堯)와 순(舜)임금 신화인불로 알려졌으니, 거기에 의거할 연도를 찾기가 쉽지 않다. 여기서 유기백과를 다음에 인용한다.

堯,又叫大堯、帝堯,係中國傳說入面嘅一位君主,五帝之一,由佢阿哥摯傳位畀佢,死前禪讓畀舜。舜就傳畀禹,禹就傳畀啟。요(堯)는 대요, 제요라고도 칭하며, 중국전설에 나오는 일위 군주로서, 5제(五帝)의 1인이며, 이 칭호는 그의 형님으로부터 받았고, 사망전에 순(舜)임금에게 양위하였고, 우왕(禹王) 또한 그것을 받았다. 이리하여 제요(帝堯)의 연도가 확실히 증명되지는 못했다.

 

”처음엔 평양에 도읍하였고 나중엔 백악으로 옮겼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제왕운기: 帝王韻紀》 역시 건국 연도를 무진년으로 기록하고 있고, 《삼국사기: 三國史記》에도 단군의 건국을 다루고 있으나 즉위 연도를 밝히고 있지는 않았다.

국사편찬위원회는 삼국유사를 근거로 단군 조선의 설립을 기원전 2333년으로 보고 있고 현행 대한민국의 국사 교과서들 역시 이를 바탕으로 기원전 2333년을 단군 조선의 건국 시점으로 서술하고 있다. 한편,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부터 시점을 잡아도 기원전 2000년 무렵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역사서의 건국 시점에 대한 서술이 실재와 부합하는 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2007년 교육부는 최근의 청동기 유물 발굴 결과 《삼국유사》의 건국 기록이 신화가 아니라 역사적 사실과 부합한다고 보고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한다’라는 기술을 ' ~ 건국하였다'로 바꾸기로 한 바 있다.

 

고조선의 건국을 다루는 단군 신화는 환웅(桓雄)으로 대표되는 청동기 문명을 가진 외래 세력과 곰으로 대표되는 토착 세력의 결합을 통해 건국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으로는 조선으로 지칭되는 불특정한 소규모 지역 집단의 집합체가 초기 고조선의 사회모습이었다고 보기도 한다. 박광용은 단군 신화가 한국 역사의 귀중한 사료임에는 틀림없으나 고조선의 지배층이 자신들의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단군을 시조신으로 모신 이래 구전되어 오면서 수 많은 변형이 있었던 불확실한 사료로서, 제대로 밝히기 어려운 불확실한 신화적 사실을 섣불리 실재화하거나 신비화 할 경우 역사를 거꾸로 돌리려는 국수주의자 또는 복고주의자를 대량 생산할 위험성이 상존한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문동석은 청동기 시대에 시작된 고조선을 신석기 시대인 기원전 24세기로 올려 잡는 것은 민족의 기원을 올려잡으려는 의도가 드러나 있다고 평가하였다.

 

초기(初期)

고조선은 기원전 7세기의 기록으로 알려진 《管子: 관자》에 제나라와 교역한 사실을 기록함으로써 사서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허나 현대에는 《관자》가 기원전 4세기경에 직하학궁의 학자들에 의해 성립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며, 이에 따라 고조선이 중원에 알려진 시기는 기원전 7세기가 아닌 최소한 기원전 4세기 이전으로 좁혀진다. 또한 춘추전국시대에 성립된 기록인 《산해경: 山海經 》에는 조선이 연나라의 동쪽, 바다의 북쪽에 있다고 나타난다. 이들 기록에 나타난 조선은 대체로 특정한 국가를 지칭한다기보다는 요동지방에서 한반도 서북지방에 걸쳐 성장한 여러 지역 집단을 통칭한 것으로 본다. 당시 이 일대에는 비파형 동검문화를 공동기반으로 하는 여러 지역 집단이 존재하였는데, 이들이 큰 세력으로 통합되면서 고조선이라는 고대 국가가 성립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군신화는 고조선을 통합한 집단의 시조설화로 형성되었던 것이다.

