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nglish
                 
 
<上山采蘼芜,下山逢故夫”:弃妇遇到故夫,谁比谁更可怜可叹?_新人>
  上山采蘼蕪 失名
상산채미무 실명
上山采蘼蕪 失名

上山采蘼蕪,下山逢故夫。
상산채미무요, 하산봉고부를.

長跪問故夫,新人復何如?
장궤문고부하니, 신인부하여오?

新人雖言好,未若故人姝。
신인수언호나, 미약고인주를.

顏色類相似,手爪不相如。
안색유상하나, 수조불상여를.

新人從門入,故人從閤去。
신인종문입하고, 고인종합거를

新人工織縑,故人工織素。
신인공직겸하고, 고인공직소를.

織縑日一匹,織素五丈余。
직겸일일필하고, 직소오장여를.

將縑來比素,新人不如故。
장겸내비소하니, 신인불여고를.
산에 올라 향초를 캐고 실명인

산에 올라 향초를 캐고,
산을 내려오니 옛 지아비를 만났네.

무릎 꿇고 앉아서 그에게 물어보니,
“새 사람은 어떤가요?”

“새 사람은 괜찮지만,
옛 사람만은 못하다오.

용모는 비슷하지만,
솜씨는 같지 못하오.”

“새 사람은 대문으로 들어오고,
옛 사람은 곁문으로 내보냈어요!”

“(게다가) 새 사람은 거친 베를 짜고,
옛 사람은 곱고 귀한 베를 짰오.

거친 베는 하루에 한필을 짜고,
고운 베는 다섯장을 넘게 짰소.

거친 베를 고운 베와 비교해보니,
(진실로) 새 사람은 옛 사람만 못하다오”
 

注釋譯文(주석역문)

⑴蘼蕪(미무: mi wu):一種香草,葉子風干可以做香料。古人相信蘼蕪可使婦人多子。
⑵長跪(장궤):直身而跪。古時席地而坐,坐時兩膝據地,以臀部著足跟。跪則伸直腰股,以示莊敬
⑶故夫(고부):前夫。
⑷新人(신인):新娶的妻子,對先前的妻子而言。
⑸姝(주):好。不僅指容貌。當“新人從門入”的時候,故人是丈夫憎厭的對像,但新人入門之後,丈夫久而生厭,轉又覺得故人比新人好了。這裡把男子喜新厭舊的心理寫得更深一層。
⑹)顔色(안색):容貌,姿色。
⑺手爪(수조):指紡織等技巧。
⑻閤(합: ge):旁門,小門。新婦從正面大門被迎進來,故妻從旁邊小門被送出去。一榮一辱,一喜一悲,尖銳對照。這兩句是棄婦的話,當故夫對她流露出一些念舊之情的時候,她忍不注重提舊事,訴一訴當時所受委屈。
⑼縑(겸: jiān)、素(소):都是絹。素色潔白,縑色帶黃,素貴縑賤。
⑽匹(필)、丈(장):都是古代度量單位。一匹長四丈,寬二尺二寸。
⑾不如(불여):比不上.

白話譯文

登上山中采蘼蕪,下山偶遇前時夫。
故人長跪問故夫:“你的新妻怎麼樣?”
夫說:“新妻雖不錯,卻比不上你的好。
美貌雖然也相近,紡織技巧差得多。
新人從門娶回家,你從小門離開我。
新人很會織黃絹,你卻能夠織白素。
黃絹日織只一匹,白素五丈更有余。
黃絹白素來相比,我的新人不如你。”
이 백화역문에서는 원문 오언고시를 평이하게 칠언고시체로 바꾸었다.
그런데 나로서 한가지 이의를 제기한다. 원문을 읽을 때 “새 사람은 당당히 대문으로 영접을 받으며 들어오고, 옛 사람인 나는 곁문으로 쫓김을 당했어요.”하였으니, 이 얼마나 깊은 한이 맺힌 말인가? 이 말은 오로지 옛 사람만이 할 수있다. 그런데 이곳 칠언에서는 옛 지아비가 주절대면서 이소리 저소리를 늘어놓고 있다. 그게 아니라고 나는 이의를 거듭 제기하는 바이다.

 
上山采蘼蕪 Youtube - Song


上山采蘼蕪 流行歌[소녀의 노래]- YouTube
 

作品要約
여기서 간단히 내용을 써보겠다.
이 시에서 남편으로부터 쫓겨난 여인이 향초를 캐고 내려오다가 뜻밖에 자신을 쫓은 전남편을 만났다.
만감이 교체하겠지만, 여인은 남자에게 새 아내는 어떤가하고 묻는다. 남자편에서 적지 않게 후회를 했던 모양이다.
하긴 여인은 선량하고 근면한 인물임이 남자의 표현에 나타난다.
얼마나 억울했던 경험이었나?
새 여인이 옛 여인만 훨씬 못하였고, 또 옛 여인은 아무 잘못도 없었음이 발견되었다. 그것을 여인은 남자로 하여금 자백하도록 하였다.

