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30 05:16
아미산월가 이백 |
|
峨眉山月歌 李白 아미산월가 이백 峨眉山月半輪秋, 影入平姜江水流 아미산월반륜추, 영입평강강수류. 夜發淸溪向三峽, 思君不見下逾州. 야발청계향삼협, 사군불견하유주 |
아미산 달노래 성당시인 이백 아미산 달 반원이 된 가을, 달그림자 평강강에 내리고 강물은 흘러… 한밤중 청계 떠나 삼협으로 향하니, 그대 생각하고 못 보며 유주로 가네. |
The autumn moon is half round above the Yo-mei Mountain; The pale light falls in and flows with the water of the Ping-chiang River. Tonight I leave Ching-chi of limpid stream for the Three Canyons. And glide down past Yu-chow, thinking of you whom I cannot see. 峨眉山月歌 Youtube 峨眉山月 image 注釋<주석> 影(영):月光的影子。달빛의 그림자. 平羌(평강):青衣江(청의강)으로 대도하의 지류다.大渡河的支流,在今四川中部峨眉山東北。源出寶興縣北,東南流經雅安、洪雅、夾江等地,到樂山彙大渡河,入岷江。 白話譯文(백화역문) |
No. | Subject | Date | Author | Last Update | Views |
---|---|---|---|---|---|
Notice | How to write your comments onto a webpage [2] | 2016.07.06 | 운영자 | 2016.11.20 | 19350 |
Notice | How to Upload Pictures in webpages | 2016.07.06 | 운영자 | 2018.10.19 | 34134 |
Notice | How to use Rich Text Editor [3] | 2016.06.28 | 운영자 | 2018.10.19 | 7844 |
Notice | How to Write a Webpage | 2016.06.28 | 운영자 | 2020.12.23 | 45773 |
454 | 登高(등고): 높은 곳에 오르다. [1] | 2025.01.12 | 정관호*63 | 2025.01.13 | 8 |
453 | 제주에서 이별하다. [6] | 2024.12.21 | 정관호*63 | 2024.12.29 | 175 |
452 | 우미인초 노래 불러 [1] | 2024.12.07 | 정관호*63 | 2024.12.31 | 41 |
451 | 백두옹을 설어워하다. | 2024.11.20 | 정관호*63 | 2024.12.17 | 44 |
450 | 가고 가고 또다시 가고 가고 [1] | 2024.11.10 | 정관호*63 | 2024.12.17 | 48 |
449 | 새하곡: 변방의 노래 | 2024.10.25 | 정관호*63 | 2025.01.07 | 37 |
448 | 古從軍行: 옛 종군의 노래 [2] | 2024.09.21 | 정관호*63 | 2024.10.09 | 63 |
447 | 關山月: 관산의 달 [1] | 2024.09.10 | 정관호*63 | 2024.09.11 | 25 |
446 | 낙양여아의 노래 [1] | 2024.08.22 | 정관호*63 | 2024.09.01 | 34 |
445 | 규원: 규중의 원망 [1] | 2024.08.15 | 정관호*63 | 2024.09.08 | 51 |
444 | 玉樹後庭花: 옥수후정화 [1] | 2024.07.21 | 정관호*63 | 2024.07.21 | 74 |
443 | 玉華宮(옥화궁) [1] | 2024.06.21 | 정관호*63 | 2024.06.26 | 79 |
442 | 從軍行其四; 종군행 4회 [1] | 2024.06.11 | 정관호*63 | 2024.07.19 | 63 |
441 | 오장원을 지나서 [1] | 2024.05.11 | 정관호*63 | 2024.06.30 | 55 |
440 | 연꽃 따는 노래 | 2024.05.01 | 정관호*63 | 2024.10.21 | 54 |
439 | [시조]懷古歌: 회고가 [1] | 2024.04.21 | 정관호*63 | 2024.07.28 | 47 |
438 | 길에서 만난 한식 [1] | 2024.04.03 | 정관호*63 | 2024.08.30 | 76 |
437 | 돌아오는 기러기 [1] | 2024.03.27 | 정관호*63 | 2024.04.18 | 90 |
436 | 蜀相(촉상): 촉한 승상 제갈량 [1] | 2024.03.15 | 정관호*63 | 2024.04.12 | 131 |
435 | 왕소군 고향에서 [1] | 2024.03.08 | 정관호*63 | 2024.03.20 | 134 |
여기 올린 아미산달 노래는 인구에 회자되는 이백의 유명한 시이다.
산, 달, 여행 등 이백은 젊은 날을 마음껏 구가하였고, 성당시대 당명황의 애호도 받았다.
나의 모친 말씀처럼 시가 물에 흐르듯이 내려간다.
음미하여 보세요.