 

기원전 4세기 중반에는 연나라와 관련된 사료인 《전국책》에서 조선이 연나라 동쪽의 유력한 세력으로 언급된다. 적어도 이 무렵에 고조선이 고대 국가로 성장하여 전국 시대 중국의 국가와 대등한 외교 관계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4세기 말에는 연나라와 분쟁이 일어나 고조선 측이 선제 공격을 꾀하였다가 중단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당시 중국은 종주국인 주나라가 쇠퇴하고 각 지의 제후들이 왕을 칭하고 있었는데 연나라가 기원전 323년에 왕을 칭하자 고조선의 군주도 ‘왕’이라 칭했다고 전한다.

 

기원전 3세기경 청천강 이남으로 후퇴한 고조선의 영역. 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 연나라가 세력을 확대하면서 고조선은 연나라의 공격을 받아 광대한 영토를 상실하고 세력이 크게 위축되었다. 사료적 가치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을 받았던 위략에 따르면 연나라의 장수 진개의 침입으로 고조선은 2,000여 리의 땅을 빼앗겼으며, 만번한(滿潘汗)을 경계로 하게 되었고, 연나라가 고조선으로부터 빼앗은 지역에는 요동군(遼東郡)이 설치되었고 장성도 쌓았다고 한다. 이때 고조선이 상실하였다는 지역은 랴오닝성 일대로 보이며,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의 역사학계에서는 이 패배로 고조선이 요동 지방을 상실하였다고 본다.

 

기원전 221년에 진(秦)이 중국을 통일하고 기원전 214년에 만리장성을 건설하자 고조선의 부왕(否王)은 진의 침입을 두려워하여 복속하였다. 그러나 직접 조회하는 것은 거부한 것으로 보아 표면적인 복속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부왕의 뒤를 이은 준왕(準王) 시기 진나라에 내란이 발생하고 뒤이어 유방과 항우가 전쟁을 벌이는 등 중국이 혼란에 빠지자 중국 유민들이 대거 고조선으로 이주하였다. 기원전 202년에 중국을 통일한 전한은 연·진 시기의 장성이 멀어서 지키기 어려웠기 때문에 이를 포기하고 요동의 옛 장성을 수리하고 패수(浿水)를 경계로 삼았다고 한다.

 

기자조선(箕子朝鮮)

기자조선은 고조선전설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상서대전》、《사기》、《한서》등 중국고전에 기재되기를, 상말에 귀족 기자는 주왕(紂王)이 무도함에 불만하여, 여러차례 간하였다가 옥에 갇혀서, 후에 조선으로 도주하였다. 《삼국유사》1권에 말하기를, “주호왕이 을묘년에 즉위하고, 기자를 조선에게 봉하여서, 단군은 티벳 수도로 떠났다.”고 하였다.

기자는 조선반도 역대왕조의 찬양자에 의하여 높이 평가되었다. 그러나 기자조선내용에 관하여 문헌속에 모순이 있으니, 고고학적 발견이 없고, 남북한의 민족주의의 원인을 추가하여, 기자조선의 기록은 남북한주류의 부정을 받았다. 어떤 사람들은 기자조선은 한사군시기에 한인 혹은 후세에 숭배자들이 만들어 낸 이야기라고 한다. 이리하여 기자조선의 존재를 우리나라 학계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

 

중국고전기재에 의거하면, 일찍이 기원전7세기에, 중국이 고조선과 무역왕래를 하였는데, 그중 가장 이름높은 상품이 문피(호피)였다. 동북지역의 아름다움은 바로 척산의 호피(호랑이 가죽)이었다고 만했다.

그중 제국의 척산은 현재 산동성석도시에 위치하였는데, 당시 고조선 호피의 집산지였다. 《삼국지》에 의거하여, 《위략》기록을 인용하면, 기원전 4세기경 고조선 군대는 가히 당시 중국연국과 대치할만하여서, 일찍이 군대를 일으켜 연나라를 공격하였고, 후에 쌍방은 외교를 통하여 화패하였다.

 

《후한서》115권에 기재하기를, 기원전 218년 “설군남려와 우거 연변에서 28만군을 요동내부로 갔다”, 이는 고조선내부 후국과 중앙통치의 모순을 의미한다. 기원전 3세기초에 고조선은 연국의 공격을 받았다. 《삼국지위지》권30에 기재하기를 “연은 장군진개를 보내어 서방을 공격하여서 2000여리의 땅을 가졌고, 만번한에 이르러 경계를 만들었고, 조선은 약해졌다.”