這首詩在藝術構思上頗有獨到之處。作者不是像《國風·邶風·谷風》那樣采用如泣如訴的怨憤之語出之,也不是像《衛風·氓》那樣采用回憶倒敘的方式出之,而是截取了生活中的一個巧遇場面,采用對話的方式來揭示一對離異之後的夫婦的心理狀態和各自的感受,從而鞭撻了喜新厭舊者的靈魂,批判了不合理的封建夫權。詩用敘事之筆開頭:“上山采蘼蕪,下山逢故夫。”從“故夫”一詞,可以知道“采蘼蕪”的主語是棄婦。古人認為佩蘼蕪可以多子。棄婦於此物本無所用,而現在上山采摘,暗示她已經再婚。在她滿載而歸的時候,碰巧遇到了“故夫”。巧遇時的情狀如何,詩中沒有直說。但“長跪問故夫”一語,側面說明“故夫”的臉上頗有幾分慚悔之色。若是怒目相向,則棄婦就決不會“長跪”相問了。棄婦被無端遺棄,緣“故夫”的喜新厭舊,所以這次巧遇,她倒要故意問問新婦的情況了。
“復何如”,猶言又怎樣,話中不無譴責之意。“故夫”於慚悔之余,不得不以實情相告。“新人雖言好”,尚屬自我解嘲語,忸怩之態可掬;“未若故人姝”,才是真切語,懊悔之情如見。“顏色類相似”句,活畫出喜新厭舊者的心理。當初棄婦被逐,自是“顏色”不如“新人”之故。而“新人”入門既久,漸成舊人;棄婦轉嫁他人,已成他家“新人”。“故夫”以喜新厭舊之目光視之,轉覺己之“新人”,與已成他家“新人”之棄婦,顏色無復區別,豈止無復區別,從“手爪不相如”一句,知“新人”亦已招厭。
“新人從門入”兩句,余冠英有精辟的分析:“兩句必須作為棄婦的話才有味,因為故夫說新不如故,是含有念舊的感情的,使她聽了立刻覺得要訴訴當初的委屈,同時她不能即刻相信故夫的話是真話,她還要試探試探。這兩句話等於說:既然故人比新人好,你還記得當初怎樣對待故人嗎?也等於說:你說新人不如故人,我還不信呢,要真是這樣,你就不會那樣對待我了。這麼一來就逼出男人說出一番具體比較。”(《樂府詩選》)這段分析,從語言環境和人物心理兩方面揭示了文字之外的豐富的潛台詞,因而是耐人尋味的。
“新人工織縑”以下六句是故夫從新婦的女工技巧不及前妻,怨“新人不如故”。這六句具體比較,是全詩的畫龍點睛之筆。一般來說,女子被休棄,總是要蒙受惡名的。古時有所謂“不順父母去、無子去、淫去、妒去、有惡疾去、多言去、竊盜去”的“七出”之條(參《大戴禮記·本命篇》)。這位婦女的被休棄,看來與七條都不沾邊,因此最合理的解釋是男子的喜新厭舊。喜新厭舊者要拋棄妻子,可以隨便找個什麼理由,如手腳笨拙,勞動偷懶之類。現在通過“故夫”自己的口來與“新人”作比較,說明棄婦手腳不笨,勞動並不偷懶,這就使棄婦蒙受的惡名完全被洗刷了。詩寫到這裡已表現出她是一個勤勞善良的勞動婦女的形像。再者,喜新厭舊心理在封建社會中是具有普遍性的。
這種心理所以能在男子身上發展到無所顧忌地趕走妻子、另尋新歡的地步,不能不說是封建制度賦予男性以夫權的結果。此詩特意讓男子自述其行為的乖張無理,實際上是對封建夫權的不合理作了揭露和批判。從這個意義上說,這最後六句的男子比較之詞,不僅使棄婦的形像變得豐滿起來,而且全詩的主題思想也深化了。另外,截取巧遇場面雖適宜於描寫眼前事,卻不易展示詩中人物與事件的過去和未來;而篇末讓男子作一比較,不僅棄婦過去的生活情況、勞動態度與所遭不幸,一切了然,而且連“新人”今後將遭受何種命運,亦可大致預見。故此種匠心安排,使時空領域大為開拓,而作品的容量亦有逾常品了。
번역
이 시는 예술구상에서 자못 유일한 위치에 이르렀다. 작자는 <국풍, 패풍, 곡풍>처럼 울고 호소하여 원망과 분노의 말을 보내지 않고, <위풍,맹>같이 회상으로 전환하는 방식도 나오지아니했고, 이에 생활중의우연의 일치장면을 절취하여 대화의 방식을 채용하여 헤어진 후 부부의 심리상태와 각자의 감수를 계사하였고, 따라서 새로운 사람을 좋아하고 옛 사람을 싫어하던 자의 영혼을 채찍질하여, 봉건부부의 불합리를 비판하였다.
시는 서사의 붓을 써서 시작한다: “산에 올라 미무(향초)를 캐고, 산에서 내려와 옛지아비를 만났네. “ “옛지아비”를 따른 한줄의 글은 가히 “미무를 캔 주어가 버림받은 지어미었도다. 고인은 미무를 찼던 일이 많았음을 알린다. 지어미에게는 이 미무가 본래 소용이 없었는데, 현재 산위에서 캤으니, 여인은 이미 재혼을 했음을 암시한다. 여인이 가득싣고 돌아가던 때에 공교롭게도 “옛지아비”를 만났다.
“또한 어떠한가요?”, 오히려 또한 얼마간 대화중에 잘못을 나무라는 뜻이 없을 수없었다. “옛지아비”는 참회를 하였고, 부득이 실정을 고백하지 않을 수없었다.
“비록 새사람은 괜찮지만”, 오히려 자신을 조롱하는 말이니, 부끄러워 두손을 모았다; “옛사람의 아름다움만 같지못하오”, 이는 진실한 말이고, 오뇌의 정이 보이는 듯했다. “미모는 비슷하지만” 구절에서 “새것 좋와, 헌것 싫어”했던 인간의 심리를 살아있는 그림으로 나왔다.
당초에 버린 아내는 쫓김을 당했으니, 이는 안색이 새사람만 같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새사람은 대문으로 들어온지 이미 오래되어서, 점차 옛사람이 되고; 버림받은 지어미는 타인에게 시집갔으니, 이미 다른 집의 “새사람”이 되었다. “옛지아비”의 새것좋아 옛것싫어의 안목으로 보니, “새사람”으로 변하였음은 다른 집에 시집가서, 이미 다른 집의 “새사람”이 된 버림받은 지어미이고, 안색을 구별이 안되고, “손솜씨가 서로 같지 않다.”는 한구절은 “새사람”또한 이미 싫어졌다.
“새사람은 대문으로 들어오고” 두 구절에서, 여관영은 신랄한 분석을 하였다: 이 양구는 반드시 버림받은 지어미가 한 말이며 거기에 마음먹은 뜻이 있으니[旨趣;意義], 옛지아비가 새사람은 옛사람만 같지못하다고 말하였기에, 옛날을 회상하는 감정을 품어서, 여인으로하여금 곧장 당초에 받았던 부당한 대우를 호소하고 불평하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여인은 옛지아비의 말이 진실인지 믿을 수없어서, 여인은 상대의 의사를 듣고 또 들었다.
이 양구의 말은 아래 말과 같으니: 이미 옛사람은 새사람보다 좋았다고하니, 그대는 돌이켜 옛사람을 어찌 대하였는가? 기억하는가? 이는 다음과 같은 말이네: 그대는 새사람이 옛사람만 못하다고 하니, 나는 그대를 믿을 수없으니, 만일 그렇다면, 당신은 나를 그렇게 대접할 수없었겠다. 이리하여 남자는 구체적으로 비교하도록 강요되었다. “ (《악부시선》)에서 이 단을 분석해보니, 언어의 환경과 인물의심리 양방면을 게시하여, 문자외에 풍부히 숨긴 대사가 있어서, 인하여 독자로 견디어 흥미를 자아내게 한다.
“새사람은 겸을 짜고”이하 6구는 새아내의 여노동자의 기교가 전아내에 못미침으로 새사람이 옛사람만 같지못하다.”고 한탄하였다. 이 6구에서 구체적비교가 전체 시의 화룡점정의 붓이었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여자가 버림받음은 항상 악명을 받는다. 예부터 소위, “부모에게 순종치 않으면 가고, 자식이 없으면 가고, 음탕하면 가고, 질투하면 가고, 나쁜 병이 있으면 가고, 말이 많으면 가고, 훔치면 간다.” 이런 일곱가지 조목이다. 이러한 부녀의 버림받음은 칠조(七條)와 관계없었고, 가장 합리적 설명은 남자가 새사람 좋아하고 옛사람 싫어함이었다.
새사람좋고 옛사람싫어한 자는 아내를 포기함에 편리하게 이유를 부쳤으니, 수족이 어둔하다 혹은 노동에 게으르다하고 설명하여서, 이리하여 버림받은 여인이 받은 악명을 완전히 씻었다. 이 시의 묘사가 여기에 이르러 표현하니, 떠난 여인은 근로하고 선량한 노동한 부녀의 형상이었다. 거듭 새사람좋고 옛사람싫음의 심리는 봉건사회내에 구비한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이런 종류의 심리때문에 남자에게서 아내를 기탄없이 쫓아내게 발전하였고, 새로운 즐거움을 찾도록하였고, 이것이 봉건제도가 남성에게 부여한 지아비의 권리의 결과라고 설명하지 않을 수없다. 이 시는 특히 남자가 스스로 그의 행위가 불순하고 무리하였음을 말하였고, 실제로 이는 봉권부권의 불합리를 폭로비판하였다. 이러한 의의로 위에서 말했듯이 최후 6구의 남자의 비교문자는 버린 아내의 형상이 풍만하게 변모하였을뿐 아니라 또한 전시의 주제사상을 심화하였다.
그외에 우연히 만난 장면을 절취했음은 비록 눈앞의 이를 묘사하기에 적절하였지만, 문득 시속의 인물과 사전의 과거와 미래를 전시하기는 쉽지 않았다; 이 편 마지막에 남자로하여금 비교하도록 함, 버린 아내의 과거의 생활정황뿐 아니라, 노동태도와 더불어 불행의 조우, 이리하여 모든 것이 명백하여졌고, 또한 따라서 “새사람”은 이후에 어떤 운명을 만날 것인가? 또한 가히 대략 예건된다. 이리하여 이러한 고안과 정리는 시공의 영역을 크게 개척하여, 작품의 용량 또한 비상하다.