 

위만조선(衛滿朝鮮): BC 194-BC 108

기원전 195년에 한나라가 연나라 지역에 임명한 노관이 흉노로 망명한 사건이 일어나자, 연나라 지역은 큰 혼란에 휩싸이고 그곳에 살던 많은 사람들이 고조선 지역으로 망명하였다. 위만은 이들 무리 1,000여 명을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왔는데, 상투를 틀고 고조선의 복색을 하였다고 한다. 준왕은 위만을 신임하여 박사(博士)라는 관직을 주고 서쪽 1백리 땅을 통치하게 하는 한편, 변방의 수비 임무를 맡겼다. 그러나 위만은 기원전 194년 중국 군대가 침입하여 온다는 구실을 허위로 내세우고, 수도인 왕검성에 입성하여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

 

이때부터 일반적으로 위만조선이라고 부른다. 조선을 이어받은 위만의 출신에 대하여 여러 주장이 있는데, 과거 연나라가 정복한 고조선 지역의 주민, 즉 고조선 출신이라는 주장과 연나라 출신의 유력자라는 주장이 있다. 일제강점기 때는 위만의 출신을 연나라(중국)이며 이를 중국의 식민 지배라 주장하였고 광복 후 일부 학자들은 위만을 고조선의 유민이라 주장하기도 하였으나, 현재 대한민국의 학계에서는 위만이 고조선의 국호와 국체를 그대로 유지했다는 사실을 들어 위만의 출신이 어디이든 관계가 없다고 본다.

 

위만은 유이민 집단과 토착세력을 함께 지배체제에 참여시켜 양측간의 갈등을 줄이고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였다(위만은 중국에서 철을 가져와 고조선에 널리 전파했다) 중국 문물(대표적인 문물 '철')을 적극 수용하여 군사력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변의 진번(眞番)·임둔(臨屯) 등의 세력을 복속시켰다. 위만의 손자 우거왕(右渠王) 때는 남쪽의 진국(辰國)을 비롯한 여러 나라가 한나라에 조공하는 것을 막고 중계무역의 이익을 독점하였다. 이에 불만을 느낀 예군(濊君) 남려(南閭) 세력은 한에 투항하였다.기원전 195년에 한나라가 연나라 지역에 임명한 노관이 흉노로 망명한 사건이 일어나자, 연나라 지역은 큰 혼란에 휩싸이고 그곳에 살던 많은 사람들이 고조선 지역으로 망명하였다.

 

위만은 이들 무리 1,000여 명을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왔는데, 상투를 틀고 고조선의 복색을 하였다고 한다. 준왕은 위만을 신임하여 박사(博士)라는 관직을 주고 서쪽 1백리 땅을 통치하게 하는 한편, 변방의 수비 임무를 맡겼다. 그러나 위만은 기원전 194년 중국 군대가 침입하여 온다는 구실을 허위로 내세우고, 수도인 왕검성에 입성하여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 이때부터 일반적으로 위만조선이라고 부른다.

 

조선을 이어받은 위만의 출신에 대하여 여러 주장이 있는데, 과거 연나라가 정복한 고조선 지역의 주민, 즉 고조선 출신이라는 주장과 연나라 출신의 유력자라는 주장이 있다. 일제강점기 때는 위만의 출신을 연나라(중국)이며 이를 중국의 식민 지배라 주장하였고 광복 후 일부 학자들은 위만을 고조선의 유민이라 주장하기도 하였으나, 현재 대한민국의 학계에서는 위만이 고조선의 국호와 국체를 그대로 유지했다는 사실을 들어 위만의 출신이 어디이든 관계가 없다고 본다.

 

위만은 유이민 집단과 토착세력을 함께 지배체제에 참여시켜 양측간의 갈등을 줄이고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였다(위만은 중국에서 철을 가져와 고조선에 널리 전파했다) 중국 문물(대표적인 문물 '철')을 적극 수용하여 군사력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변의 진번(眞番)·임둔(臨屯) 등의 세력을 복속시켰다. 위만의 손자 우거왕(右渠王) 때는 남쪽의 진국(辰國)을 비롯한 여러 나라가 한나라에 조공하는 것을 막고 중계무역의 이익을 독점하였다. 이에 불만을 느낀 예군(濊君) 남려(南閭) 세력은 한에 투항하였다.