 
Kwan Ho Chung - March 2, 2019
No. Subject Date Author Last Update Views
Notice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2016.07.06 운영자 2016.11.20 18955
Notice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2016.07.06 운영자 2018.10.19 33498
Notice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2016.06.28 운영자 2018.10.19 7161
Notice How to Write a Webpage 2016.06.28 운영자 2020.12.23 45033
91 破陣子: 파진자곡에 붙이어 [4] file 2021.08.25 정관호*63 2024.07.02 109
90 歸家(귀가): 집에 돌아오다. file 2021.09.15 정관호*63 2024.07.02 191
89 後出師表; 후출사표 [1] file 2021.11.16 정관호*63 2024.07.02 102
88 於易水送人(어역수송인): 역수에서 이별하다. [1] file 2022.11.01 정관호*63 2024.07.02 157
87 지나가는 길손이여 [1] 2023.05.01 정관호*63 2024.07.03 104
86 고향초 [6] 2023.03.11 정관호*63 2024.07.03 136
85 經漂母墓(경표모묘): 빨래하던 여인 무덤을 지나며 [1] file 2023.07.01 정관호*63 2024.07.03 116
84 성불사의 밤 [1] file 2023.10.20 정관호*63 2024.07.03 114
83 봄날의 원망 [1] 2024.02.16 정관호*63 2024.07.03 57
82 [漢詩] 西洲曲(서주곡): 서주의 노래 [2] 2016.07.26 정관호*63 2024.07.03 498
81 Supreme Court's decision means a death sentence for Trump [3] 2024.07.02 운영자 2024.07.03 96
80 歸去來辭(귀거래사) 陶淵明(도연명): 재시도 [4] file 2017.11.08 정관호*63 2024.07.04 269
79 [漢詩]相逢行(상봉행): 두 소년의 만남 file 2016.08.02 정관호*63 2024.07.04 278
» 上山采蘼蕪(상산채미무): 산에 올라 향초를 캐다 [7] 2019.03.02 정관호*63 2024.07.05 2869
77 사의 찬미 [死의 讚美] [1] 2023.05.15 정관호*63 2024.07.05 120
76 楓橋夜泊: 풍교에서 밤에 숙박하다 [1] 2023.09.20 정관호*63 2024.07.05 101
75 한국은 웃었는데…일본·중국은 3차 예선 조 편성 ‘울상’ [2] 2024.06.29 황규정*65 2024.07.08 26
74 박정희의 동거녀 이현란 2024.07.12 온기철*71 2024.07.12 48
73 虞美人草: 우미인초 [2] file 2019.06.26 정관호*63 2024.07.15 1467
72 滕王閣序 王勃(등왕각서 왕발): 등왕각 서문 [3] file 2019.09.23 정관호*63 2024.07.15 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