 

이즈음 한나라는 동방진출을 본격화하였는데, 그것은 위만조선과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양측은 긴장관계를 해소하기 위해서 외교적 절충을 벌였지만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기원전 109년, 한무제는 누선장군 양복과 순체 등에게 명하여 육군 5만과 수군 7천을 이끌고 각각 위만조선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위산을 사신으로 보내 다시 외교적 절충을 시도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결국 전쟁이 재개되었는데, 싸움이 장기화되면서 조선 지배층 내부가 분열·이탈되었다. 조선상 역계경(歷谿卿)은 화친을 건의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자신의 무리 2000여 호를 이끌고 진국으로 갔다. 또한 조선상 노인(朝鮮相 路人), 상(相) 한음(韓陰), 이계상 삼(尼谿相參), 장군(將軍) 왕겹(王唊) 등은 왕검성에서 나와 항복하였다. 이러한 내분의 와중에서 우거왕이 살해되고 왕자 장(長)까지 한군에 투항하였다. 대신(大臣) 성기(成己)가 성안의 사람들을 독려하면서 끝까지 항전하였으나, 기원전 108년에 왕검성이 함락되어 고조선은 멸망하였다.

 

한사군(漢四郡): BC 108년 ~ AD 314년)

한나라는 고조선의 영역에 낙랑군(樂浪郡)·임둔군(臨屯郡)·현도군(玄菟郡)·진번군(眞番郡)의 한사군(漢四郡)을 설치하였고 많은 고조선인들이 남쪽으로 이주하였다.

우리 나라에 처음으로 철기가 도입된 시기에 관하여 북한에서는 기원전 8∼7세기에 이미 철기시대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문점이 많아서 지지 받기 어렵다. 남한에서는 대체로 위만조선 이전에 철기가 도입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철은 기원전 8∼7세기에 이미 압록강과 두만강유역에서 생산되었으며, 연철 단계는 기원전 8∼7세기, 고온환원법의 발전된 방법은 기원전 3∼2세기에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燕에서 전파된 발전된 방법 이전에 독자적인 제철기술이 함경도지방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위만조선 시기 고조선 지역에서 철기가 한층 더 보급된것은 사실이며, 기원전 3∼2세기에 보급이 시작되어 사회 전반적인 철제 농기구와 무기가 제작되는 등 철기문화가 사회의 발전 및 생산력의 증가를 가져왔다. 청천강 이북지역에 명도전이 본격적으로 보급된 이후에는 세형동검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대체로 4세기경으로 보여진다.

 

이에 따라 농업과 수공업이 더욱 발전하였고, 대외교역도 확대되어 나갔다. 이를 바탕으로 강력한 정치적 통합을 추진하였지만, 기본적으로 여러 세력의 연합적 성격을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각 지배집단은 여전히 독자적인 세력기반을 보유하고 있었고, 고조선 정권의 구심력이 약화되면 언제든지 중앙정권으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고조선 말기 지배층의 분열도 그러한 성격에 말미암은 바가 컸다.

 

이즈음 한나라는 동방진출을 본격화하였는데, 그것은 위만조선과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양측은 긴장관계를 해소하기 위해서 외교적 절충을 벌였지만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기원전 109년, 한무제는 누선장군 양복과 순체 등에게 명하여 육군 5만과 수군 7천을 이끌고 각각 위만조선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위산을 사신으로 보내 다시 외교적 절충을 시도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결국 전쟁이 재개되었는데, 싸움이 장기화되면서 조선 지배층 내부가 분열·이탈되었다. 조선상 역계경(歷谿卿)은 화친을 건의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자신의 무리 2000여 호를 이끌고 진국으로 갔다. 또한 조선상 노인(朝鮮相 路人), 상(相) 한음(韓陰), 이계상 삼(尼谿相參), 장군(將軍) 왕겹(王唊) 등은 왕검성에서 나와 항복하였다. 이러한 내분의 와중에서 우거왕이 살해되고 왕자 장(長)까지 한군에 투항하였다. 대신(大臣) 성기(成己)가 성안의 사람들을 독려하면서 끝까지 항전하였으나, 기원전 108년에 왕검성이 함락되어 고조선은 멸망하였다. 한나라는 고조선의 영역에 낙랑군(樂浪郡)·임둔군(臨屯郡)·현도군(玄菟郡)·진번군(眞番郡)의 한사군(漢四郡)을 설치하였고 많은 고조선인들이 남쪽으로 이주하였다.

 

우리 나라에 처음으로 철기가 도입된 시기에 관하여 북한에서는 기원전 8∼7세기에 이미 철기시대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문점이 많아서 지지 받기 어렵다. 남한에서는 대체로 위만조선 이전에 철기가 도입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철은 기원전 8∼7세기에 이미 압록강과 두만강유역에서 생산되었으며, 연철 단계는 기원전 8∼7세기, 고온환원법의 발전된 방법은 기원전 3∼2세기에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燕에서 전파된 발전된 방법 이전에 독자적인 제철기술이 함경도지방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위만조선 시기 고조선 지역에서 철기가 한층 더 보급된것은 사실이며, 기원전 3∼2세기에 보급이 시작되어 사회 전반적인 철제 농기구와 무기가 제작되는 등 철기문화가 사회의 발전 및 생산력의 증가를 가져왔다. 청천강 이북지역에 명도전이 본격적으로 보급된 이후에는 세형동검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대체로 4세기경으로 보여진다.

이에 따라 농업과 수공업이 더욱 발전하였고, 대외교역도 확대되어 나갔다.

 

이를 바탕으로 강력한 정치적 통합을 추진하였지만, 기본적으로 여러 세력의 연합적 성격을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각 지배집단은 여전히 독자적인 세력기반을 보유하고 있었고, 고조선 정권의 구심력이 약화되면 언제든지 중앙정권으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고조선 말기 지배층의 분열도 그러한 성격에 말미암은 바가 컸다.

 

도읍지(都邑地)

고조선의 도읍지는 여러 차례 이동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는 《고기》를 인용하여, 단군왕검이 처음에는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였으나 이후 백악산아사달로 옮겨서 1천 5백 년간 나라를 다스렸으며, 이후 주나라 때 기자가 조선왕에 책봉되자, 단군은 장당경으로 옮겼다가 뒤에 아사달로 돌아왔다고 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0년대 이전까지 고조선의 도읍지를 랴오닝성이라 주장하였으나, 주체사상의 강화 이후에는 오늘날의 평양시가 고조선의 도읍지라고 주장하면서 단군릉이 평양시에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사학의 입장 변화는 정치적 영향에 따른 것이라 비판된다.[1] 한편 윤내현은 고조선의 도읍지 이동이 총 5차례라고 주장하며 그 위치를 모두 비정하는 연구를 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역사학계에서 지배적인 학설인 중심지 이동설에 따르면 고조선은 초기에 랴오둥반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다가 기원전 3세기 무렵 연나라의 침입을 받아 영토를 대거 상실하고 평양 일대로 중심지가 이동하였다고 한다. 고조선의 마지막 왕조인 위만조선의 도읍지인 왕검성은 오늘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양시에 있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며, 중국의 랴오닝성 지역에 있었다는 소수설도 있다. 기원전 108년 전한 무제의 공격을 받아 왕검성이 함락됨으로써 고조선이 멸망했다. 왕검성이 있던 곳에는 낙랑군이 설치되어 이후 수세기 동안 중국과 한반도의 중계무역 기지의 역할을 했다.

 

정치(政治)

위만조선의 관명(官名)으로는 박사(博士)·대부(大夫)·상(相)·대신(大臣)·장군(將軍)·비왕(裨王) 등이 보인다. 이들 관직 모두의 구체적인 성격은 분명하지 않다.

그런데 이러한 관직을 갖고 있으면서 독자적인 세력 기반을 지닌 자들이 있었다. 한나라에 대한 외교 정책에서 왕과 의견이 맞지 않자 휘하의 2천 호를 이끌고 한반도 남부지역으로 이탈해 간 조선상(朝鮮相) 역계경(歷谿卿) 같은 이가 그런 예이다. 한나라와 전쟁 중 전선을 이탈하여 수도가 함락되는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한 이계상(尼谿相) 삼(參) 등 세 명의 ‘상(相)’도 그러한 이들로 추측되는데, 상은 일정한 세력 집단의 대표로서 중앙정부에 참여한 이들이 지닌 관직의 이름으로 여겨진다. 당시 위만조선에는 여러 명의 상이 있었는데, 이름으로 보아 다수가 고조선 인이었다. 상의 휘하에 있던 집단에 대해선 왕실의 통제력이 어느 정도 미쳤겠지만, 적어도 각 집단 내부의 일은 자치적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역계경 등의 집단적인 이탈행위가 가능했다는 점이 바로 이를 말해준다.

 

왕도 기본적으로는 그러한 집단들 중에서 가장 큰 집단의 장이었고, 위만조선 왕실의 경우 그 직할 집단이었던 것이다. 국가의 주요 결정은 이들 상들이 참가한 회의체에서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자연 왕권은 강력하지 못하였고, 중국식 제도에서 비롯된 관직명이 부분적으로 보이지만 관료 조직은 발달하지 않았으며, 정치 조직의 기본적인 틀은 자치집단들의 연맹체와 같은 것이었다.

유력한 수장 휘하에서는 촌락이 여러 개 귀속되어 있었다. 단 수장이 사적으로 지닌 우월한 경제적·군사적 힘이 이들 촌락을 규합하는 데 일정한 작용을 하였다는 점에서, 수장은 이미 지배계급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들 유력한 수장들을 통합하여 성립한 것이 위만조선이며, 위만조선의 왕권하에서 수장들은 ‘상’으로 상당한 자치권을 지닌 세력 집단을 대표하였다. 고조선의 중심을 이룬 이들 집단의 외곽에는 피복속 촌락 공동체들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삼국 초기의 정치 구조와 연관성을 지닌다.

 

단군왕검(檀君王儉)

단군왕검은 고조선 사회의 제주이자 군장으로, 단군은 대제사장적인 성격을 많이 담고 있으며 왕검은 국가를 통치하는 대군주의 의미를 띠고 있다고 해석한다. 즉 제정일치의 지도자이다.[2] 방언의 분포와 비교언어학적으로 살펴볼 때에도 제사장과 정치적 지도자를 함께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단군신화(檀君神話)

단군 신화는 《삼국유사》에 기록된 내용이 가장 오래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도 《단군고기》가 인용되었다. 《삼국유사》의 설명은 《고기》(古記)에 기록된 단군의 건국과 전해 내려오는 내용을 근거로 하고 있으나, 《고기》의 원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단군신화의 내용은, 환인의 서자인 환웅이 하늘에서 내려와 세상에 거하였으며, 그 아들인 단군이 요임금과 같은 시기에 나라를 세웠다는 것이다..

 

왕권의 정통성과 국가의 존엄성을 수식하려는 당시 사람들의 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고조선의 왕은 매년 그의 조상신인 천신께 제사를 지냈을 것이다. 그때 베풀어진 의식은 단군 신화의 내용을 재현하는 형태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제의에 고조선을 구성하던 모든 집단의 장들이 참여해 정치적 통합을 강화하고 결속력을 높였을 것이다. 곧 단군 신화는 고조선 당대의 정치 이데올로기였고, 그 제의는 정치적 집회의 기능을 지닌 것이었다.

 

해당시대국가(該當時代國家): The country of the time

부여(夫餘):동부여, 북부여: 東夫餘, 北 夫餘)

고구려(高句麗)

사로국(駟盧國)

옥저(沃沮)(동옥저, 북옥저: 東沃沮, 北沃沮)

동예(東濊)

삼한(三韓) 진한, 변한, 마한)

십제(十濟): 백제(百濟)의 전신

 

참성단(塹星壇)

참성단(塹星壇)은 오늘날 인천광역시 강화군 마니산 꼭대기에 있으며, 단군왕검이 쌓았다고 전해지지만 확실하지 않다. 마니산에 참성단을 쌓아 하늘에 제사를 지내게 된 것은 강화의 생김새가 천하의 요새이기 때문이며, 예로부터 마이(摩利)·혈구(穴口) 등은 하늘과 인연이 깊다고 전해온다. 또 개국신화의 등장인물인 우사(雨師)와 운사(雲師)도 마니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전해진다.

 

사회(社會)및 문화(文化)

당시 고조선 사회는 이미 상당한 정도로

계급 분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8조의 법금(法禁) 중 현재 전해지는 3개 조항에서, 화폐 개념과 노비의 존재, 그리고 사유 재산에 대한 보호 조치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 지배층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화려한 부장품들은 계급 분화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러나 촌락에선 공동체적 관계가 여전히 작용하고 있었다.

 

이 시기의 사회 계층은 귀족, 촌락의 일반민, 노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귀족은 노예와 토지·재화 등 자신의 경제적 기반을 따로 가지면서 촌락 공동체를 대표하는 수장(首長)의 면모도 함께 지니고 있었다. 노비는 상당수 존재하였으나, 많은 수의 노비를 사역하는 대규모 노예경영은 발달하지 않았다. 노예제 경영이 발달한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화폐 경제의 발달, 도시의 번창과 같은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다.

 

당시 사회에서 기본적인 생산 활동을 담당한 이들은 촌락의 일반민이었다. 이들은 당시 농업이 지닌 낮은 생산력과, 가뭄이나 홍수 등에 따른 생산의 불안정성 및 철제 농기구의 부족 등으로 인해 소농(小農) 단위의 자립성을 유지할 수 없었으며, 촌락 단위로 상호 의존하여 생산과 소비생활을 하는 공동체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

 

MAPS

 

고조선: BC 2333-BC 194

고조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BC.21세기 ~ BC.16세기

청동기 문화를 기반으로 세워진 고조선 : 네이버 블로그

 

위만조선(衛滿朝鮮)의 등장(登場)과 멸망: BC 194-BC 108

위만조선의 등장과 멸망

 

한사군(漢四郡): BC 108년 ~ AD 314년)

undefined

 

Kwan Ho Chung - Feb 23, 2024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166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2308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5891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3813
8842 훈민정음의 비밀 [3] update 2024.04.25 운영자 2024.04.26 12
8841 부산정치파동과 미국의 이승만 제거계획 2024.04.25 온기철*71 2024.04.25 7
8840 코너킥으로 웃었다... 황선홍호, 일본 제압하고 8강으로 [5] 2024.04.22 황규정*65 2024.04.25 26
8839 [시조]懷古歌: 회고가 [1] 2024.04.21 정관호*63 2024.04.21 8
8838 부산형무소 살해사건 2024.04.20 온기철*71 2024.04.20 15
8837 육군 방첩대. 미군 CIC, 그리고 김창룡 2024.04.17 온기철*71 2024.04.25 19
8836 김구의 일생과 암살의 원인 2024.04.14 온기철*71 2024.04.25 18
8835 OPERA MIGNON: Connais tu le pays [1] 2024.04.12 정관호*63 2024.04.12 24
8834 “쏘니,너와 함께 뛴건 행운!”, 400경기 감동 축하영상 [5] 2024.04.06 황규정*65 2024.04.22 31
8833 길에서 만난 한식 [1] 2024.04.03 정관호*63 2024.04.09 30
8832 돌아오는 기러기 [1] file 2024.03.27 정관호*63 2024.04.18 43
8831 이강인-손흥민 ‘골 합작’ 한국, 태국 3-0 완승…월드컵 최종 예선 진출 성큼 [2] 2024.03.26 황규정*65 2024.03.27 42
8830 1945년 8월 15일 오후 강릉 홍제정 안마을에서 [2] 2024.03.19 정관호*63 2024.03.24 75
8829 이승만은 왜 김구를 제거 했을까? [1] 2024.03.17 온기철*71 2024.03.18 51
8828 My Grandson [1] 2024.03.15 노영일*68 2024.03.18 105
8827 蜀相(촉상): 촉한 승상 제갈량 [1] 2024.03.15 정관호*63 2024.04.12 58
8826 1945년 8월15일에는 서울에 아무일도 없었다. [1] 2024.03.13 온기철*71 2024.03.14 52
8825 왕소군 고향에서 [1] 2024.03.08 정관호*63 2024.03.20 56
8824 정약용; 늙어가면 친구가 점점 없어진다. [5] 2024.03.06 온기철*71 2024.03.08 85
8823 Trump is OK to be a candidate. 2024.03.04 온기철*71 2024.03.17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